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기존연구에 대한 문헌 분석, 총 28개 조직에 대한 32회의 심층 인터뷰 및 24개 조직에 대한 서면 분석, 총 21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의 5회의 자문회의로 진행되었으며, 국제사회에서 논의된 문화와 사회발전, 경제학 기반의 외부효과 접근과 문화경제학의 논의들, 그리고 문화예술 학계에서 주장해온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 등을 종합하여 문화예술 분야 사회성과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 사회성과의 관리 체계를 구축하며, 문화예술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와 이에 대한 측정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와 문화예술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을 분석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분석하여 두 가지 경우 모두를 문화예술 분야에서 비즈니스를 통해 창출 가능한 사회성과로 간주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성과 관리 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본 보고서와 함께 현장에 바로 적용가능한 도구인 문화예술 비즈니스 사회성과 분석 가이드 리플렛, 사회성과 평가모형, 자가진단표, 문화예술과 SDGs 소책자 등이 개발되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신현상, (선임연구원)김기현, (연구원)강정훈,이다희,장서윤,김하은,김소희,남윤정,윤보경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사회성과 측정 지표 개발 연구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예술경영지원센터(www.gokams.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예술경영지원센터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 임팩트비즈니스리서치센터
만든이(개인)
신현상
,
김기현
,
강정훈
,
이다희
,
장서윤
,
김하은
,
김소희
,
남윤정
,
윤보경
다운로드 수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