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본 자료는 2019년 10월 25일(금) 14:00~16:00 동안 광주광역시 청소년 삶디자인센터에서 진행된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3차 '공간, 만들어 가는 문화예술교육' 이슈리포트이다.   이슈리포트는 우리사회 주요 이슈를 문화예술에 접목·결합하여 문화예술교육 핵심의제를 도출하고 담론을 형성,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만들어 가고자 추진하였다. 3회차에서는 공간 조성 과정이 곧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중요 관점을 기준삼았다. 소통과 공감, 관계 속에서 스스로 교육 경험을 만들어가고 지속적인 활동 및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공간 조성 과정의 철학과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에서 공간은 왜 중요한지, 그 공간을 만들어 가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리포트에는 기획, 전문가의견, 콜로퀴엄으로 내용이 구분되어 있다. 이슈를던지다- 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가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시작이다(진흥원 교육R&D팀) / 이슈를 말하다- 삶디, 다양한 삶을 상상할 수 있는 시·공간- 박형주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장) / 놀이로 경험하는 예술이 삶에 스며드는 공간- 강득주 (서울문화재단 서서울예술교육센터 매니저) / 예술하는 곳, 팔복예술공장-황순우(전주 꿈꾸는 예술터 '팔복 예술공장' 총괄 감독) / 이슈를 논하다에 문화예술교육과 공간 :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만나다-김혁진 (모든학교 체험학습연구소 연구위원) 주제와 관련된 전문가의 글들로 구성되어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75
  • 본 자료는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꿈다락은 모락모락 생기발랄, 컬러풀한 꿈이 피어오른다'의 사례집이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아동·청소년·가족들이 문화예술교육과 만나,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것에 가치를 두고 공교육에서 주 5일 수업제가 시행된 2012년부터 매주 주말 여러 분야의 예술을 경험하면서, 일상속의 문화예술을 알아 가는 프로그램이다. 자료집은 래디앤런, 온 고잉, 고잉 온, 컬러풀 콘텐츠, 키즈앤 노크 5가지 섹션과 에필로그로 구성되어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되었던 프로그램 소개, 참여자 소감, 기획자와 강사의 인터뷰에 대한 내용들과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데이터가 함께 포함되어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글자와 기록사이 다운로드 수 404
  • 본 자료는 《2019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인 '몸으로 만나는 나'의 연구 보고서》이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평소 피교육자인 학생들과 학생들의 창의성에 초점이 맞추어 진 예술 교육자가 교육자 자기 자신과 자신의 창의성을 체험적으로 만나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수 체험들이 예술 교육자 자신의 삶과 연결되고 삶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 조희경, (공동 연구원) 김수연, (연구보조원) 노화연, 유태선, (보조원) 이은재, 김은주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조희경 외 5인 만든이(개인) 조희경 , 김수연 , 노화연 , 유태선 , 이은재 , 김은주 다운로드 수 144
  • 본 자료는 2019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인 'Let’s Go Together!'의 결과보고서이다.     본 프로그램은 유준재 작가의 그림책인 <균형>이라는 책을 선정하여 몰입할 수 있는 경험과 구성원들 사이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문화예술 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본'과 '균형'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더하기와 덜어내기의 지혜를 찾아 함께 나아가자(Let’s go Together)는 취지로 연수를 운영하게 되었다. 2016년도 의무연수 '예술통합프로젝트' 교과목으로 시작하여, 17년도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선택연수화되어 올해 4년차를 맞이한 올해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는 총 5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팀별 2회씩 추진하였다. 각각의 팀은 동일한 목적 하에 각기 다른 예술적 재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실행하였다. 앞으로 발전적인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추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그간 3년간의 추진 과정을 돌아보며, 올해 연수 기획과정과 내용을 기록하는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수과정명과 연구진은 * 오월, 몸에 묻는 이름들 / 팔월, 몸이 묻는 이름들 (정원철 외 3인), *Lost And Found - 스토리텔링을 통한 작은 극 찾기 / 일상 속 이야기의 발견과 작은 연극 만들기 (양혜정 외 3인), *감각의 재발견 (이윤정 외 3인), *몸으로 만나는 나 (조희경 외 5인), *Let's go together! (원소연 외 3인)이다. 해당 연구에는 (책임연구원) 원소연, (공동연구원) 장은영, 이현걸, (연구보조원) 이한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Human Step 만든이(개인) 원소연 , 장은영 , 이현걸 , 이한석 다운로드 수 122
  • 본 자료는 《2019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프로그램 개발  '감각의 재발견'》 연구보고서이다.   감각의 재발견 프로그램은 2019년 05월 24일부터 26일까지, 09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혁신파크 KURIKINDI센터에서 진행되었다. '하나의 감각기관 혹은 감각을 활성화시키고 그 감각이 다른 감각으로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예술기호를 경험한다.', '장르 중심의 예술교육에서 감각 통합성 중심으로 예술의 기호 혹은 예술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탐구한다.' 라는 내용들이 연수에서 진행되었다.   보고서에는 연수 프로젝트 프로그램 감각의 재발견에 대한 추진개요와 일정, 설계과정, 세부내용들이 담겨져 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 이윤정, (공동연구원) 남인우, 김소리, (보조연구원) 손서희, (영상기록) 강경호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이사이 만든이(개인) 이윤정 , 남인우 , 김소리 , 손서희 다운로드 수 173
  • 2019.6.14.~2019.6.20. 동안 '2019 엘 시스테마 국제 음악 캠프(Side by Side)' 프로그램 조사 차 추진된 스웨덴 고텐버그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캠프 참관 및 운영현황 좌와 합창,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조사 및 우수 사례 도출, 캠프 운영진 및 관계자 인터뷰가 주 목적이다.  보고서는 출장일정, 캠프사전준비, 2019년 캠프 관계자 외 참여자, 캠프 프로그램, Side by Side 콘서트, 관계자 인터뷰에 관련된 내용이 작성되어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77
  • 2019.07.01.-2019.07.05. 동안 예술꽃씨앗학교 사업 내실화 및 운영 사례 조사를 위해 추진된 일본 도쿄 및 요코하마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일본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례 조사 및 정책기관 관계자 인터뷰, 공교육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 탐방 및 관계자 인터뷰가 국외출장의 주 목적이다. 보고서에서는 출장일정, 주요내용, 기관방문 세부내용에 관련된 내용이 작성되어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98
  • 본 자료는 2019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프로그램 개발 '오월, 몸에 묻는 이름들/ 팔월, 몸이 묻는 이름들' 연구보고서이다.   해당 연구 프로그램의 목적은 연구팀이 2016년부터 실행한 6개 프로그램이 추구해온 지향점과 같은 맥락 속에 있다. 지난 6개 프로그램을 분석 종합해보면 자신과 예술의 마주침 돌아보기, 공동체 구성원으로 현재 인식하기, 예술 교육자로서 현재 살펴보기, 개별적 존재로서 삶의 가치관 확인하기, 예술교육자로서 자신의 예술관·교육관 재설정하기 등의 일관된 시도가 확인된다. 이번 연구 프로그램 또한 기존 프로그램의 단계적 시도를 거쳐 스스로를 다른 존재로 자각한 개인들에 의해 궁극적으로 예술교육 현장이 새로운 활기로 채워지기를 기대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진으로 (책임연구원) 정원철, (공동연구원) 강민채, (공동연구원) 이현만, (연구보조원) 최윤선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교육예술연구모임 놀각 만든이(개인) 정원철 , 강민채 , 이현만 , 최윤선 다운로드 수 134
  • 본 자료는 《2019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프로그램 연극 만들기를 통한 일상의 재발견과 스토리텔링 접근의 실험과 발견힌 Lost and Found 개발 연구》의 결과보고서다.   본 연구 및 연수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도이자 다양한 실험이 가능한 장을 만들어낸다. 교육적/예술적의 잣대가 아닌 예술 자체의 즐거움과 자극을 제시하고 예술교육가의 본래 예술가적 면모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예술 창조에 집중한다. 이러한 연구 및 연수의 시도를 통해 예술인들의 예술인다움을 존중하고, 예술적 감수성을 통한 교육의 실현과 효과를 기대한다. 아울러 예술가 개인의 경험이 어떠한 은유와 상징 및 매체, 형식을 가질 때 확장 가능한가에 관한 가능성을 탐구한다.   연구진으로 (책임연구원) 양혜정, (공동연구원)유홍영, 김순희, (연구보조원) 박정연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봄바람프로젝트 만든이(개인) 양혜정 , 유홍영 , 김순희 , 박정연 다운로드 수 157
  • 문화예술교육 이슈리포트는 자문회의를 통한 사회이슈 연계, 시너지 가능한 기관별 이슈 주제 선별하고 도출하여 데이터 기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시각화를 고려한 리포트를 제공한다.   해당 이슈 리포트는 최근 2년간(2016~2017)까지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생애주기별 문화 예술교육 참여자 분석, 성인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욕구, 성인 학습자의 학습이유 TGI에 대한 조사 결과 등으로 구성 돼 있다. 그리고 데이터 시각화를 고려하여 만족도나 리서치결과들은 그래프로 표기 돼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52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전국의 아동․노인․장애인 복지시설에 예술강사가 방문하여 연간 35회의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는 사업이다.    본 자료는 2019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자세히 들여다보기의 예술강사용 활동 매뉴얼이다.  매뉴얼은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자세히 알아보기, 교육활동이 진행될 시설의 특징, 예술강사 소개, 사전방문 안내, 1O개월간의 연간활동 운영하기, 연간활동 진행 체크리스트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58
  • 본 자료는 2019 문화예술교육 이슈리포트 2차 '삶의 시간의 회복을 위한 주52시간'의 자료이다. 문화예술교육 이슈리포트는 자문회의를 통한 사회이슈 연계, 시너지 가능한 기관별 이슈 주제 선별하고 도출하여 데이터 기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시각화를 고려한 리포트를 제공한다.   해당 이슈리포트는 기획, 전문가의견, 콜로퀴엄으로 내용이 구분되어 있으며 이슈를 던지다-담론 이슈 주제 : “주52시간 근무제”, 이슈를 말하다-삶의 시간의 회복이란 무엇인가?(신승환 교수)/삶의 시간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 마을학교 “꾸물꾸물문화학교” 사례를 중심으로(윤종필 교장) , 이슈를 논하다- 삶의 시간 회복을 위한 주52시간 근무시간제(정연희 교수) 주제로 각 관련된 내용들이 담겨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0
  • 2019.09.01.-2019.09.09. 동안 2019 문화예술치유 및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해외 동향 조사'를 위해 진행된 영국 런던, 캔터베리, 브라이튼 국외출장의 결과보고서이다. 지역화, 다양화 관련 영국 공공, 민간(사회)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현황 파악을 통해 사업의 중장기적 발전 방안 모색이 주 목적이다. 주요 활동으로 워크숍 참관, 기관 방문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한 운영 현황, 사례 확인하였다. 보고서에서는 주요일정, 방문한 기관과 기관에 대한 세부내용에 관련된 내용이 작성되어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42
  • 2019.07.15.-2019.07.19. 동안 유아 문화예술교육 해외사례 조사를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한 국외출장의 결과보고서이다.  싱가포르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현장방문을 통해 유아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시설 방문 및 관계자 면담,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장 참관 및 관련 전시 관람,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 주관 심포지엄 참석하여 현장 중심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동향을 파악하였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31
  • 본 자료는 2019년 최근자료를 기준으로 인천광역시 전역 사회문화예술교육 시설을 범위로 인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여건과 수요에 맞는 지역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조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 최종보고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현장답사, 워크숍, 자문회의 등의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관련 법규와 정책 여건을 분석하고 인천시의 문화예술공간 현황 국내외 선행사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인천시 여건에 부합되는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조성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인천시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하드웨어, 휴먼웨어, 소프트웨어 부문별 추진과제를 발굴하여, 이를 집행하고 운영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한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최영화, (연구참여)이선정, (연구자문)김상원, 김자현, 이화정, 전승용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인천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구축 연구 최종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만든이(개인) 최영화 , 이선정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67
  • 본 자료는 2019년 최근자료를 기준으로 인천광역시 전역 사회문화예술교육 시설을 범위로 인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여건과 수요에 맞는 지역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조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 요약보고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현장답사, 워크숍, 자문회의 등의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관련 법규와 정책 여건을 분석하고 인천시의 문화예술공간 현황 국내외 선행사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인천시 여건에 부합되는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조성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인천시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하드웨어, 휴먼웨어, 소프트웨어 부문별 추진과제를 발굴하여, 이를 집행하고 운영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한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최영화, (연구참여)이선정, (연구자문)김상원, 김자현, 이화정, 전승용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인천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구축 연구요약본'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만든이(개인) 최영화 , 이선정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46
  • 본 자료는 2019년 10월 25일(금) 14:00~16:00 동안 광주광역시 청소년 삶디자인센터에서 진행된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3차 '공간, 만들어 가는 문화예술교육'》의 자료집이다.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은 총 4회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3회 콜로퀴엄은 '공간 조성 과정이 곧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이슈에서 시작된다. 소통과 공감, 관계 속에서 스스로 교육 경험을 만들어가고 지속적인 활동과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공간 조성 과정의 철학과 가치를 전달한다. 중요 관점에 대해 공유하고 문화예술교육에서 공간이 왜 중요한지? 그 공간을 만들어 가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 주제로 진행되었다.   콜로퀴엄 진행자에는 김혁진, 발제자에는 박형주, 강득주, 황순우가 참여하였다.   자료집은 콜로퀴엄 총 4회차에 대한 설명과 3회차 진행 일정표, 발제자 발표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박형주 , 강득주 , 황순우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210
  • 2019 서울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창의인성예술교육프로그램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는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을 통해 개인의 역량 강화 및 실습을 제공하고, 전환기 청소년과 특히 사회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본 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사의 주도적 활동으로 청소년 예술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청소년들이 나에 대해 깊게 들여다볼 수 있었던 기회이자 평범한 일상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었던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이번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을 계기로 은평문화재단은 예술가, 기획자, 활동가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문화예술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삶의 일부분이 되도록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았다. 본 자료에는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 소개와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 사업에 관한 총평과 함께 참여자들의 작품, 소감, 만족도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본 저작물은 은평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서울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은평문화재단(https://www.e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은평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은평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55
  • 생활문화 마주봄 BOOK은 전주시민이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생활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쉽게 생활문화를 향유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되었으며, 생활문화동호회 및 문화시설 소개를 통해서 동호회 간 교류가 활성화 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자료에는 전주의 생활문화동호회, 인문학시설, 문화시설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본 저작물은 전주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생활문화 마주봄 BOOK'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전주문화재단(http://www.j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전주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전주문화재단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44
  • 본 연구는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교육과정 연계 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로서 제1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와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를 비롯한 유사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들을 비교 검토하고,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의 현재 운영되는 프로그램과 참여자 만족도, 인적·물적 인프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 방안 및 프로그램(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강주희, (공동연구원)이지연, 최나영, 이상민, 유소정, (연구보조원)이재경, (연구협력관) 윤선희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교육과정  연계 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작성자: 강주희)'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www.serii.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만든이(단체)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만든이(개인) 강주희 , 이지연 , 최나영 , 이상민 , 유소정 , 이재경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