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민속 문화재 관련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디지털 콘텐츠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우리의 색-형형색색, 색속에 담긴 우리의 마음' android ver. 실행 매뉴얼이다. 이번 사업은 기 개발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에 적합한 디지털 매체 개발 및 구현하고 디자인, 시범 운영, 테스트하는 과업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에는 (개발)이종원, 한경진, (디자인/운영)김혜란이 참여하였다. '우리의 색-형형색색, 색속에 담긴 우리의 마음' 프로그램은 학교, 문화기반시설 등 현장에서 한국의 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위해 우리의 색을 기반으로 한 민속 문화재 관련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 증가 및 IT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내용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효율적이고 창의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보조적인 역할 수행하는 것이다. ‘한국의 색’을 주제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해 오방정색, 상극간색, 상생간색의 15색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일상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예술과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로 빅데이터 수집 및 결과 제공, 빛의 혼합과 한국의 색,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창작활동, 커넥티드 스마트 교육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는 붙임 apk파일 다운로드하여 앱을 실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활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Ch1. ‘오방정색, 새롭게 보는 우리색’은 한국 전통 색을 이해하고, 혼합, 배색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체험 할 수 있다.
Ch2. ‘알록달록, 춤추는 조각들’에서는 오방정색을 활용한 장명루(단오 때 건강을 기원하며 만들던 팔찌)의 의미를 이해하고 간접적으로 만들어 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Ch3. ‘산해진미, 색으로 보는 내 몸’은 오방정색과 신체 장기와의 상징성을 이용해 실생활에서 먹는 음식 사진을 오방정색으로 변환하여 자주 접하는 음식을 한국의 색으로써 알아볼 수 있으며 나의 건강을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발견할 수 있다.
Ch4. ‘장식병풍, 나만의 특별한 보물’은 전통 민화 속 다양한 문양을 활용하여 나만의 특별한 장식병풍을 만들어 봄으로써 창의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다.
<arte라이브러리> 연구자료실 「2018 민속 문화재 관련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보고서」를 참고하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앤엘 미디어
다운로드 수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