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최근 문화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관계가 확장되고 문화예술과 관련된 사회적 환경이 급변하면서, 미래 변화상과 정책적 수요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변화를 형성하기 위한 문화예술정책의 장기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 미래 트렌드에 대한 단기적 예측·분석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미래의 발전상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한편, 장기적 정책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또한 2020년에 나타날 문화예술 트렌드를 전망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축적된 마이크로 문화예술 트렌드의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 외 주요 연구기관들의 범 사회 트렌드 분석 보고서 등 각종 선행연구, 전문가 조사(델파이) 및 좌담회를 통해 2020 주요 문화예 술트렌드 변화 키워드를 도출하며, 새로운 문화예술 트렌드를 미리 파악하여 정책 수요를 예상,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이슈를 형성, 문화예술 분야의 정책적 의제 설정을 주도하고자 한다. 연구에는 (연구책임)김혜인,김연진, (공동연구)정보람, (조사담당)장앤파트너스그룹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보고서(작성자:김혜인,김연진)'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www.kcti.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만든이(단체) 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김혜인 , 김연진 , 정보람 다운로드 수 53
  • 본 자료는 2018 문화재 활용 디지털 학교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결과보고서이다.   오늘날 박물관은 학교교육을 보완하거나 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차원을 넘어 변화하는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의 중심에서 교육의 변화를 주도하고 실험하며, 입증하는 장으로서의 위상 확립이 요구된다. 이러한 박물관 교육의 현대적 흐름과 변화, 박물관 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확장 가능성, 문화재 기반 박물관 교육 개발의 방향을 이론적 배경으로 들어 본 연구를 진행했다. 금속활자, 대동여지도, 반가사유상, 기술 접목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양지연 외 4인 만든이(개인) 양지연 , 손차혜 , 정원철 , 심재경 , 임상빈 , 호중훈 , 주현아 , 구선모 , 강진주 , 민들례 , 강경호 , 전지윤 , 홍순기 , 김여진 , 홍진영 다운로드 수 135
  • 본 자료는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기관인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한국만화박물관에서 진행한 '공감! 어린이만화교실'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사례집이다.   국공립 연계 프로그램은 국공립기관의 자원과 특성을 바탕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사업 취지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 지원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공감! 어린이 만화교실》은 만화관련 활동을 통한 교육생의 예술적 감성 증진 및 인문학적 소양을 향상시키는 목적과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문제 해결 능력 및 논리력을 높이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반, 고학년반으로 나누어 연령대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었다.   사례집에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소개, 한국만화박물관 소개, 공감! 어린이 만화교실 저학년반/ 고학년반의 프로그램 소개와 교육진행 및 결과물, 회차별 세부 커리큘럼, 참여한 학생들의 결과물 사진, 전시회 현장 사진과 참여한 학생들과 강사들의 후기 인터뷰가 담겨져있다. 강사에는 황지영, 기연희, 조희애, 김태환, 심승희, 장은주가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한국만화박물관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31
  • '4차산업혁명'을 주제로 한 메이키 메이키로 만드는 FUN & PLAY SCHOOL 1(라온제나 연구진; 장혜진, 성지, 김현옥)/ NFC 기술을 통한 아날로그 디지털( OK(Open Kit)연구진; 조예진, 남궁혜인, 문숙희)/ 마이크로비트를 활용한 예술중심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상한 나라의 루이씨 -(이상재미랩 연구진; 오정희, 이혜경, 유지선, 황교찬)/진화하는 픽토그램 코딩봇 - 표정이 있는 감성 로봇과의 대화(진화하는예술과학LAB 연구진; 손정화, 김나영, 이선아, 한승민, 김지혜)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 내용을 모아 만든 자료집이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이상재미랩, OK(Open Kit), 라온제나, 진화하는예술과학LAB 만든이(개인) 장혜진 , 성지 , 김현옥 , 조예진 , 남궁혜인 , 문숙희 , 오정희 , 이혜경 , 유지선 , 황교찬 , 손정화 , 김나영 , 이선아 , 한승민 , 김지혜 다운로드 수 151
  •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기관인 한국영상자료원에서 2018년 4월 28일부터 11월 4일동안 한국영화박물관에서 중고등학생 및 동인 연령대의 청소년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영화약국 마음처방전' 과 '두근두근 영화제작소'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사례집이다.   국공립 연계 프로그램은 국공립기관의 자원과 특성을 바탕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사업 취지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 지원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영화약국 마음처방전>은 청소년들이 스스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경험해보고, <두근두근 영화제작소>는 시청각 효과를 수공예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아날로그식 초기 영화제작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사례집에는 2018 한국영화박물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개요, 영화약국 마음처방전과 두근두근 영화제작소의 세부 내용(총14회차)과 참여자 이름, 포스터, 상영회 현장 사진, 참여한 학생들과 강사들의 후기 인터뷰, 한국영상자료원 소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프로그램에는 박종수, 김선교, 최소미, 박병윤, 여은정이 강사로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박물관 다운로드 수 143
  • '2017-18 한영 상호교류의 해를 맞이하여 한국과 영국 간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 교류(라운드테이블 논의)를 통해 양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이해하고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이다.   2017-2018 한영 상호교류의 해를 맞아 영국문화원(Brirish Council)과 RSA(Royal Society for the encouragement of Arts, Manufactures and Commerce 왕실예술협회)는 영국과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특징짓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 교류를 제안하였다. 이에 RSA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7년 양 국가 간의 교환 방문을 통한 전문가 교류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RSA와 영국문화원의 '동아시아의 문화학습과 창의교육 프로젝트'의 일환이기도 하다. 사례조사에는 박소연, 서공주, 제환정, 류해석, 최보연, 황지연 , 안나 커틀러(Ann Culter), 캐시 그라함(Cathy Graham), 데이브 스트러드윅(Dave Strudwick), 조안 파르(Joan Parr), 리지 크럼프(Lizzie Crump), 마크 론데스버러(Mark Londes borough), 로드 스킵(Rod Skipp), 스티브 모핏(Steve Moffit)이 참여하였다.   보고서에는 양국의 문화예술교육과 교육 과정, 기술의 발전 문화적 경험의 확장 등 문화예술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담고있다. 그리고 주요 관련 기관과 단체, 참여한 전문가 소개도 포함되어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29
  • 본자료는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단체인 한국예술종합학교 문화예술교육센터에서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어린이, 청소년 약 60명 대상으로 진행한 '함께 떠들기' 연극 수업과 '몸으로 나를 말해요' 무용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사례집이다.   국공립 연계 프로그램은 국공립기관의 자원과 특성을 바탕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사업 취지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 지원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계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예술적 소양과 함께 사회적인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위해 예술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연예술 분야에 집중하여 추진된 프로그램이다.   사례집에는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세부 일정과 몸으로 나를 말해요(무용) A / 몸으로 나를 말해요(무용) B / 함께 떠들기(연극) 각 프로그램의 기간, 내용, 교육목표,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참여한 강사와 학생들의 이름과 공연 현장 모습, 참여한 학생, 강사의 후기 소감으로 구성되어있다. 강사에는 김수정, 김민영, 김진영, 조수민, 김은경, 김성, 손정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예술종합학교 문화예술교육센터 다운로드 수 24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지능정보화 시대’ 대비 미래직업연계형 융합인재교육(STEAM)콘텐츠로서 농업 속에 잠재된 창조적 진로연계 가능성과 비전을 제시한다. 초,중등교육과정(2015)에 포함된 원리와 개념에 연결, 발전시킴으로써 미래형 진로, 직업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의 비전을 친근하게 제시하는 현장 친화적 STEAM프로그램과 창의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도안을 연구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의 효과적 평가방법의 시도, 현장 적용 및 효과검증, 활동지 보완을 통해 완성도를 제고한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태진미, (참여연구원)박정길, 김승철, 이화정, 송용준, 김승혁, 박정미, 임재철, (보조연구원)이은혜, 고승현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년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가즈아 농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과학창의재단(https://www.kofac.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과학창의재단 만든이(단체)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태진미 , 박정길 , 김승철 , 이화정 , 송용준 , 김승혁 , 박정미 , 임재철 , 이은혜 , 고승현 다운로드 수 41
  • 본 자료는 2018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한 현장 가이드 라인 자료이다. 가이드라인은 2019년 문화예술치유프로그램 효과 평가 개요, 행동평가지, 자기보고 설문지 3가지 주제로 나뉘어져있으며 각 주제에 관련된 내용이 작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125
  • 본 자료는 2018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한 행동 평가지 양식이다. 양식은 심리적변화, 관찰행동으로 나뉘어져 개방성, 자기 수용, 자율성, 유능성, 회복탄력성, 미래지향성, 관계성적합, 타인 신뢰, 긍정적 사회인식 항목으로 구분되어 작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72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는 도박중독자 대상의 설문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30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는 성폭력피해자 대상 설문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42
  • 본 자료는 부처협력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는 범죄피해자 및 가족 대상 설문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38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는 군대부적응병사 대상의 설문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50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에는 학교부적응(교육부)과 관련된 설문 항목들이 작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60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 학교부적응(법무부)과 관련된 설문 항목들이 작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39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는 게임중독 학생 대상의 설문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39
  • 움직이는 예술정거장은 문화소외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이다. 2018년에는 농산어촌 및 문화 소외지역을 방문해 총 150번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지역 아동, 노인, 지역주민을 만났고 행복한 예술경험을 나누었다.   사례집은 예술은 움직인다, 마음을 움직인다, 감각이 움직인다 주제로 나누어 2018년도 예술정거장에서 다뤄졌던 프로그램의 세부내용과 사진, 참여자와 아티스트의 인터뷰가 담겨져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플레이온컴퍼니 다운로드 수 434
  • 본 자료는 부처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 및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자기보고 설문지는 도박중독자 가족 대상 설문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30
  • 본 자료는 2018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대상유형별 효과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질적 분석 도구를 마련하기 위한 참여자 면접보고서 양식 자료이다.양식은 참여자 면접보고서 사전, 사후로 나뉘어 진행자명, 참여관찰 유형, 참여시 설명, 참여자명, 진행일자 등 구분되어 작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태연, (공동연구자)송관재, 김은정, 임영식, 성충모 (연구보조원)전미연, 서예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태연 , 송관재 , 김은정 , 임영식 , 성충모 , 전미연 , 서예지 다운로드 수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