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2018 경기문화재단이 전하는 문화예술교육 현장 소식 지지봄봄 단행본이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8 지지봄봄 통합본'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2
  • 본 자료집은 2018년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역특성화 사업 추진 내용을 정리하여 발간한 결과자료집이다.   2018년 경기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 문화 예술교육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및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기대할 수 있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지역 문 화예술교육 활성화 및 지역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8 경기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지역 읽기, 마음 잇기'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5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지역 내 활동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단체의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예측 가능한 문화 예술교육 지원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기도 지역의 문화 예술 활성화 에 기여하는 데 있다. 보고서는 연구개요, 연구의 이론배경, 경기 문화예술교육 단체 환경조사와 연구의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이신영, (공동연구원)이원현, 최영재, 최병현, (보조연구원)권민수, 김지선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단체 현황 연구 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이신영 , 이원현 , 최영재 , 최병현 , 권민수 , 김지선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4
  • 본 자료집은 2018년 8월 25일/9월 1일/9월 8일에 진행된 "경기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역량강화 워크숍 '상상력의 징후 2018' "의 결과자료집이다.   이번 워크숍은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관심을 가진 예비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문화예 술교육 분야로 진입시키는 기회를 마련하고 역량을 강화하고자 기획하였다. 공동체에 기반을 둔 문화예술교육과 메이커 프로그램 등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특히 올해는 ‘민주주의’와 ‘감각’이라는 키워드로 접근하여 예비 문화예 술교육자의 관심을 유도한 점이 돋보였다. 문화예술교육이 공동체와 만 나는 자리를 함께 탐구함으로써 참가자들은 공동체에 접근하는 새로운 경험을 하였다. 또한 온몸의 감각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시도하는 방법론을 체험하는 기회도 되었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경기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역량강화 워크숍 '상상력의 징후 2018'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36
  • 본 자료는 2018년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추진한 사업의 내용을 정리하여 발간한 결과자료집이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17개 시도와 시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함께 하는 토요일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8 경기 꿈다락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42
  • 2018년에 7회를 맞이하는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에 발맞춰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경기도 기초문화재단과 경기도 문화예술교육단체와 협력하여 ‘G-CAFE 늘꿈마을잔치’라는 이름으로 2018년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행사를 경기도 용인 경기도박물관에서 개최했다. 늘꿈마을잔치는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군포문화재단, 부천문화재단, 안산문화재단 단 원미술관, 용인문화재단이 공동 기획하였다. 최근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이 대두되는 가운데 늘꿈마을잔치 역시 ‘유아-어린이-청소년-어른이(어른)’으로 문화예술마을 을 구분하여 총11개의 교육부스에서 색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날 수 있었다. 본 자료집에는 ‘G-CAFE 늘꿈마을잔치’ 소개와 운영 프로그램, 결과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G-CAFÉ 늘꿈마을잔치 2018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7
  • 본 자료는 2017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사업의 내용을 정리하여 발간한 결과자료집이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5
  • 2018년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결과자료집이다. 1년간 추진된 기획 프로그램과 전문인력 양성 연수, 협력 네크워크 및 홍보·아카이빙 구축, 중앙연계 정책사업인 학교 예술강사, 지역특성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충북지역 관련 단체 목록을 지도형태로 제공한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충북문화재단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63
  • 인천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에서 2017년 1년동안 추진한 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요내용으로는 인천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현황 및 소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자유학기제 협력사업, 예술통합교과 지원사업, 교사전달연수, 인천시민문화대학 '하늬바람',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단체 및 기관별 프로그램 소개, 인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단체 및 기관별 프로그램 소개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54
  • 2018년 11월 4일(일) 13:00-17:30 울산대학교 체육관에서 진행된 '울산문화예술교육 맛보기, 문화예술교육 맛집 투어' 성과공유회 홍보 리플릿이다. 재단 및 센터 소개와 김설진 현대무용가의 초청특강, 루체 현악앙상블 안내, 행사 일정표, 프로그램 행사 안내에 대한 소개가 나와있다.   * 본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울산문화예술교육 성과공유회 '맛집투어'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us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울산문화재단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22
  •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2018년 지원사업의 소개와 구·군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생애주기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을 작성한 결과보고서이다.   * 본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us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울산문화재단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61
  • 2018년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충북지역 결과보고서이다.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 및 활성화를 위해 추진된 사업으로 지역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생활권 내에서 지역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2018년 1월-12월 동안 충북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추진된 사업 추진경과와 프로그램 별 소개, 교육내용, 프로그램 구성, 운영단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11월 5일 웹진으로 보는 지역특성화 점검과 평가의 제2회 집담회는 (진행)소종민, 정지현, (토론)김유진, 설동준, 오혜자, 안태호, 이현석, 김윤섭, 김종회가 참여하여 발제 및 토론 형식으로 진행된 내용이 작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충북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충북문화재단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130
  • 2018년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안내 리플릿으로 각 지역별 운영단체, 프로그램 내용, 일시, 대상, 장소 문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각 지역별 프로그램 운영 단체는 다음과 같다. (강북구) 극단 진동, 아트오브웍, (관악구)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 공간-해, (금천구) 두 번째 페이지, (도봉구)창작집단 소풍가는 길, (마포구)공연예술창작터 수다, (서대문구)달그락 아트 컴퍼니, 우드포유 협동조합, (성동구) 사단법인 올림, (성북구)기분좋은 극단, 내내로, 우리동네 아뜰리에, (영등포구)넘나들이, (용산구)고래이야기, (은평구)스튜디오 153, 은평문화재단, (종로구)민화예술교육컨텐츠연구소 민화랑, 숨쉬는 미디어교육 자몽, 시소, (중랑구) 서울어바웃아트센터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함께 하는 우리 동네'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13
  • 2018년 서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로 놀자' 프로그램 안내 리플릿이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17개 광역단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 각 시·도가 후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협력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매주 주말 아동·청소년 및 가족들이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를 조성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리플릿에는 42개의 프로그램 교육일시, 교육대상, 장소, 모집기간, 문의처 정보를 안내하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서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로 놀자'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80
  • 2018년 5월 26일(토) 13:00-17:00 울산 광역시 중구 문화의 거리에서 진행된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행사 '문화예술교육, 일상 속 보물찾기' 프로그램의 홍보 리플릿이다.    * 본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문화예술교육, 일상 속 보물 찾기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us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울산문화재단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26
  • 2018년 (재)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 각 충청북도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협력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결과자료집이다.  매주 주말 아동·청소년 및 가족들이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 문화를 조성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2018년 1월-12월(교육기간 3월-11월)동안 진행되었으며 충북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한 단체를 선정하여 추진되었다.  사업 추진 현황 및 일정에 따른 내용이 작성되어 있으며 기획사업으로는 헬로우 아트랩, 가족예술캠프, 충북문화예술교육축제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충북지역별 운영기관 및 단체 목록과 회차별 프로그램 진행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족예술캠프 만족도를 원형 그래프로 제공하고 있고 관련 언론 기사가 스크랩 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충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디자인원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71
  • 2018년 11월 4일(일) 13:00-17:30 울산대학교 체육관에서 진행된 '울산문화예술교육 맛보기, 문화예술교육 맛집 투어' 성과공유회 홍보 포스터로 프로그램 일정이 나와있다.   * 본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울산문화예술교육 성과공유회 '맛집투어'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us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울산문화재단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13
  • 2018년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지역특성화 지원사업 결과보고서이다. 2018년 1월-12월까지 울산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운영단체별 성과로 구성되어 있고 참여자들의 만족도조사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 본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우리동네 문화예술교육'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us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울산문화재단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243
  • 2018년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웹진 CBarte로 웹진을 통해 충북 도내에서 이루어지는 생생하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공유하고 그 가치를 함께 공론화하고자 충북문화예술교육센터에서 2012년도부터 발행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현장과 관련된 내용을 기획, 비평, 현장, 에세이 내용으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웹진 제작에는 (웹디자인)에니아소프트, (책디자인)디자인 오브, (편집위원)이현석, 김윤섭, (참여)강선미, 조송주, 추연신, 노경민, 이은정, 박현진, 정창환, 박혜명, 성정원, 이선희, 신수정, 김유진, 박영호, 김종욱, 조기영, 고영직, 안유진, 진향래, 이영애, 전혜원, 최천, 박성소영, 민경은, 이나라, 노펜스, 김현묵, 조아라, 박슬아, 권진호, 더퍼포머, 아트로후리덤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HELLO, 문화예술교육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웹진'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충북문화재단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25
  • 2018년 서울 시민예술대학 프로그램 안내 리플릿이다. 1학기 2018년 3월 16일-3월 31일, 2학기 2018년 7월 16일-7월 31일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권역별로 소개하고 프로그램 장르, 교육시간, 교육대상, 장소, 참가비, 운영단체, 문의처 정보를 제공한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서울 시민예술대학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