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40건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개설 기념 '세종은 살아있다' 특별강연회 포스터이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2017년 4웍 6일(목) 11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설민석의 강연으로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개설 기념 '세종은 살아있다' 설민석 특별강연회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10
-
2017년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우리가 잘 몰랐던 국악 이야기」 열린공연 '좋지 아니 한가' 포스터로 공연 프로그램 내용 및 연주자, 공연개요가 간략하게 작성되어 있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2017년 7월 13일(목) 11시 초려역사공원에서 '한옥에서 듣는 가야금의 향연'을 컨셉으로 진행되었다. 공연은 가야금 앙상블 'The #'이 연주하는 7개의 공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년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좋지 아니 한가' 열린 공연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5
-
2017년 12월 19일(화) 14시에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17 문화예술교육사업 발표회'의 포스터이다.
이번 발표회는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지역특성화, 꿈다락토요문화학교, 가족오케스트라, 창의예술캠프우락부락,예술가가 우리학교에 찾아옵니다(예술강사지원사업), 너의 이름은?나의이름은!(인문도서예술캠프) 사업의 결과들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문화예술교육사업 발표회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15
-
2017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시즌 13 포스터이다. 시즌13에서는 마음껏 편견을 구부리고 마음껏 세상을 구상하는 마구마구 예술실험단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다.
캠프는 1차 2017년 8월 14일(월)-8월 16일9수), 2차 2017년 8월 16일(수)-8월 18(금)동안 초등학교 4-6학년 대상으로 총 150명을 모집하여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시즌 13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10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전문인력 양성과정 '숨은 기획 찾기'의 포스터로 교육과정 개요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게 나와있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2017년 9월 28일(목)-11월 23일(목)동안 진행된 이번 강좌는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와 사례르 통해 살펴본 문화예술교육 기획방법 학습, 기획서 작성, 실습 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기획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노동형, 정연희, 정문성, 이선철이 교육강사로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전문인력 양성과정 '숨은 기획 찾기'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9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상반기 정기강좌의 홍보 포스터이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포스터에는 인문, 지리, 국악, 서예 정기 강좌 일정 및 강사 정보가 간략하게 담겨 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상반기 정기강좌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13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우리가 잘 몰랐던 국악이야기」 '북의 울림' 열린공연 포스터로 공연 개요 및 프로그램 내용, 참여자들의 간략한 정보들이 담겨있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이번 공연은 2017년 6월 22일(목) 11시에 초려역사공원에서 진행되었으며 '한옥에서 듣는 전통음악'을 컨셉으로 가야금 연주자 최진의 사회를 맡았으며 연희동인 '무율'이 연주자로 ㅈ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북의 울림' 열린 공연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11
-
2017년 경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의 사례를 담은 '고마워, 꿈다락' 사례집이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아동·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지원하여 여가 문화를 조성하고 창의·인성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예술교육 활성하는 도모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공모로 경북 내 11개 시군에서 16개 교육프로그램 운영, 기획공모로 10개 시군에서 12개의 교육프로그램 및 6개 시군에서 7개의 캠프형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사업에서 프로그램은 물, 불, 바람, 흙, 캠프 주제어로를 기반으로 기획되었다.
사업 운영 과정과 운영 기관 및 단체에 대한 정보를 지도화하여 수록하고 있으며 각 단체별 프로그램 목록이 있고 각 주제어 컨셉별로 운영 단체의 프로그램 상세 내용, 참여자 리뷰, 현장 촬영 사진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북문화에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경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례집 '고마워, 꿈다락''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gb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북
다운로드 수
117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상반기 정기강좌에 대한 전체적인 프로그램 내용 및 일정, 강사에 대한 정보가 담긴 안내 리플릿이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이번 상반기 정기강좌는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인문, 지리, 국악, 서에 분야별로 정기강좌와 역사 특별강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상반기 정기강좌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7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하반기 정기강좌에 대한 안내 포스터이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포스터에는 2017년 9월 20일-12월 1일월동안 진행되는 하반기 정기강좌의 신청방법과 기획, 인문, 지리, 국악, 서예 분야 별 5개의 정기강좌 및 강사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하반기 정기강좌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6
-
장욱진화백 탄생 100주년 기념 행사인 '장욱진 100년만의 귀환 '포스터이다.
행사는 2017년 6월 28일 10시에 세종시 연동면 내판역 일원, 장욱진 화백 생가에서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장욱진화백 탄생 100주년 기념 행사 '장욱진 100년만의 귀환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8
-
2017년 9월 5일(화) 11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김훈의 강연으로 진행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김훈, 신도시에 대한 나의 생각' 특별강연회 포스터이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김훈, 신도시에 대한 나의 생각' 특별강연회 포스터 '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6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하반기 국악 열린공연 「우리가 잘 몰랐던 국악이야기」 '가을의 소리'의 포스터로 공연 개요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이번 공연은 2017년 11월 9일(목) 11시 초려역사공원에서 가야금 연주자 최진이 진행하는 가야금 렉쳐 콘서트 형식으로 5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가을의 소리' 열린공연 포스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세종시문화재단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9
-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하반기 정기강좌에 대한 안내 리플릿으로 정기강좌 신청방법과 프로그램 내용 및 강사를 소개한다.
세종여민락아카데미는 세종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이다.
이번 하반기 정기 강좌는 2017년 9월-11월동안 기획, 인문, 지리, 국악, 서예 분야 별 5개의 정기강좌와 1개의 특별강연회로 구성되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세종여민락아카데미 하반기 정기강좌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세종
다운로드 수
12
-
2017년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한 경기꿈다락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내용을 정리하여 발간한 결과자료집이다.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예술이 주는 상상, 놀이의 즐 거움이 가득한 토요일을 만들어가고 있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경기꿈다락토요문화학교 '꿈다락 놀이터 다시, 꿈다락 새로이, 꿈다락'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55
-
2016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추진사업을 정리하여 제작한 결과자료집이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6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3
-
2017 경기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거점 및 커뮤니티 형성 을 기대할 수 있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지역 문 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창의성 및 예술성을 움 틔우고 이를 바탕 으로 지역 내에 새로운 공동체적 가치와 고유한 색을 입혀나가는 일을 수행중이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경기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결과자료집 '지역 읽기, 마음 잇기''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49
-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예술이 주는 상상, 놀이를 통한 즐거움이 가득한 토요일을 만들어 가고 있다. 2017년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는 총 26개 지역, 58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경기 지역 곳곳의 꿈다락 교육 현장을 돌아보고 단순 모니터링이 아닌 운영 단체 및 기관의 발전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며 센터와 단체·기관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 고민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경기 꿈다락토요문화학교 모니터링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44
-
2017 경기문화재단이 전하는 문화예술교육 현장 소식 지지봄봄 단행본이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지지봄봄 통합본'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6
-
인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아카데미에서 꿈다락 노닐마루 비빌언덕에서 2017년 12월 1일에 진행된 '문화예술공간과 예술교육자의 상호 성장하는 만남; 토요문화학교에서의 기관과 단체의 협력 모델' 강의자료로 극단 목요일오후한시의 김인혜, 이현수, 강경선이 강의하였다. 극단 목요일오후한시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진행하였던 내용 중심으로 기관과 단체간의 협력하였던 사례와 이를 통해 구상할 수 있는 협력모델에 대해서 공간과 프로그램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인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아카데미 '문화예술공간과 예술교육자의 상호 성장하는 만남' 강의 자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극단 목요일오후한시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