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는 ‘업사이클’ 이란 주제로 다양한 전시와 디자인 교육 및 이벤트가 이루어지는 예술 공간이에요. 다양한 폐자원으로 만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는 전시 관람뿐 아니라 체험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이에요. 업사이클아트센터에서 ‘업사이클’은 ‘업그레이드(upgrade)’와 ‘리사이클(recycle)’을 합친 용어입니다. 재활용(recycle)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한 단계 더 나아가 작품을 만들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쓰레기가 예술작품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업사이클 작품을 감상해볼까요? (활동2) 재활용품을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 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임슬기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97
  • 과천 야생화 자연학습장 과천종합청사 뒤쪽에 위치한 과천야생화자연학습장은 과천시에서 자연과의 조화와 학습을 목적으로 조성한 곳입니다. 면적 6,900㎡에 약 112종의 야생화와 수목들이 식재되어 있습니다. 학습장은 원추리단지, 나리단지, 초화류, 약용식물, 음용식물, 사계절야생화 등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공간에 따른 특징이 있는데, 염료직물 식물원은 천연염색에 사용되는 야생화 및 자생식물을 감상, 설화식물원은 전설 및 설화를 간직한 자생식물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 향기식물원은 향기를 가진 자생식물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각 특징에 맞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곳입니다. 유아들의 체험공간으로 단체 견학이 많으며 관악산 둘레길과 근접하여 50세 이상의 성인들에게도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야생화편지: 꽃이 내게로 왔다 (대상) 청소년(중∙고등), 성인   (활동1) 야생화 이름을 불러보세요. (활동2) 야생화 당신, 소중한 사람을 위한 야생화를 담아 보세요. (활동3) 선물을 포장하여 소중한 사람에게 선물해 보세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애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48
  • 국립춘천박물관 박물관이란 유물(역사적으로 중요한 물건과 기록)들을 모아 보관하고 전시하는 공간이에요. 이 외에도 훼손된 유물들을 복원하기도 하고, 정리하여 연구하는 일도 하고 있어요. 그리고 박물관의 중요한 일은 여러 사람들에게 우리 역사를 알 수 있는 소중한 유물들을 통해 다양한 교육을 하는 것이에요. 우리나라에는 나라에서 운영하는 여러 국립박물관이 있어요. 우리는 오늘 춘천에 있는 국립춘천박물관을 방문해봅시다!   [주요활동내용] 선사시대 조상님들의 하루는 어땠나요? (대상)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선사시대 조상님들의 생활을 알고 싶어요. (활동2) 선사시대 조상님들의 생활을 상상하여 하루일과 장면을 만화로 그려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시소랩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37
  • 이동 고인돌 1,2 의왕시에는 청동기 시대 지배 계층의 무덤으로 추측하는 고인돌들이 있습니다. 그중 이동에는 두 개의 남방식 고인돌이 있습니다. 남방식 고인돌은 기반식 고인돌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판돌을 세우거나 깬돌, 자연석으로 쌓은 석실을 지하에 만들고 그 주위에 받침돌을 4개에서 8개 정도 놓고 그 위에 커다란 덮개돌로 덮어 마치 바둑판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남방식 고인돌은 덮개돌이 거대하고 괴석상을 한 대형의 고인돌들은 호남과 영남지방에서만 보이고 뚜렷한 석실이 없는 것이 많습니다. 규모가 큰 기반식 고인돌은 산기슭이나 구릉, 계곡 끝 평지에서 1기씩만 존재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나, 고인돌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곳에서는 군집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거나 얼마간 떨어져 독립적인 위치해있기도 합니다.   [주요 활동내용] 동네에서 하는 고대에 대한 상상! (대상) 청소년(중∙고등)   (활동1) 이동 고인돌에 대해 알아보자. (활동2) 이동 고인돌 관찰하기 (활동3) 나만의 고인돌 기념물 만들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상숙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8
  • 구 서이면사무소 구 서이면사무소는 2001년 1월 16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1914년 과천군 서이면의 면사무소로 세워졌다가 1917년 현 위치로 옮겨졌어요. 현존 건물은 안양시 상업중심지구에 있으며 앞쪽은 도로와 가깝고, 오른쪽 및 맞은편에는 상업시설, 왼쪽에는 안양1동사무소가 있습니다. 창호 등이 부분적으로 변형되었으나 전체 가구(嘉構)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부재 상태도 양호한 편입니다. 20세기 초반의 치목 및 가구 기법과 의장 수법이 잘 반영된 건물로서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안양의 독립운동가를 찾아서 (대상) 청소년(중∙고등)   (활동1) 구 서이면사무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안양의 독립운동가를 찾아볼까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전유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1
  • 원주한지테마파크 원주한지테마파크는 한지를 주제로 다양한 전시와 교육체험을 경험하고 한지문화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에요. 조선시대<세종실록 지리지>에는 닥나무가 원주의 특산물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어 한지의 본고장이 원주임을 말해주고 있어요. 세계에서 제일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리니경>은 경주 불국사에서 발굴되어 한지가 천년 이상 간다는 사실을 입증했고, 조선시대 세종대왕은 1446년 한글 창제 원리를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았는데 그 당시 목판에 정교하게 글자를 새긴 뒤 한지에 인쇄하여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에요. 한지문화테마파크에서는 이렇게 뛰어난 한지를 만나볼 수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한지야 세종대왕 훈민정음과 놀자! (대상) 아동 (초등 전 학년)   (활동1) 한지에 대해 알아보아요. (활동2) 나만의 훈민정음 한지등을 만들어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영희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58
  • 달미작은도서관 달미작은도서관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위치한 공립작은도서관이에요. 2018년 12월 12일에 개관했으며, 종합자료실(유아, 어린이자료실), 문화교실, 중앙정원,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어요. 경기도민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자료이용은 1인 1관당 10권의 자료 대출이 가능하며, 대출 기간은 14일입니다. 1인 2권의 도서 예약이 가능한 도서예약제를 운영하고 있어요. 달미작은도서관에서는 문화교실을 통한 문화강좌와 다양한 행사들도 운영되고 있답니다.   [주요 활동내용] 돌돌돌 나만의 책 만들기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달미작은도서관에 대해 알아보고, 퀴즈를 풀어보아요. (활동2) 돌돌돌 나만의 책을 만들어 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주미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55
  • 수원영동시장 수원 영동시장은 200여년의 역사를 지닌 시장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수원 ‘화성’ 팔달문과 근접한 위치에 자리 잡고 있어 수원 화성 관광과 재래시장 체험을 함께 즐기기에 좋은 명소입니다. 경기 남부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수원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으로 약 300여 개의 점포에서 다양한 품목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복 점포가 40여 개로 수원의 대표 한복 특화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복 특화시장인 만큼 영동시장의 블로그에는 한복 점포의 장인들에 대한 인터뷰가 소개되어 있고, 영동시장 홈페이지에서는 한복의 다양한 종류와 한복을 입는 법, 한복 보관 및 세탁(관리)법에 대한 안내가 자세히 나와있어 시장의 한복에 대한 사랑과 자부심을 더욱 느낄 수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나만의 한복을 디자인해보자!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한복에 대하여 알아보자. (활동2) 하나뿐인 나만의 한복을 디자인 해보자.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송여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00
  • 안양사 귀부 안양사 ‘귀부’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안양사’ 대웅전 앞에 위치한 문화재로 거북모양의 돌비석 받침돌을 의미합니다. 비석이란 어떤 업적, 행적 등을 후대에 전하기 위해 돌에 글을 새겨 세워놓은 것으로, 내용에 따라 탑비(승려의 행적을 기록), 사적비(어떤 사실이나 자취를 기록), 묘비(죽은 이의 행적 등을 기록) 등으로 종류가 나눠집니다.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비석의 구성은 귀부(‘비신’과 ‘이수’를 지탱하기 위한 받침돌), 비신(비석 주인공의 공적이나 행적 등을 기록한 ‘비문’이 새겨져있는 비석의 몸체), 이수(비신의 윗부분에 얹는 머릿돌로, 일반적으로 용의 형상을 조각하여 장식되어있음)로 구성되는데, 안양사 ‘귀부’는 비석의 주인공이나 그 내용이 새겨진 ‘비신’과 ‘이수’는 사라지고 귀부만 남아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성연대나 관련내용은 알 수 없으나, 용의 형상을 한 머리와 귀갑문, 사실적인 세부묘사, 문양의 도식화 등 전체적인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주요 활동내용] 안양사 귀부의 원래 모습은 무엇일까? (대상) 청소년(고등)   (활동1) 비석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활동2) 대지 예술가가 되어보자!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서연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4
  • 금암공원 프로젝트 금암공원은 충남 계룡시에 위치한 도시공원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추진하는 공공미술 시범사업 <도시공원 예술로>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주민·기획자·예술가·공무원 등이 함께 ‘예술’을 매개로 ‘나’와 ‘너’가 얼마나 다른 의견을 가졌는지, ‘차이’에 대한 주제로 도시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통해서 ‘예술산책’에서는 작가들이 예술 행위를 통해 공원에 새로운 자리를 만들어 놓았고, ‘공원산책’에서는 시설의 다른 쓰임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숨겨진 산책’은 앞으로 만나게 될 이야기를 숨겨놓았습니다. 금암공원 프로젝트는 ‘차이’라는 소통의 작은 시작을 통해 공원 예술의 첫발을 내딛고, 주민의 감성을 새로운 ‘삶의 산책’으로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너와 나의 차이의 싸움 '금암공원 삶의 산책' (대상) 전 연령   (활동1) 작가’와 ‘나’의 생각 차이를 이야기하기 (활동2) ‘우리’와 ‘나’의 생각 알아차리기 (활동3) 나만의 ‘삶의 산책’ 작품 창작하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박수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45
  •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은 보물 제983호로, 원래 봉업사지에 있었던 것을 죽산중학교로 옮기고 그 뒤 다시 선덕여왕 5년(636년)에 자장율사가 세운 경기도 안성의 칠장사(七長寺)로 옮기게 되었어요. 불상과 광배(光背)가 같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불상 높이는 1.57m이고 총 높이는 1.98m입니다. 눈·코·입은 심하게 닳았고,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어요. 옷 주름은 여러 겹의 둥근 모양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치마가 양다리 사이에서 지그재그 모양으로 되어 있어요. 전체적인 신체표현에 있어서는 손이 약간 큰 편이기는 하지만 머리, 어깨 너비 등의 신체비례가 비교적 좋습니다. 불상의 뒷면에는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가 있는데 주위에 불꽃무늬를 새기고 있어요. 당당한 어깨, 발달된 신체표현, U자형의 옷 주름, 그 밖의 조각기법 등으로 미루어 이 불상은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이 지방 불상양식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높이 평가됩니다.   [주요 활동내용] 조심조심, 문화재를 고쳐요! 안성 봉업사진 석조여래입상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에 대해 알아볼까요? (활동2) 조심조심, 문화재 수리!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복원하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아미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5
  • 신봉동 고분군 신봉동 고군분은 백제권역 최대의 무덤 밀집지역으로, 1987년에 사적 제319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습니다. 청주 시내를 남동에서 북서쪽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무심천 서북쪽 기슭의 동쪽 비탈진 곳에 분포하고 있는데, 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상당한 기간 동안 만들어진 것으로 백제시대의 다양한 묘제가 한 곳에 모여 있어서 이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는 고분군입니다. 토기류, 옥과 같은 장신구류, 철로 만든 칼이나 도끼와 같은 무기류·마구류 등 여러 가지 유물들이 출토되어 백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신봉동식토기라 불리는 적갈색 연질 장란형(長卵形) 항아리, 손잡이잔(把杯), 새발자국무늬(鳥足文)가 찍힌 토기 등은 청주지역의 매우 독특한 문화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요활동내용] 잠자던 청주 '신봉동 고분군' (대상) 청소년(중∙고등)(중·고등), 성인   (활동1) 파배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세상에 딱 하나, 나만의 '파배'를 만들어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정미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15
  • 만안교 만안교(萬安橋)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조선 정조(正祖)의 현륭원(顯隆園) 참배 행차 시 통행 편의를 위해 가설한 다리로 정조 19년(1795)에 건립하였습니다. 원래 왕의 행차로에는 나무다리를 가설했다가 왕의 행차가 있은 뒤에는 바로 철거하고, 행차가 있을 때에 다시 가설하는 것이 상례였어요. 정조 18년(1794)으로 첫해에는 이처럼 임시로 나무다리를 놓아 사용하였는데 다리를 놓았다 헐었다 하는 번거로움과 평상시 다리를 이용할 수 없는 백성들의 고통이 많아서 항구적인 돌다리를 놓게 되었습니다. 다리의 규모는 원래 길이 15장(약 30m), 폭 4장(약 8m), 높이 3장(약 6m)이고 홍예수문(虹蜺水門)이 5개라 하였는데, 현재는 홍예가 7개인 것으로 보아 시공 당시에 변경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축조 양식이 매우 정교하여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홍예석교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역사와 예술로 다시 보는 '만안교' (대상) 청소년(중∙고등)   (활동1) 퀴즈로 알아보는 만안교의 역사와 다리 구조, 아래 그림의 번호를 보고 하나씩 풀어 보세요. (활동2) 나만의 컬러링 액자를 만들어 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박소연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1
  • 건들바위 대구 중구에는 건들바위라고 불리는 큰 바윗덩이가 있어요. 바위의 모양이 삿갓 쓴 노인과 비슷하다고 하여 삿갓바위라고도 불리는 건들바위는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생긴 바위에요. 아주 오래전인 약 1억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 때, 호수로 운반되어 온 자갈, 모래, 실토, 점토 등의 물질이 쌓여 이루어진 퇴적암이에요. 옛날에는 건 들바위 앞으로 대구천이 흘렀는데 천이 흐르면서 바위가 계속 깎여서(침식작용) 만들어진 것이에요. 시간이 흐른 뒤 바위가 갈라지고 침식이 계속 되면서 암벽 본체에서 거들바위가 떨어져 나와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답니다. 건들바위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생긴 것인지 확실치는 않으나, 서 있는 모습이 불안하게 보여 인근 주민들은 건들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해요.   [주요활동내용] '시간을 품은 바위'와 여행하기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퇴적암 만들기 (활동2) 원근감을 활용한 사진 촬영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정민영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74
  • 의안대군 이화의 묘와 사당 이화(李和, ?~1408)는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태조의 이복동생입니다.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어 영의정이 되고 대군에 봉해졌습니다. 사당은 남양주시 평내동 151번지에 있으며, 1986년 4월 10일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의안대군을 비롯하여 그의 아들인 좌명1등 공신 완천군(完川君)과 손자 좌명2등 공신 하령군(河寧君)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목조 건물로 규모는 12.8평 정도이며, 지붕은 가로 635cm, 세로 430cm의 맞배지붕입니다. 사당 입구의 대문은 3단으로 구성된 솟을 대문으로 그 문을 중심으로 나지막한 담을 둘러 사당을 보호하게 하였습니다. 조선 태종의 명으로 건립되었으며, 전쟁으로 인하여 소실되었던 것을 숙종 대에 다시 건립하였습니다. 또 한국전쟁 때 건물이 많이 파괴되어 1956년과 1977년에 두 차례에 걸쳐 보수하였습니다.   [주요활동내용] 고려와 조선의 공신 '의안대군' (대상) 청소년(고등), 성인   (활동1) 고려 말 조선 초의 역사를 알아봅시다. (활동2) 좀 더 알아볼까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미정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2
  • 철쭉동산 수리산 등산로와 이어져 있는 작은 언덕에 만들어진 철쭉동산은 군포시가 1999년부터 6년간 자산홍·영산홍·산철쭉·백철쭉 등 여러 종류의 철쭉과 참나리·벌개미취 등의 야생화를 심어 시민휴식공간으로 꾸민 곳이에요. 해마다 4월말이면 도시 한가운데서 활짝 핀 철쭉꽃을 감상할 수 있어 군포의 뛰어난 8가지 경치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해요. 매년 철쭉동산과 철쭉동산 건너편 양지공원에서는 각종 음악공연과 전시회, 체험행사, 경연대회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철쭉동산 축제도 열린답니다. 철쭉동산에는 호랑이와 용이 싸우다 수리산 신령에게 벌을 받고 자갈밭에서 철쭉꽃을 피운 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요, 다함께 철쭉동산의 이야기를 알아볼까요?   [주요 활동내용] 설화와 함께하는 철쭉동산 꽃피우기 (대상) 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철쭉동산에 대해 알아볼까요? (활동2) 철쭉동산을 만들어 볼까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류영란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2
  • 봉무나비생태원 봉무나비생태원은 어린이들에게 나비와 곤충을 통해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한 자연생태체험장으로 만들어졌어요. 나비누리관, 나비학습관, 곤충 생태관, 나비사육장이 있고, 나비학습관은 우리나라 나비 150여 종과 외국 나비 100여 종 등 나비 표본 1,000여 개체를 볼 수 있어요. 또한, 나비의 기원, 일생, 분류 등 10여 개 코너를 마련하여 나비에 관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도록 전시하고 있습니다. 곤충생태 관은 나비를 방사하는 유리 온실로, 봄에서 가을까지는 정서곤충을 관람할 수 있고 겨울에는 날아다니는 나비를 직접 볼 수 있는 체험장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우리도 함께 나비와 곤충들을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주요 활동내용] 알록달록 나비야! 날아라~ (대상) 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나비의 생태에 대하여 알아보자. (활동2) 알록달록 빛나는 나비 만들기 (활동3) 불빛을 비추어요. 크기가 달라지는 알록달록 나비를 관찰할 수 있어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유경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38
  •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은 광복 60주년 2005년에 개관하였습니다.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문화,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왕실의 유물을 보존하고 복원하여 그 가치를 전달하는 곳입니다. 왕실의 유물과 소장품으로 상설전시와 특별전시가 이루어지며 3개의 층과 7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설 전시실의 유물들은 더욱 잘 보존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교체됩니다. 다양한 전시 및 교육을 통해 조선 문화의 가치를 깊이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주요활동내용] 박물관에서 놀자! 국립고궁박물관 (대상) 전 연령   (활동1) 기록하고 기념해요. (활동2) 궁궐에서만 그림을 그리는 사람, 화원 (활동3) 스스로 치는 물시계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국립중앙박물관 홍수정 연구원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37
  • 서울시립미술관아카이브 현대미술의 중요 자료와 기록을 수집·보존·연구하고 전시하는 아카이브 기능이 특화된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가 2022년 종로구 평창동에 개관해요. ‘서울시립미술 아카이브’에서는 작가노트, 미완성 드로잉, 육필원고, 일기, 서신, 메모, 사진, 필름과 같이 예술작품이 완성되기 전까지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창작자와 비평가, 큐레이터 등이 생산한 미술자료를 중점적으로 수집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시민들에게 제공해요. ‘아카이브’를 통해 우리는 작품이 완성되기 전까지 작가의 아이디어가 형성·발전되는 과정과 제작 의도, 제작 당시 상황을 이해하고 보다 깊이 있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아카이브가 역사를 지킨다 (대상) 전 연령   (활동1) 아카이브(archive) 에 대해 알아보자! (활동2) 아카이브가 필요한 나의 자료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노연숙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35
  •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건원릉(健元陵)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으로 구리 동구릉에서 가장 먼저 조성되었습니다. 정자각은 제향 (祭享, 제사)을 지내는 건물입니다. ‘丁’자형 평면의 건물로, 태조가 세상을 떠난 1408년(태종 8)에 건립되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요. 전체적으로 조선시대 정자각의 전형적인 형태를 잘 따르고 있으며, 기둥 상부의 *익공(翼工)형식은 18세기의 수법을 보여주고 있어 조선 전기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조선 1대 태조 황제의 능인 건원릉 정자각이라는 상징적 의미뿐만 아니라, 조선의 능침제도 중 정자각의 표준으로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큰 건물입니다.   [주요활동내용]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의 단청과 잡상 (대상) 청소년(중등)   (활동1)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단청과 잡상을 상상해서 그림으로 표현해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채보미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