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2021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이며,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는 유아교사 및 유아부모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하기 지역문화시설의 고유 콘텐츠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예술경험 영역'을 연계한 유아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박물관 수, 재단법인 수성문화재단, 창의예술교육연구소 모이다에서 진행한 각 프로그램들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프로그램 특징 및 구성, 참여기관, 세부교육 구성 내용, 회차별 구성, 지도안, 후기 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1년 작성한 '2021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38
  • 예술놀이 LAB은 예술놀이 연구·창작·실행의 플랫폼이다. 본 자료집에서는 예술놀이 LAB 프로그램의 설명과 진행 사진, 프로그램 진행 TA(Teaching Artist: 일상 속 예술경험의 매개자)에 대한 설명이 담겨있다. 또한, 참여자들의 후기, TA들이 생각하는 예술놀이 LAB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살펴 볼 수 있다.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CCL 라이선스로 개방한 '2021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예술놀이LAB 운영 결과 자료집 '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https://www.sfac.or.kr/archive/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16
  • 본 자료는 2021 문화파출소 달서 결과자료집으로 문화파출소 달서에서는 문화예술 치유프로그램, 장르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역점 공간 활성화 프로그램, 비대면 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달서에서 진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은 남녀노소, 사회 계층과 관계없이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즐기는 기회를 제공한다. 문화파출소 달서에서 운영한 14개의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정보와, 목표/방향, 상세내용, 진행과정 사진, 결과물 사진, 소감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1년 작성한 '2021 문화파출소 달서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62
  •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융복합 예술교육'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예술적인 체험으로 디지털을 만나고 디지털을 활용하는 경험이 즐겁고 다양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기획한 프로그램 아카이빙북이다. 디지털 네이티브임에도 디지털 접근에 어려움을 경험했을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더 가깝게, 더 쉽게, 더 즐겁게 디지털 문화를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연구한 교육과정들의 기획, 진행과정, 연구결과 등이 담겨져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유쾌한 다운로드 수 341
  • 본 기록집은 2021년 3년차가 된 사업의 성찰을 위해, 사업에 참여한 운영기관별 총괄기획자들의 생각과 그것을 교육현장에서 실제 운영한 교육자(아티스트, 기술공학자 등)들의 인터뷰 내용을 담았다. 또 서로 다른 위치에서 융합예술과 관련된 연구, 교육, 개인작업을 진행한 전문가와 청소년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브런치를 통해서도 기록집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runch.co.kr/magazine/okcompute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3
  • 2021 창의예술교육 랩 '아트사이'는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과학과 예술을 융합 프로그램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창의성, 상상력이 더해져 조금 다른 모습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자료집에는 2021년 아트사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3개 단체에서 진행한 프로그램 내용이 담겨져 있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 '아트사이 ART+SCI'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89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실천 사례를 살펴보고, 블렌디드 러닝 문화예술교육의 실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블렌디드 러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특징을 기술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블렌디드 러닝 문화예술교육의 유형을 개발하고 유형별 실천 가이드를 개발함 으로써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안금희, (공동연구원)김수진, (연구보조원)양지연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디지털 시대 문화예술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실천 가이드'이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인교육대학교 지누아트랩 만든이(개인) 안금희 , 김수진 , 양지연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96
  •  '소행성42PX+5H' 는 전 지구적으로 겪고 있는 관계, 공동체, 기후 등 주요 사회, 환경적 위기로부터 타인 그리고 환경과의 관계, 연결, 공감능력의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감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 청소년 대상의 예술체험, 놀이, 교육 콘텐츠와 공간문화를 실험해보고 부산형 문화예술교육 전용공간의 필요성을 무엇으로 채울 수 있는지 고민하였다.   프로그램에는 (참여작가)최동민, 이서연(협업 옥창엽), 이연정, 구태경, 김동현, 김정, 김영미, 김지훈, 심아영, 오승진, (공간미술)황경호, (영상기록)최병훈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공간문화예술교육 '소행성42PX+5H'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108
  • 본 자료는 인천 지역 생활문화동아리 및 예술동호회 대상으로 진행된 "2021 인천 생활문화동아리 및 예술동호회 지원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본 사업은 연내 인천에서 실행가능한 동아리 모임과 발표 활동 및 교육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각 매개자 별로 담당 동아리를 맡아 사업이 추진되었다. 자료집은 사업개요와 각 생활문화매개자별 담당 동아리 단체별 상세 내용 및 현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생활문화동아리 및 예술동호회 지원사업 '아름다운 우리들의 인생' 결과자료집 '이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113
  • 본 저작물은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문제가 된 부분을 조사하고 문화예술교육기관 담당자,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교육자, 문화예술교육참여자 등의 관계자들과 함께 워크숍을 통해 제작된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문화다양성 안내서>이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기획 및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써왔던 다양성을 훼손하는 표현 또는 행위들이 있는지 자가 진단하는 과정을 마련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 존중과 평화롭고 평등한 문화다양성의 가치 확산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문화다양성 안내서'로,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https://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아시아인권문화연대 만든이(개인) 이완 , 안태호 , 오혜민 , 이정은 , 차원 , 최선영 , 최준영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15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진행한 '2021 경기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경기도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은 학교교육 교과과정과 직접 연계해 동학년 학교교사와 예술강사가 공동으로 새로운 교육연극 수업을 개발하고 협력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사업으로 동학년 담임교사들과 예술강사가 함께 교육과정에 있는 교과내용을 선택하고 교육연극으로 재구성하여 각 학급별 시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한다. 자료집은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과 운영 기관, 추진단 소개와 연수운영 내용, 지역별 프로그램 소개 및 기획지원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 결과자료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43
  • 본 저작물은 <아버집>프로젝트로의 일환인 '아빵가르드 : 두 명의 예술가와 네 명의 아버지의 대화' 프로그램의 자료집이다. <아버집> 프로젝트는 서울문화재단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의 부모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기존 아이를 위한 예술교육 매개자 역할을 강조한 교육에서 스스로가 더 나은 삶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아버지들과 예술가들이 함께하는 '대화'를 담고 있다.  자료집은 여는글로 시작해 예술가의 글, 두 명의 예술가와 네 명의 아버지의 대화 내용을 담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아버집 프로젝트 vol.4 '아빵가르드 : 두 명의 예술가와 네 명의 아버지의 대화'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00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운영한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의 기록을 담은 아카이브 북이다. 관악창작놀이터는 '아이들이 예술로 뛰어놀 수 있는 곳'을 목표로 개관했으며 지역 안에서 어린이와 부모,  가족에게는 예술 경험의 장으로, 예술가에게는 예술교육 활동을 위한 지원과 실행의 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아카이빙 북은 지난 11년의 성과와 관악어리이창작놀이터를 거쳐 간 어린이, 예술가, 시민, 실무자 등 공간에서 만난 사람들과 창작공간의 도전과 실험 등이 기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 아카이브 북'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22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1년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한 '2021 경기시민예술학교' 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경기시민예술학교는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시민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자기 표현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고 경기도 내 여러 거점을 구축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기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자료집은 운영 기관, 경기시민예술학교, 기획지원사업 소개와 경기시민예술학교 캠퍼스 성남, 평택, 하남, 의정부, 동주천에서 진행한 프로그소개 및 강사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경기시민예술학교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https://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05
  • 본 저작물은 문화예술 기획 혹은 인천 탐구에 관심이 있는 청년들과 인천 연고 청년 그룹(팀) 또는 개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청년동네탐구생활사업 '시작공간 일부'의 결과자료집이다.  시작공간 일부란 청년창 작의 첫걸음을 이 곳에서 시작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지은 이름으로 청년 창작자들이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필요로 하는 관계의 엄연한 「일부분」으로 자리매김 하여, 청년 창작자 및 기획자들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뜻을 담고 있다.  자료집은 청년동네탐구생활 사업개요와  진행한 공연과 문화기획 및 관광문화 기획등 다양한 탐구생활 멤버 및 탐구 활동 등이 기재된 우리의 탐구생활, 인천청년문화창작소 시작공간 일부 소개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시작공간 일부 청년동네탐구생활 결과자료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55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진행한 경기 장애아동가족 예술교육 프로젝트 <포르르와르르사르르>의 과정기록집이다. <포르르와르르사르르> 프로젝트는 장애아동 및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의 비언어적 요소와 직관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의 참여 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비대면 놀이 현장 조성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장애아동이 놀이방법 및 의미를 단계적, 논리적으로 이해하기보다 참여 자체로 인식할 수 있는 비언어적, 직관적인 예술놀이를 비대면 예술교육으로 시도한다.  자료집은 프로젝트의 홍보 방식과 개별성을 중점으로 하는 참여 아동에 대한 질문 방법, 프로그램 키트와 결과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경기 장애아동가족 예술교육프로젝트-포르르와 사르르 과정기록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유구리최실장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71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진행한 <인천청년한달레지던시> 사업의 자료집이다. <인천청년한달레지던시>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강화지역 청년 활동가와의 네트워크 확 장을 통해 지역 청년의 삶을 이해하고, 해당 지역과 연계된 청년 창작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인천 지역 내 레지던시 경험을 통해 인천 지역을 이해하고 창작자로서의 자신을 탐색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지역과 청년이 함께할 수 있는 청년문화 활성 프로젝트의 가능성을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은 5일동안 진행되는 체험형 레지던시와 3주간 진행되는 정주형 레지던시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집에는 작가들의 프로그램 참여 후기와 작업 일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인천청년한달레지던시 자료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인천청년문화창작소, 협동조합 청풍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51
  • 본 저작물은 2021년 4월 17일(토)부터 9월 4일(토)까지 진행한 '김홍도의 그림사랑방'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전통예술과 놀이를 통해 자신을 들여다고보고 표현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풍요롭게 하는 시간 부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다. 자료집은 김홍도의 그림사랑방 1기부터 4기기 프로그램과 그림에서 찾아낸 교육아이템, 정성으로 이뤄내는 성장과 가능성, 덧붙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 교육 '김홍도의 그림사랑방' 결과자료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www.b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부평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부평구문화재단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182
  • 가족여가 프로그램은 사회문화 환경 변화를 고려 다양한 가족유형이 참여할 수 있는 가족 여가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지원하는 사업이다.  자료집은 가족여가 프로그램 2회차를 맞이해 문화예술교육이 달라져 가는 가족의 형태에 어떤 좋은 삶을 제안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고 전문가 기고를 통해 사업의 의의와 단체의 활동 현장을 좀 더 깊게 들여다보며 의미 지점들을 찾아 나가고자 한다.  프로그램에는 (콘텐츠기획)이민아, (전문가)백현주, 김월식, 김미경 (참여단체)문화공동체 아우름, 보물섬, 한국무용학회가 참여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39
  • 2021 농어촌 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로그온 예술교실' 은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농어촌‧도서벽지 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경험 선사 및 농어촌 지역 학교간 교류 활성화 도모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본 자료는 영화 창작 프로그램; 우리 마을 영화 창작소 워크북으로 동네에서, 학교에서 함께 보낸 시간들을 이야기해보며 기억과 기록, 시간을 엮어 작품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는 (협력)공주대 중앙농어촌교육지원센터, (기획 및 참여에술가)고찬호, 최정운이 참여하였다. 워크북은 프로그램 소개, 차시안내, 수업재료, 수업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아트숨비 다운로드 수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