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28건
-
은 '사람'과 '매체' 두 키워드를 중심으로 코로나 시대 이후를 준비하는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이다. 펜데믹 상황에서 일시적인 대안으로 선택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이 아닌 비대면의 환경이 가진 특정한 감각과 조건을 탐구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창작 행위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다각도로 활용될 수 있는 비대면 콘텐츠 개발을 위해 총괄디렉터(1인), 예술가(6개팀, 8인), 에디터(3인)으로 구성된 '프로젝트개발그룹'이 함께 새로운 예술교육 활동 수행하였다.
결과자료집은 프로그램 개요 및 상세 내용 소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카이빙 채널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다. [바로가기]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이안
다운로드 수
393
-
2021 농어촌 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로그온 예술교실' 은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농어촌‧도서벽지 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경험 선사 및 농어촌 지역 학교간 교류 활성화 도모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본 자료는 음악 창작 프로그램 '우리만의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 워크북으로 나만의 이야기에서 시작하는 스토리텔링 과정을 통해 우리만의 음악을 작곡하고 합주해 보는 음악과 국어 교과연계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는 (협력)공주대 중앙농어촌교육지원센터, (기획 및 참여에술가)안기복, 노경석이 참여하였다.
워크북은 프로그램 소개, 차시안내, 수업재료, 수업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아트숨비
다운로드 수
345
-
2021 농어촌 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로그온 예술교실' 은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농어촌‧도서벽지 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경험 선사 및 농어촌 지역 학교간 교류 활성화 도모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본 자료는 입체 낭독극 창작 프로그램 '리틀 타운'의 워크북으로 일상생활에서 익숙하게 들었던 소리를 탐색하여 자신만의 이야기로 만들어 보고, 연극의 신체 움직임 및 리듬을 표현하는 국어, 음악, 미술의 연계교과 '입체 낭독극' 창작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는 (협력)공주대 중앙농어촌교육지원센터, (기획 및 참여에술가)이보늬, 유종완이 참여하였다.
워크북은 프로그램 소개, 차시안내, 수업재료, 수업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아트숨비
다운로드 수
242
-
본 자료는 2021 농어촌 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인 '로그온 예술교실' 사례집이다.
로그온 예술교실은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농어촌‧도서벽지 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선사하고 농어촌 지역 학교간 교류 활성화 도모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사례집은 로그온 예술교실 소개와 분야별로 진행된 예술교육 프로그램, 성과 공유회에 대한 오픈토크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아트숨비
다운로드 수
377
-
본 자료는 꿈의 오케스트라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으로 진행된 '악(樂)동들의 음악창작소' 결과기록집이다.
'악(樂)동들의 음악창작소'는 악기 연습과 더불어 예술적 상상력을 더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참여 단원의 도전의식 및 다양한 범주의 음악적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자료집은 단원들이 체험한 그래픽 악보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본인이 만들고 싶은 짧은 곡 만들어 보기 등의 활동, 프로그램 참여 소감 등을 담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통영국제음악재단
만든이(단체)
통영국제음악재단
지역
경남
다운로드 수
146
-
본 자료는 안양문화예술재단에서 진행한 '2021 꿈의 오케스트라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한 걸음, 한 걸음, Barvo! 작곡가'의 결과자료집이다.
'한 걸음, 한 걸음, 한 걸음, Barvo! 작곡가' 프로그램은 작곡을 기반으로 미술과 음악 레크레이션을 활용하는 문화예술 교육으로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직접 작곡한 곡으로 연주하는 등 공동체 속에서 스스로 역할을 돌아보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함으로 소속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자료집은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운영진의 프로그램에 대한 감상과 소회를 및 프로그램의 운영 기록과 결과물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안양문화예술재단
만든이(단체)
안양문화예술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25
-
본 자료는 오산문화재단에서 2021 꿈의오케스트라 자립거점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슬기로운 꿈오 탐구생활'의 결과기록집이다.
기록집은 단원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에피소드, 느낀점 등을 디지털 에니메이션으로 제작해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 보는 계기를 갖기 위해 제작하였으며 슬기로운 꿈오 탐구생활 기획 및 내용과 연주회 및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관계자와 참여학생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오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오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74
-
본 자료는 성북문화재단에서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으로 진행한 2021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의 주요 활동이 담긴 결과기록집이다.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은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6년 운영 후 자립한 거점기관들을 대상으로 지속적 발전이 가능하도록 운영을 지원하는 자립기관의 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사업을 통해 참여자의 도전의식 및 음악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기록집은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의 소개와 주요 활동 및 프로젝트 4기 진작에 대해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인터뷰, 창작 활동 등의 모습을 담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성북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성북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89
-
본 자료는 부안아리울오케스트라에서 진행한 꿈꾸는 베토벤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꿈꾸는 베토벤' 프로그램은 아동, 청소년들의 상상력을 이끌어 즐거운 놀이 및 창작활동으로 미적 체험의 경험을 부여하고 각자가 갖고 있던 창의력 이용해 각자만의 특별한 음악을만들어 멋진 작곡가 및 연주가로 성장시켜주기 위해 진행되었다.
자료집은 기획의도, 회의록과 수업, 사전 워크숍, 성과발표회의 내용 및 사진 자료가 기록된 기록일지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안아리울오케스트라
만든이(단체)
부안아리울오케스트라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87
-
본 자료는 꿈의 오케스트라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으로 진행된 '안동문화 꿈나무-안동의 문화예술을 배우다' 프로그램의 결과기록집이다.
안동꿈의오케스트라는 음악교육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건강하고 다면적인 성장 유도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단원의 성장과 지역 사회와의 공유를 가족 및 지역사회의 변화와 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록집은 안동꿈의오케스트라 소개와 발자취, 교육활동, 결과물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안동문화예술의전당
만든이(단체)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지역
경북
다운로드 수
64
-
본 자료는 2021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쉼표' 사례집이다.
예술쉼표는 2040 직장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하여 양질의 프로그램 발굴 및 확산 시도와 직장인의 환경과 여건을 고려한 다양한 참여 방식을 시도하며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 확대를 목적으로 진행한 사업이다.
자료는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개요 및 소개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된 문화예술 사례를 담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와우책문화예술센터
다운로드 수
621
-
본 자료는 2021년 진행된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문화예술교육자와 참여자의 사례를 공유한 '온누리예' 사례집이다.
자료는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담은 '랜선이 맺어준 우리', 색다른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사례를 담은 '교육계의 인디장르', 군대 및 소년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수행된 문화예술 교육 사례를 담은 '나를 웃게 한 사람들' 순서와 해당 주제에 대한 오픈토크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82
-
본 자료는 2021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 자료집 [온더그라운드] 이다.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은 지역의 여건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설계를 통해 지역의 특성 수요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는 사업방향 및 지역별 1·2년차 문화단체의 사업 소개, 성과 사례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 궁리
다운로드 수
460
-
본 자료는 관계자 및 외부 전문가가 가지고 있는 노하우 및 교보재를 패키지 형태로 제작한 '꿈의 오케스트라 노하우 ZIP'이다.
자료에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시초부터 전국 거점 기관 현황 및 프로그램 제작에 도움을 준 관계자들의 인터뷰와 알아두면 좋은 악기 정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이지현
다운로드 수
325
-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이하 창의랩 사업)은 4차 산업혁명 등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필요한 핵심 역량인 창의성, 상상력 등의 배양을 위해 새로운 형태의 미래지향적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다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2019년 시작된 사업이다.
사례집은 사업에 참여한 지역에서 연구·개발된 콘텐츠 참고와 전문 인력 양성 및 협력 기반 마련의 중요성 상기를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2019~2021 지역별 창의랩 운영 현황, 사람 X 변화와 성장, 현장 X 고민과 시도, 콘텐츠 X 창작과 확산, 창의랩 사업자료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527
-
202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기획사업 <창작 실험 프로젝트> 아카이빙북 「나누고, 더하고, 연결되고 ÷ + ⟲」는 본 사업에 참여한 15개 챌린지 그룹의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민과 질문, 프로젝트 실험 과정과 결과, 참여 과정에서 예술교육가로서 변화된 관점과 태도, 이후의 새로운 도전과 실험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다운로드 수
1188
-
본 자료는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홍보 리플릿으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QR카드가 함께 첨부되어 있다.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전국 17개 지역에 소재한 문화시설이 보유한 고유 콘텐츠를 바탕으로 누리과정(예술경험 영역)에 연계된 양질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해 생애 초기단계인 유아기(만 3-5세) 예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리플릿에는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주관처 연락처, QR코드,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소개, 지역별 사업 참여 현황 및 후기가 기재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식회사 네모연구소
다운로드 수
114
-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전국 17개 지역의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 콘텐츠를 바탕으로, 누리과정(예술경험 영역)에 연계된 양질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여 생애 초기단계인 유아기(만 3~5세) 예술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례집은 유아 사업 소개와 키워드, 2019년부터 2021년 까지 지역별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소개된 디렉토리북, 유아문화예술교육 현장 이야기 인터뷰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소소북스
다운로드 수
347
-
「세상의 모든 이야기, 사진」은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학교 5-6년 대상 콘텐츠이다. 우리 먹거리를 소재로 사진을 찍는 여러 사진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며 같은 사물도 사람마다 다르게 볼 수 있고 해석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제한된 소품으로 창의적 상황을 표현해본다.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와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담고 있다.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1164
-
「이야기가 들어있는 상상클래식」은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학교 4-6년 대상 콘텐츠이다. 영상을 보며 이야기의 맥락을 상상하고 앞으로의 시작될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며 영상에 등장하는 음악 기호 캐릭터들의 특징과 성격을 짐작해봄으로서 호기심과 키우고 캐릭터와 영상 시청자의 유대감을 형성한다.콘텐츠는 도입(피아니스트의 연주가 진행되는 연주회장, 음악감상 및 흥미유발)-전개(모든 공연의 전면취소로 음악을 들을 수 없는 상황에서 악보 밖으로 나오게 된 음악기호 캐릭터의 등장)-마무리(비밀 악보를 찾아 떠나며 이어질 내용에 대한 기대감 형성)으로 구성되어 있다.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와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담고 있다.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