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일상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는 이미지 새활용」은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학교 4-6년 대상 콘텐츠이다.  빛과 그림자의 원리를 통해 이미지 리터러시로 다양하게 해석하고 표현해 일상 속 다양한 관계와 사물 그리고 대상을 에술가의 질문으로 다르게 바라본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와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1373
  • 「생명과 환경 그리고 춤추는 DNA」는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614
  • 「예술로 짓는 우리 문화」는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830
  • 「실감나는 영화 이야기 : 영화공작소」는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682
  • 「귀로 듣고 손으로 쓰다듬는 감각놀이」는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1296
  • 「궁금한 디자인 D : 디자인 탐색대」는 [2021 학교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이(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886
  • 본 저작물은 2021년 2월 9일 13:00 - 17:30 진행한 '202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무자 오리엔테이션'의 자료집이다. 오리엔테이션은 202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수행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e나라도움)에 대한 소개 및 교육(사업등록, 교부신청, 사업비 집행)과 사업 예산 신청 및 집행 등 주요 지침 안내를 주제로 진행한다. 본 오리엔테이션은 e나라도움 전문강사와 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박지원 과장이 진행하였다.      * 본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무자 오리엔테이션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http://www.hine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만든이(단체) 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다운로드 수 43
  • 본 저작물은 2021년 2월 18일부터 19일까지 전국 회원 장애인복지관 최고관리자(관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진행된 '2021 상반기 전국 장애인복지관장대회' 자료집이다.  장애인복지관장대회는 '2021년도 장애인복지정책 주요 현안 및 추진 계획',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구축 의미와 추진현황', '제 35차 정기총회', '제13대 회장선거'로 구성되어 있다. 2021 상반 전국 장애인복지관장대회에는 (개회사)정충현, (강사)서민수, (진행)박선하, 이학준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년도 상반기 전국 장애인복지관장대회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http://www.hine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다운로드 수 12
  • 본 저작물은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수행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2021년 6월 9일(수), 16일(수) 진행한 '202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무자 워크숍' 자료집이다. 자료집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시각과 실무 노하우, 예술 분야별 강사의 사례 발표로 구성되어 있다. 실무자 워크숍에는 (강사)황정옥, 구기모, 박안숙, 신상화, 한찬미, 장혜경이 참여했다.     * 본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무자워크숍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http://www.hine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다운로드 수 83
  • 본 저작물은 (사)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 작성한 '장애인복지관 강점 기반확산을 위한 공유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료집이다.  자료집에는 저작권 준수 위한 폰트 사용, 녹음, 크로마키 사용, 복장, 촬용 등의 영상 제작을 위한 안내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강점기반 확산을 위한 공유 프로그램 개발 연구 영상 제작 안내 교육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http://www.hine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다운로드 수 47
  • 본 자료는 2021년 2월 23일 13:30 전국 장애인복지관 권익옹호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0년도 발달장애인, 개인이 아닌 시민으로 살아가기 지원 프로젝트Ⅱ - '발·사·믹' 성과보고회' 자료집이다.  발사믹(발달장애인과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 나누는 권익옹호실천) 사업은 지역사회 발달장애인 권익옹호 실천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확산 및 당사자 자립과 권익 보장을 목적으로 진행했으며 시민옹호 프로그램 확산과 실천모형 보급확산 및 성과 측정을 주된 사업 내용으로 한다.  성과보고회에는 (강사)이상춘, 최세옥, 이영현, 김용득, 이동석이 참여했다.    * 본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년도 발사믹 사업 성과보고회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http://www.hine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다운로드 수 23
  • 본 자료는 2021년 3월 25일 08:40-18:00 전국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1년도 상반기 전국 장애인복지관 사무국장 연수회' 자료집이다.  연수회에서는 사무국장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이 진행되었으며 교육은 A반, B반으로 나눠 팬데믹을 주제로 한 실천, 장애인 인권 교육을 주제로 한 인권·윤리, 힐링 심리극을 주제로 한 특별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사무국장 연수회에는 (강사)박광옥, 염형국, 조미연, 김영한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년도 상반기 전국 장애인복지관 사무국장 연수회(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연동)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http://www.hine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장애인복지기관협회 다운로드 수 27
  • 본 저작물은 2020년 진행한 '전환사회 청소년 창의예술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창의예술교육센터에서는 전환 시대를 살아갈 청소년과 전 지구적 위기를 주체적으로 학습하고 대안을 수립해 새로운 방식을 실험하고 공동체 기반의 앎과 함을 일치시킨 창의예술교육 실현을 운영의 목적으로 한다.   가이드북은 창의예술교육센터의 비전, 목표와 실천, 행동과 방법, 배경과 고민, 사람과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영등포 창의예술교육센터 가이드북'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https://www.yd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영등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영등포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89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행한 '2020 손_기억과 미래를 더듬다 : 만인의 손 프로젝트'인터뷰 자료집이다. 스물아홉명의 각기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사전 섭외하고 인터뷰이가 일하는 일터 혹은 거주지에서 '손'과 관계한 감각과 노동, 기억과 미래에 대한 질물들을 기반으로 진행한다. 본 프로젝트는 손 자체가 가진 미학적인 측면을 시각화하는 것에 중심을 둔 작업이기보다 손을 통해 들여다본 한 사람의 세계-끊임없이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오르내리며 언어화 되는 고유한 삶의 서사, 그것들을 응축하고 있는 주제와 주체화된 몸짓을 포착하는 것에 주목한다.    * 본 자료는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2020 손_기억과 미래를 더듬다 : 만인의 손 프로젝트 인터뷰북'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김현주, 조광희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96
  • 2021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동네예술배움터 광주Re' 리플렛은 2021 지역특성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홍보를 위해 제작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체를 구축하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이다.  리플릿에은 14개 참여 기관의 교육기간, 교육 장소, 교육 대상, 교육 분야 등이 기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동네예술배움터 광주Re 리플렛'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저작물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j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73
  • 2021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주말예술배움터' 리플렛은 202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 프로그램 지원사업 홍보를 위해 제작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과 문화예술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건전 여가문화를 조성을 위한 정책사업이다.  리플릿에은 권역별 주말예술배움터에 참여한 거점기관의 프로그램명, 교육기간, 교육 대상, 교육 분야 등이 기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주말예술배움터 리플렛'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저작물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j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175
  • 본 자료는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 발행한 '2020 손_기억과 미래를 더듬다 : 만인의 손 프로젝트'의 이미지북이다.  이미지북에는 스물아홉 명의 각기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손의 사진과 손에 대한 감상이 에세에 형식으로 작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손_기억과 미래를 더듬다 : 만인의 손 프로젝트 이미지북'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gb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김현주, 조광희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김현주 , 조광희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81
  • '2020 노닥노닥'은 지역의 생활 속 놀이 문화를 발견하고 독자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노원의 새로운 생활문화 트렌드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생활문화 플팻폼 노원 문화지도를 통한 네트워크 활성화와 취향 공유를 위한 이야기 나눔과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공간 발굴 등의 활동을 진행한다.  본 아카빙북에는 토요영화살롱, 너와 나의 여행이야기, 10일간의 예술챌린지, 생활문화 커뮤니티 발굴, 생활예술동아리 프로그램의 소개와 현장 사진이 담겨 있다.   * 본 저작물은 노원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일상을 문화로 덧대는 2020 노닥노닥 아카이빙북'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노원문화재단(www.nowonarts.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노원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노원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81
  • 본 자료는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강의 콘텐츠 개발과 운영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세부 콘텐츠 제작 안내서이다.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박물관 비대면 교육프로그램 수요가 대폭 증가하게 되었고 다수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었다.본 안내서는 박물관 현장에서 참조 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 제작 표준안을 제시하여 교육 참여자들에게 양질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박물관 종사자면 누구든지 쉽게 이해하고 적용시킬 수 있게 ▲교육과정 설계 ▲콘텐츠 개발 ▲콘텐츠 검수 ▲콘텐츠 운영의 내용을 담아 콘텐츠 개발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수 있게 하였으며,특히 ‘콘텐츠 개발’에서 영상 제작을 위한 고려사항과 제작 권장 규격, 활용 프로그램 안내 그리고 저작권 부분이 설명되어 있어 박물관 내 교육 콘텐츠 뿐만 아니라 온라인 전시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본 저작물은 교육부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박물관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 안내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박물관 길위의 인문학(https://museumonroad.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사)한국박물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박물관협회 만든이(개인) 유길상 , 김자미 , 김성희 , 박한별 다운로드 수 147
  • 국고로 4년간 문화예술교육 기반을 다진 예술꽃 씨앗학교가 자생력을 갖추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의 후원을 통해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을 운영한다. 2012년부터 시작된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은 2012년 3개 학교를 시작으로 2021년까지 전국 54개의 학교가 예술꽃 새싹학교로 선정·운영되었다. 브로슈어에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연혁부터 운영, 목표, 로드맵, 연간 일정 소개, 운영지원, 지원과 분포현황, 활동, 참여후기 등이 담겨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책읽는다락방 다운로드 수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