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으로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영·유아 교육기관의 만 3-5세 유아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화시설 및 자원을 활용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하며 체험형·방문형 혼합 구성 교육프로그램 운영되는 사업이다.                                                 (사)경북섬유산업연합회 섬유박물관과 (재)수성문화재단 수성아트피아에서 진행한 다원예술과 연극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209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항 '2020 문화파출소 달서 운영사업 결과자료집' 결과자료집이다.   문화파출소 운영사업은 비어있는 치안센터 공간에 문화예술에 기반한 공동체 생활안전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안전인식을 높이고 문화안전망 구출 및 문화예술 나눔의 공간으로 운영하는 사업이다.    본자료에는 문화파출소 달서 운영사업의 개요와 운영내용, 운영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단체가 기재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문화파출소 달서 운영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73
  • '2020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결과자료집'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대구문화재단에서 주관한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결과자료집이다.    인생나눔교실은 멘토링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맺기를 이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자료에는 사업소개와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들의 현장 이야기, 각 프로그램 소개, 현장 사진 등이 수록되어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41
  • 제주창의예술교육랩은 생태-인문을 아우르는 지역문화자원과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과학기술'을 문화예술교육에 기반해 융·복합하고, 미래 지향적 창의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고자 시작되었다.   융·복합, 지역문화자원 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개발 및 지역민 대상 프로그램 운영, 지역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을 이끌어갈 젊은 예술가와 예술교육자 양성기회 마련, 제주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창의적 자원 발굴과 선순환 구조 조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연구원들과 함께 과정의 실행 방향성을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는 R&D랩, 교육전문가와 청년연구원이 협업하여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는 D&I랩으로 구성하여, 실험 과정의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한다.   본 결과자료집은 지난해에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의예술교육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시킬 기반 마련(연수, 보급 프로그램 운영, 웹플랫폼 구축) 내용을 담았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0 제주 창의예술교육랩 결과보고서 '변화 확산 실행 공유''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제주 다운로드 수 221
  • 본 자료집은 2010년부터 2020년의 10년간 진행한 치유기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서울문화재 예술치유사업은 2010년 개관한 서울예술치유허브 창작공간과 함께 성장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지역중심의 예술치료 센터로 자리 잡았다. 자료집은 사업개요와 주제별 정리한 프로그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CCL 라이선스에 따라 개방한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치유사업 2010-2020년의 치유기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https://www.sfac.or.kr/archive/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81
  • 2020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과정을 엮어 제작한 결과자료집이다.  유아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은 생애초기 유아단계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및 지원을 통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확대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2020년 사업에는 영화의 전당과 디오티미술관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집은 각 단체별 운영 프로그램을 회차별로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346
  • 본 자료는 《SDGs 북클럽 in 원주 선정도서》 홍보 리플릿이다. 제 70차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의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eopment Goals)'가 채택되었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17가지 목표는 크게 인류의 보편적 문제, 지구환경문제, 경제사회문제로 구성된다.  리플렛에는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17개 목표에 맞는 85권의 그림책과 간략한 설명을 담고 있다.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SDGs 북클럽 in 원주 선정도서 리플릿'이며, 해당 저작물에 대한 영상은 원주시립중천철학도서관 유튜브 '중천학당'(https://www.youtube.com/channel/UCrMsgiOVUPCibLUcdiyLzPQ)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36
  • 본 자료는 2020년 10월 06일부터 10월 25일까지 구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에서 진행된 「문아리공간 5.3-우리는 늘 놀고싶다」 전시도록 자료이다.  전시는 한국그림책 작가11명(강혜숙 외)로 이뤄진 바캉스 프로젝트 그룹전, '별 일 없지? 곧 맑아질거야' 콘텐츠 기획전, 학성정원 프로젝트 놀이-터 등 총 7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지난 5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모든 그림책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한국그림책연감도서관, 문화놀이마당 소보름, 이담의 외출 등 다채로운 문화 콘텐츠가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2020 문아리공간 5.3 '우리는 늘 놀고싶다'' 전시도록이며, 해당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https://wjccity.wonju.go.kr/index.php?gid=sptcente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80
  • 2020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생애전환기를 맞은 신중년 세대에게 전환의 관점에서 삶을 재해석하는 경험 제공을 통해 주체적인 문화적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문화예술교육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와 신중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현장 활동가가 신중년 및 삶의 전환을 이끈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업 취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추진단을 운영하여 좌담과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컨설팅 보고서는 사업소개와 사업 컨설팅 내용과 함께 진행했던 프로그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 궁리 다운로드 수 1161
  • 2020년 전남문화재단에서 추진한 지역특성화 사업의 내용을 엮어 제작한 성과 사례집이다. 성과사례집은 13개 프로그램 참여 단체 별로 구성하였다.     *본 저작물은 전남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출처표시+영리목적금지+2차적저작물작성금지 이용조건으로 개방한 '2020 전남 문화예술교육 성과 사례집: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이며, 해당 저작물은 전남문화예술교육(http://www.jnc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전남문화재단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164
  • 2020년 전남문화재단에서 추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사업과 네트워크 지원사업의 성과를 모아 제작한 사례집이다. 사례집은 참여단체 별 추진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전남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출처표시+영리목적금지+2차적저작물작성금지 이용조건으로 개방한 '2020 전남 문화예술교육 성과 사례집 : 4 유아문화예술교육&네트워크 지원사업'이며, 해당 저작물은 전남문화예술교육(http://www.jnc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전남문화재단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110
  • 2020년 전남문화재단에서 추진한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성과 사례를 엮어 제작한 사례집이다. 본 사례집은 2020년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21개 단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전남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출처표시+영리목적금지+2차적저작물작성금지 이용조건으로 개방한 '2020 전남문화예술교육 성과 사례집 : 2 꿈다락토요문화학교'이며, 해당 저작물은 전남문화예술교육(http://www.jnc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전남문화재단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240
  • 2020년 전남문화재단에서 추진한 문화지소와 예술동아리 교육지원의 성과를 모아 제작한 사례집이다. 성과 사례집은 각 지원사업별로 참여한 단체 중심으로 추진한 프로그램 내용이 작성되어 있다.  (*문화지소: 지역 맞춤형 문화ㆍ예술 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여 군민에게 문화ㆍ예술 향유 기회 제공)   *본 저작물은 전남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출처표시+영리목적금지+2차적저작물작성금지 이용조건으로 개방한 '2020 전남 문화예술교육 성과 사례집 : 5 문화지소&예술동아리 교육지원'이며, 해당 저작물은 전남문화예술교육(http://www.jnc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전남문화재단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107
  • '행복을 담는' 건축학교는 한국건축가협회에서 운영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건축문화프로그램으로, 인간의 삶과 가장 밀접하며 과학적, 기술적 사고는 물론 문화 예술적 창의력이 요구되는 종합예술인 건축을 널리알리고자 시작되었다. 2019년은 생활 속의 건축을 주제로 지역과 기수에 따라 다양한 수업내용을 구성하고 어린이1113(초등), 청소년1416(중등), 청소년1719(고등) 교급별 총 6~10회차의 교육을 진행하였다.   본 자료집은 2013~2019 프로그램의 진행과 소통과정을 현장사진과 함께 담아내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사)한국건축가협회 만든이(단체) (사)한국건축가협회 다운로드 수 565
  • '예술쉼표'는 워라밸 시대 사회적 트렌드, 환경 등을 반영하여 직장인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고 여가활동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직장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양질의 프로그램 발굴 및 확산 시도하고자 하였다. 직장인 중 청년층에 집중하여 개별 요구 충족 즉, 예술이 개인 삶의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넘어 사회적 의미로 확장할 수 있도록 청년 직장인 대상 특화된 프로그램 기획하였으며 온라인으로 운영되었다. 사례집은 프로그램 개요와 진행과정, 사진, 참여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와우책문화예술센터 다운로드 수 1092
  • 2020년 예술꽃 씨앗학교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는 8기 예술꽃 씨앗학교 7개 학교 선생님과 학생들이 함께 기획하여 만들어졌다. 지난 4년 동안 일궈온 예술꽃 씨앗학교들이 활짝 피워낸 마을 축제 사례를 담았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노말웍스 다운로드 수 351
  •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이하 창의랩 사업)은 4차 산업혁명 등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필요한 핵심 역량인 창의성, 상상력 등의 배양을 위해 새로운 형태의 미래지향적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다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2019년 시작된 사업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성장과 함께 지역에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발굴하고, 보다 새로운 영역과의 연결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인프라와 생태계를 풍성하고 단단하게 만들어가기 위해 추진되었다. 본 사업에는 부산, 제주, 경북지역이 참여하여 추진된 사업의 내용을 정리해 수록하였다. 프로그램 컨설턴트는 현혜연, 김태황, 최도인, 손경환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간텍스트 다운로드 수 437
  • 본 자료는 성과공유회를 홍보하기 위한 리플릿이다. 2020년 예술꽃 씨앗학교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는 8기 예술꽃 씨앗학교 7개 학교 선생님과 학생들이 함께 기획하여 만들어졌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노말웍스 다운로드 수 126
  • 《202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예술가요?제가요?!' 전시 홍보 리플릿이다. <'예술가요?제가요?!'>는 2020년 8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에서 진행되었다. 어린이의 세계를 믿는가라는 철학 아래, 어린이를 예술가의 동료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공간’을 주제로 어린이 스스로 주체적 표현활동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리플릿에는 프로그램 및 전시 개요가 담겨져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만든이(단체)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지역 경남 다운로드 수 166
  • (재)부산문화재단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은 과학기술과 예술, 교육의 창의융합으로 ‘에듀테크(EduTech)’를 실현하고자 했다.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다빈치적인 융합 수업 모형을 발굴하고 보급하는 것은 물론, 지역 특성에 맞는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지속가능한 연구기반을 조성하여 ‘창의예술교육’이란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자 했다. 2019년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으로 개발한 콘텐츠 중 선별하여 국립부산과학관의 협력으로 ‘확장 지원형’을 진행했다. 기존 콘텐츠의 기획과 방향은 살리되 수정, 보완하고 심화 단계를 거친 확장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를 위해 국립부산과학관 교육연구실 연구원과 선별된 5개 프로그램의 각 단체 연구진이 ‘멘토’ & ‘멘티’의 관계로 과학부문 콘텐츠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였고, 보완 및 심화된 프로그램은 하반기 8차시 이상의 수업 운영으로 현장성을 살리고자 했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 '아트사이(Art+Sci) - 확장하는 세계'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디스프레드랩,문화예술교육연구소플랫폼,소똥이,예술과 교육 도르래, 프로젝트 팀 팬시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