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본 자료는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미술 교과 속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활동지이다. ‘미술 교과 속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한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제작’ 사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콘텐츠 차시별 QR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연계자료이며, 해당 영상 콘텐츠는 이(e)-학습터 및 EBS 온라인클래스에서 만나볼 수 있고, 원격수업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뮤토인터랙티브 다운로드 수 1823
  •  ‘음악(국악) 교과 속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한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제작’ 사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음악(국악)교과 속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QR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연계자료이다. 해당 영상 콘텐츠는 이(e)-학습터 및 EBS 온라인클래스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원격수업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활동지는 음악(감상)교과에 대한 교과 정보, 콘텐츠 정보, 수업활용안내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는 가이드를 참고하여 활용가능하다.   ☞  「음악(국악)교과 속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활용지 바로가기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뮤토인터랙티브 다운로드 수 939
  •  ‘음악(국악) 교과 속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한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제작’ 사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음악(국악)교과 속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활용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QR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연계자료이다. 해당 영상 콘텐츠는 이(e)-학습터 및 EBS 온라인클래스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원격수업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가이드에는 음악(감상)교과에 대한 교과 정보, 콘텐츠 정보, 수업활용안내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 「음악(국악)교과 속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활용지 바로가기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뮤토인터랙티브 다운로드 수 940
  • 본 자료는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의 예술로 배우는 미디어리터러시 콘텐츠 활용가이드이다. ‘예술로 배우는 미디어리터러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한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제작’ 사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예술로 배우는 미디어리터러시’ 콘텐츠의 활용 가이드로서, 콘텐츠 차시별 QR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연계자료이다. 해당 영상 콘텐츠는 이(e)-학습터 및 EBS 온라인클래스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원격수업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가이드에는 미디어리터리시에 대한 교과정보, 콘텐츠 정보, 수업활용안내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뮤토인터랙티브 다운로드 수 265
  • ‘예술로 배우는 인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한 ‘2020 학교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콘텐츠 제작’ 사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이다. 본 자료는 ‘예술로 배우는 인권’ 콘텐츠의 활용가이드 및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QR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연계자료이다. 해당 영상 콘텐츠는 이(e)-학습터 및 EBS 온라인클래스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원격수업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가이드에는 혐오표현에 맞서는 올바른 대응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예시 내용이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뮤토인터렉티브 다운로드 수 348
  • 디지털 시대인 요즘, 단 24개의 자모음을 모아쓰는 방식으로 손쉽게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글의 장점은 우리나라가 디지털 강국으로 앞서가는데 기여하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HTML 기반의 <훈민정음 멀티미디어북>(2018)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수업 시간과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을 위한 재미있는 훈민정음 -지도안과 해설서-"를 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져 나갈 어린 학생들이 훈민정음 속에 담긴 가치 와 세종대왕의 정신을 배울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북을 활용한 교사용 지도안과 훈민정음 해설서를 제작하였다. 해설서는 1부 수업 지도안과 2부 해설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생님과 학부모님이 학생과 자녀들에게 훈민정음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수업 방법과 자료들이 들어있다. 1부 1장에서는 국어 교과와 연계하여 정규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 1종(5차시)을, 2장에서는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 3종(1차시)을 제공하고 있다. 본 자료집에는 김라연, 김부연, 안찬원이 집필에 참여했다.   해설서는 붙임파일을 참조하시고, HTML 실행파일은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에서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실행파일 다운받기   *본 저작물은 국립한글박물관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0 초등학생을 위한 재미있는 훈민정음 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한글박물관(https://www.hangeul.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국립한글박물관 만든이(단체) 국립한글박물관 만든이(개인) 김라연 , 김부연 , 안찬원 다운로드 수 139
  • 본 자료는 예술꽃 씨앗, 새싹학교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홍보하기 위한 브로슈어이다. 예술꽃씨앗학교는 국고로 4년간 문화예술교육 기반을 다진 예술꽃 씨앗학교가 자생력을 갖추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의 후원을 통해 ‘예술꽃 새싹학교’로 거듭나게 하는 사업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은 민·관의 문화예술교육 사회공헌활동 협력모델로써 주목받고 있는 사업이다. 브로슈어에는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의 홍보 내용과 지원 학교명, 진행하는 프로그램과 협력업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책읽는 다락방 다운로드 수 204
  • 본 자료는 예술꽃 씨앗학교 홍보 브로슈어이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전교생 400명 이하 소규모 학교의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교육환경을 지원하고, 공교육 내 문화예술교육 효과와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 2008년 10개 학교를 시작으로 사업 12주년을 맞이하는 2020년까지 전국 133개의 학교가 예술꽃 씨앗학교로 선정·운영되었다. 브로슈어에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연혁부터 운영, 목표, 로드맵, 연간 일정 소개, 운영지원, 지원과 분포현황, 활동, 참여후기 등이 담겨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책읽는 다락방 다운로드 수 154
  • 본 자료는 20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드림 아트랩 4.0 프로그램 관련, 토탈미술관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학생용 워크북이다.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역량함양을 위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개발을 위해 추진되었다. 워크북에는 프로그램 과정별 필요한 활동, 가이드, 작가 소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토탈미술관 만든이(단체) 토탈미술관 다운로드 수 255
  • 20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드림 아트랩 4.0 프로그램 관련, 토탈미술관에서 진행한 Bunker465-16 프로그램 결과자료집이다. 융복합 프로그램에 있어서 기술을 소비하는 관점이 아닌, 왜 그러한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 과정을 설계하였다. 전체적인 프로그램에 예술적인 맥락을 끌여들여 미래친구, 식물친구, 소리친구를 설정, 각각의 주제와 매체(AR마커, AI, 식물키트제작, 악기제작 등)를 연결시켰고, 각 과정별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만들어냈다. 본 자료집에는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부터 실제 운영 내용(커리큘럼 등), 이후 보완 필요사항 등에 대한 관찰일지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토탈미술관 만든이(단체) 토탈미술관 다운로드 수 393
  • 부산에서 만든책 들여다보기 자료집은 부산문화재단이 마음을 내어 몇 년째 발행하는 책 소개 시리즈다. (재)부산문화재단에서는 부산에 숨어 있는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지역 구석구석에 잠들어 있는 이 야깃거리를 <부산문화재단 사람ㆍ기술ㆍ문화 총서 시리즈>를 통해서 알리고 있으며, 부산문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부산다움’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문화로 소통하기 위해 지역의 가치있는 문화콘텐츠를 간행물로 발간한다. 본 자료에는 부산에서 만든 책 소개와 설명을 비롯해 보기 쉽도록 분야별로 책을 나누어 소개했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부산에서 만든책 들여다보기 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83
  • 본 자료는 2020년 5월 22일 서울역우리센터(스페이스모아)에서 개최된 공모설명회의 자료집이다. 본 사업은 해당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계획 수립 및 기초센터 운영모델을 도출하는 사업이다. 설명회는 2020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 소개 및 공모요강 안내, 기초거점 개념 및 계획수립 방향 안내 및 질의응답 공유 순서로 진행되었다. 자료집에는 2020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 추진계획 및 공모신청서 양식, 사업설명회 발표자료, 사업설명자료 등과 관련된 내용이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76
  • 본 자료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유아, 초등생을 대상으로 전시 자율 감상을 위해 제작된 상설전 연계 활동지(8종) 자료이다. 자료에는 동물, 모양, 박물관에서 만나는 육해공, 박물관에서 만나는 의식주, 고려, 신라, 조선, 가야 주제별 전시장을 찾아 관련된 문화재를 보고 빈공간을 그릴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어있으며 해설지도 함께 포함되어있다.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상설전 연계 활동지(8종)'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www.museu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국립중앙박물관 다운로드 수 148
  • 본 자료는 '놀이터 속 한글 탐험 활동지'이며, 유아용, 초등용 놀이터 속 한글 탐험 활동지 스티커가 첨부되어있다.   *본 저작물은 국립한글박물관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놀이터 속 한글 탐험 활동지'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한글박물관(www.hangeul.go.kr/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국립한글박물관 만든이(단체) 국립한글박물관 다운로드 수 244
  • 2020년 꿈의 오케스트라 10주년을 기념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10년간의 사업 정리 및 대국민 홍보를 위해 제작한 한국어 및 영어 버전 리플릿이다.  리플릿에는 엘시스테마 및 꿈의 오케스트라 소개와 10년간 이뤄낸 변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슬로워크 다운로드 수 199
  • 2020년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참여하고자 하는 문화예술교육 단체 대상으로 사업 이해도 제고 및 부정수급 등 국고보조금 운용관리 안내를 위해 제작된 「2020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 설명회 자료집」이다. 설명회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월 10일, 1월 14일 2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명회 주요내용으로는 2019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소개 및 공모 안내, 사업군별 교육 시설 및 교육대상 특성 안내, 민간보조사업관리시스템 활용 공모 신청 방법 안내 등, PMS 부정수급 관리 방안 및 사례가 안내되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54
  • 본 자료는 중부대학교에서 2019년에 추진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부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다운로드 수 262
  • 본 자료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꼬마작곡가 브릿지 프로그램의 가이드북이다.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의 연계심화 과정으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아동청소년은 오케스트라 악기를 경험하고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며 내재된 창의성을 키우게 된다. 프로젝트는 뉴욕 필하모니 꼬마작곡가(Very Young Composers)와 브릿지 프로그램(Composer's Bridge)를 도입하여 국내화 한 프로그램으로 뉴욕 필하모닉과 협력하여 진행된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95
  • 본 자료는 경성대학교에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로드 수 73
  •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은 도내 아마추어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 및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디렉토리에는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의 개요, 추진과정, 권역별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와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 권역별 참여 동호회가 소개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 디렉토리'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https://g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지역 경남 다운로드 수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