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본 자료는 '2019 생활문화 동호회 프로젝트북 : 생활문화 동호회로 행복한 성남'이다. 성남문화재단에서는 성남시민들로 이루어진 다양한 문화예술동호회 네트워크와 생활문화를 지원한다. 프로젝트북에는 다양한 생활문화 동호회 사람들의 인터뷰, 동호회의 활동 내용과 모습 등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재)성남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9 생활문화 동호회 프로젝트북 : 생활문화 동호회로 행복한 성남'이며, 해당 저작물은 성남아트센터(https://www.snar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성남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6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9년 4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2019 서울형 장애아동·청소년 예술교육' 사업 기록을 담은 아카이빙북이다. 서울형 장애아동·청소년 예술교육 사업은 예술교육 경험을 통한 문화적 가치 충족과 이를 통한 장애인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예술을 매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기회를 통해 공동체 속에서 장애인·비장애인의 관계 회복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사업은 장애예술교육 전문가와 장애 아동·청소년이 함께 예술과 장애의 사회적 가치 실험을 운영하는 협력형 프로그램과 장애 유형별, 연령별(아동·청소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을 하는 공모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서울형 장애 아동 청소년 예술교육사업 아카이빙북'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10
  • 본 저작물은 서울예술치유허브에서 운영하는 '갤러리 맺음 후원전시 운영' 공모에서 선정된 창작 작품의 전시 현장을 담고있다.  갤러리 맺음 전시후원 공모사업은 신진 예술가 대상 갤러리 무료 대관을 통해 치유적 속성을 내포한 창작 작품 전시 후원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치유적 에술작업의 시민 접점을 확대해 공간을 찾는 시민들에게 다각적 경험 제공과 예술계 진입이 어려운 신진 예술가를 대상으로 전시 공간 제공 뿐만 아니라 도록 형태의 결과자료집을 제작함으로써 참여 예술가들의 창작활동 기록 및 이후 창작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치유허브 갤러리 맺음 공간운영에 대한 아카이빙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서울예술치유허브 갤러리 맺음 전시후원 공모 선정 전시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34
  • 서울예술치유허브는 다양한 에술치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예술을 통한 마음의 안정과 회복'을 위한 예술치유 콘텐츠를 개발·확산하고 예술치유 활동가(단체)를 육성해 에술치유 플랫폼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목적으로 진행핸다.  2019 <서울청년예술단 x 서울예술치유허브> 결과자료집은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치유허브의 기관 및 사업소개와 사업에 참여한 복태와 한군의 '맘-마이-사운드'와 몸의대화 '88탁수'의 회차별 프로그램 및 현장 사진과 프로그램 성과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서울예술치유허브 청년예술지원사업-서울청년예술단X서울예술치유허브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94
  • 본 자료는 수성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19 수성문화재단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결과보고서이다.  <통통(通!通!) 가방의 신나는 여행>은 유아기 어린이들이 예술적 경험을 통해 인성, 공감, 감겅, 협업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연극놀이, 미술놀이, 음악놀이과 같은 다양한 예술체험으로 구성되었다. <예술로 통통통(通!通!通!)>은 현장중심·활동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유아연극 지도 방법과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을 키울 수 있는 노하우를 전달했다.    결과보고서는 유아기 어린이들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통통(通!通!) 가방의 신나는 여행>과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예술로 통통통(通!通!通!)> 프로그램의 쇅와 참여기관명, 세부교육 구성 내용, 회기별 지도안, 프로그램 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수성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수성문화재단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수성문화재단(https://s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수성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수성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57
  • 본 저작물은 양천문화재단에서 2019년 발행한 '2019 자치구 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일상 속 예술로 스며들다’' 결과자료집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양천구 주민들이 배우가되어 연극을 펼치고 양천구 학생들이 곳곳을 그리는 등 주민들의 일상 속 예술이 스며든 모습을 기록한다. 자료는 X를 위한 달달라떼, 문화에술을 사랑하는 당신을 찾아요, 2019 예술교육 프로그램 시범운영, 축제 X 생태탐방, 일상속 예술路 스며들기 한눈에 보기, 2019 자치구 에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양천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자치구 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일상 속 예술로 스며들다’'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양천문화재단(https://yfac.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양천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양천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32
  • 본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진행한 '2019 경북 오감백감 지원사업'의 사례집이다.  '오감백감(五感佰酣)'은 2012년부터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자체 지원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의 문화예술단체, 예술가들의 보다 창의적이며 특색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사례집에는 신규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지원하는 '사:모'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가능한 변화들' 유형의 운영현황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경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집-고마워, 오감백감!'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gb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북 다운로드 수 40
  •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은 지역특성을기반에둔문화예술교육협업사업추진, 향후선순환운영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원체계조성 및 지역 문화시설, 예술대학,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협력 네트워킹 구축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기회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자료집은 2019년 5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2019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에 참여한 9개 연구단체의 프로그램 과정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에술교육지원센터(http://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09
  • 본 자료는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행한 '2019 경북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집'이다. '2019 경북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어린이들을 만나러 가는 방문형과 어린이들이 찾아오는 체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집은 고령문화원,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움갤러리에서 진행한 <20편 새싹들이 이야기> , <친구야~ 공연장 놀러가자!>, <행복 씨앗- 별이 빛나는 밤> 프로그램 별 활동과 활동 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9 경북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gb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북 다운로드 수 68
  • 2019년 7월~12월동안 진행한 경기도 문화다양성 매개자 연수와 2019년 소외계층 문화나눔 공모지원사업을 정리하여 제작한 결과자료집이다. 결과자료집은 각 사업별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선정된 공모사업 단체별 프로그램이 정리되어 있으며, 문화다양성의 정책 발전방향과 참여자 만족도 조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9 경기문화재단 소외계층 문화나눔사업&문화다양성 매개자 연수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05
  • 웹진 ‘지지봄봄’은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공유하는 문화예술교육 비평웹진이다.  본 자료는 2019년 지지봄봄 웹진을 모아 제작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9 지지봄봄 모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31
  • "모차르트 228"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운영한 초등학생 대상의 꿈다락토요문화학교-주말예술캠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은 풍부하고 다양한 예술 활동 속에서 일상생활 속 나를 찾고 자긍심을 높이며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음악+무용+미술+인문학을 함께 경험하는 통합예술중심 인문교육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는 (콘텐츠연구개발원)노운병, 류화정, 김수진, (주강사)남민아, 권혜영, 연은주, (보조강사) 김소은, 강민주, (행정)이현섭이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집은 프로그램 개요, 진행과정, 상세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노운병 , 류화정 , 김수진 다운로드 수 260
  • 명지전문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운영한 2019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주말예술캠퍼스의 '나는 뮤지션!' 프로그램 자료집이다. 본 프로그램은 대중음악의 주요한 표현 매체를 이해하고 경험하여 대중음악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과 사회문화적 이해를 높여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예술적 감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자료집은 프로그램 개요와 커리큘럼,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워크북, 성과 및 참여자 피드백 등이 담겨져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명지전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로드 수 238
  •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진행한 2019년 꿈다락토요문화학교-주말예술캠퍼스의 '우주별지구캠프'프로그램북이다. 본 프로그램은 우주로 쏘아올린 춤 오늘 이곳의 우리의 춤을 어떻게 기록될 수 있을지를 함께 만들고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초등(저학년)대상으로 총 12회차 2기수로 운영되었다. 프로그램북에는 차시별 프로그램 내용이 담겨져 있다. 프로그램에는 (책임연구원)한혜리, (연구원 )황정옥, (행정)김미령, (주강사)노경희, 이혜인, (보조강사)김유진, 도수영, 성유빈, 성유빈, 이해별, (보조인력)이재영, 이소윤, 이지윤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한혜리 , 황정옥 다운로드 수 169
  • 웹진[아르떼365]는 전문가에게 듣는 문화예술교육의 오늘과 내일, 문화예술교육 현장,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보까지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인 효과와 더불어 현장의 고민들까지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형태로, 어떠한 배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장의 이야기를 전한다. 본 자료는 2018년 예술강사 인터뷰, 현장 취재, 전문가 기고, 연구결과 분석 등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야기와 주요 이슈를 효과적으로 확산/공유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지식·정보, 시의적 이슈와 결합한 정책사업 사례와 성과를 담은 웹진 및 뉴스레터 콘텐츠 제작하여 주 1회 배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 궁리 다운로드 수 77
  • (재)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관한 '2019 풀뿌리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풀 뿌리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전남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그들의 생애를 영상 미디어를 통해 기록하고 미시사적 역사,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보존하고 상대적으로 문화 혜택을 받지 못하는 농촌지역의 노인분들의 일상과 생애를 소재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본 프로그램은 전남 나주 세지면 교산리 풍동 마을회관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되었다.   결과자료집에는 사업소개와 참여 할머님들께서 촬영하신 사진과 프로그램 교육 과정들이 담겨져 있다.     *본 저작물은 (재)전라남도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메모리in풍동 -할머니가 들려주는 인생이야기-'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재)전라남도문화재단(http://www.jact.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창작집단 유유자적(우곰) 만든이(개인) 이효희 , 박나래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276
  • 2019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브랜드명 및 슬로건을 기초로 BI를 개발하였다.  브랜드명은 '아이와락(樂)'이며 슬로건은 '예술로 와락 안아 주세요'이다.  BI는 사업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사업의 홍보효과를 상승시키고자 개발되었다. 사업 메인 이미지를 활용한 BI를 개발(중앙 1종, 17개 지역별 각 1종)하였다.    본 이미지는 2019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BI 개발 관련 활용할 수 있는 장르별 아이콘 7종, 유형별 아이콘 3종, 패턴 1종 중 패턴 1종 이미지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이와락 Brand Identity Guideline(활용가이드)」을 참고하여 더 다양한 활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슬로우워크 다운로드 수 21
  • 2019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브랜드명 및 슬로건을 기초로 BI를 개발하였다.  브랜드명은 '아이와락(樂)'이며 슬로건은 '예술로 와락 안아 주세요'이다.  BI는 사업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사업의 홍보효과를 상승시키고자 개발되었다. 사업 메인 이미지를 활용한 BI를 개발(중앙 및 17개 지역별)하였다.    본 이미지는 17개 지역 BI 중 광주 가로형, 세로형 BI 이미지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이와락 Brand Identity Guideline(활용가이드)」을 참고하여 더 다양한 활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슬로우워크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63
  • 2019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브랜드명 및 슬로건을 기초로 BI를 개발하였다.  브랜드명은 '아이와락(樂)'이며 슬로건은 '예술로 와락 안아 주세요'이다.  BI는 사업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사업의 홍보효과를 상승시키고자 개발되었다. 사업 메인 이미지를 활용한 BI를 개발(중앙 및 17개 지역별)하였다. 가이드라인에서는 개발된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심볼, 로고, 패턴, 아이콘 등의 활용 방법이 작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슬로우워크 다운로드 수 113
  • 2019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브랜드명 및 슬로건을 기초로 BI를 개발하였다.  브랜드명은 '아이와락(樂)'이며 슬로건은 '예술로 와락 안아 주세요'이다.  BI는 사업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사업의 홍보효과를 상승시키고자 개발되었다. 사업 메인 이미지를 활용한 BI를 개발(중앙 및 17개 지역별)하였다.    본 이미지는 17개 지역 BI 중 울산 가로형, 세로형 BI 이미지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이와락 Brand Identity Guideline(활용가이드)」을 참고하여 더 다양한 활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슬로우워크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