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만드는 수업, 협력수업: 교사와 예술강사를 위한 협력수업 길라잡이」 는 제목 그대로 협력수업의 길로 안내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반드시 따라야 할 매뉴얼이 아니라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협력수업의 방향을 그려보고, 교사와 예술강사가 그 길에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초대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안에는 협력수업을 수행했던 교사와 예술강사의 여러 이야기가 담겨 있다.
1장 협력수업 진단하기 학교 문화예술교육에서 협력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현황을 진단하고, 왜 협력수업이 어려운가에 대하여 함께 고민을 시작한다.
2장 협력수업 알아가기 ‘공동의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협력수업의 의미를 살펴보고, 일회적인 협의가 아닌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대화의 과정으로서 협력의 내용을 구체화한다.
3장 협력수업의 조건 좋은 협력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들을 조직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협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학교 환경, 의사소통 관계 등을 구축해 갈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또한 체크리스트롤 통해 협력수업을 위한 준비 정도를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도록 한다.
4장 협력수업의 Q&A 협력수업에 대하여 교사와 예술강사가 가질 수 있는 질문과 함께 이에 대한 의견과 해설이 제시되어 있다.
문제에 대한 정해진 답을 찾기보다는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협력수업의 실제 교사, 예술강사, 연구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이야기로 재구성된 협력수업 실제 사례가 수록되어 있다.
협력수업을 위한 개개인의 역할과 상호작용, 노력과 어려움 등 실제적인 협력수업의 경험이 서술적으로 그려져 있어 협력수업의 현장을 엿볼 수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선아, (공동연구자)류해석, 박지영, 정진원, (연구보조원)이현정, (연구도움)권덕원, 김정은, 노미향, 양소영, 유지혜, 이효광, 한지은, 김소연, 김현주, 문난실, 오혜진, 윤경숙, 한경원, 홍승은, (디자인)서민재가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 산합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선아
,
류해석
,
박지영
,
정진원
,
이현정
다운로드 수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