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8건
-
2021 상반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취득자 오리엔테이션 발표 내용을 함께 보시죠!
-
'상상만개'는 어른이 되는 문턱에 서 있는 청소년기의 마지막, 불안하고 흔들리는 시기를 마무리하는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이후 새로운 환경을 맞이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동기부여가 되도록 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관련 영상 함께 보시죠!
-
문화예술교육은 어떤 사람에게 필요할까요?
누군가 질문한다면, 아르떼는 "모두에게 필요하다"고 답하겠습니다.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정책사업을 함께 알아 보시죠!
-
"예술이라는 건, 무언가를 표현하는 게 아니라 발견하는 것 아닐까?"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 7인이 생각하는 문화예술교육을 담은 'VOICE 시리즈'를 함께 보시죠!
-
<널 위한 문화예술> 구독자(20만 명) 및 문화예술 일반에 관심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을 너머의 ‘문화예술교육’을 인식하고,
그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협업 콘텐츠 제작하였습니다.
* '널 위한 문화예술' 유튜브 채널 ▼
https://www.youtube.com/channel/UCZr3cu75jx6Sz-6KRQ50ySA
-
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 학술대회 '위기의 시대, 행동하는 예술교육' 국제 공모가 연장되었습니다!
많은 관심과 문의 감사드리며, 국제공모와 학술대회 안내 해드립니다!
-
2021년 아르떼 아카데미에서는, 문화예술교육 행정인력을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관련 홍보영상 같이 보시죠!
-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는 2020년 3~7월에 추진한 코로나 19 대응 긴급 지원사업 어디서든 문화예술교육의 후속 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비대면과 온라인 상황에서 ‘상호교감’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및 콘텐츠를 발굴하고자 하였습니다.
2020년 9~10월 준비과정을 거쳐 11~12월에 '아트프리즘' 프로그램과 '아트앤테크' 챌린지가 운영되었습니다.
사업을 갈무리하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아카이브 채널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이를 정리하는 2021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오픈 토크도 추후 마련되었습니다.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관련된 영상들을 함께 보시죠!
-
'유연한 함께 살기' 지원사업에서는 현장연구와 함께 사업운영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습니다. 전문가 기획그룹을 구성하고 진행과정마다 기획회의를 통해 현장연구 계획 검토와 컨설팅, 모니터링 등 일련의 과정에서 새로운 구조들을 만들거나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사업 초기 통합워크숍 후 필요한 부분을 점검하고 그에 따라 현장 연구 피드백을 위한 컨설팅이 진행되었습니다.
현장연구부터 컨설팅, 과정중심의 아카이브로 이어지기까지 이야기를 모니터로 참여한 이민아 선생님의 발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8~13세 어린이들이 '어린이의 세계를 믿는다' 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엉뚱하고 재미난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다양한 시각예술분야별 예술가와 어린이들이 만나 자신들의 세계를 탐구하고, 상상하며 이를 시각예술로서 다채롭게 표현해보는 프로그램입니다.
-
꼬마작곡가는 10-13세 아동 및 가족을 위한 음악창작 프로그램으로, 뉴욕필하모닉의 Very Young Composers를 도입하여 국내화한 프로그램입니다. 음악이나 악기에 대한 전문적 지식 없이도 나의 이야기를 통해 나만의 음악을 작곡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오선 이외에 재미있는 모양의 선이나 그림 등으로 자유롭게 음악을 표현할 수 있으며, 전문 연주자가 내 음악을 연주해 주는 기회도 제공됩니다.
-
체험형·방문형의 수업과 여러 단체 및 기관의 협력으로 유아에게 다채로운 예술경험을 선물하는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아이와락'을 영상으로 함께 보시죠!
-
자기 자신을 가꾸고 인생을 행복하게 살기 위해 노력하며 젊게 생활하는 중년을 이르는 말, "신중년"
주거형태의 대다수가 아파트로 이뤄진 송도2동에서 '나다운 공간', '나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 내 안의 '멋'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알아 보았습니다.
-
2021년 2월 4일(목) 꿈꾸는 예술터 사업설명회
-
삶에 의미 있는 경험을 함께 만들어가는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코로나19로 인한 갑작스러운 환경과 교육방식의 변화는 복지기관에게는 더 큰 위기로 다가왔습니다.
위기 속에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교류하며 함께 나아갈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마련된 복지기관 예술강사 온라인 워크숍, 함께 보시죠!
-
'문화예술교육계(契)'는 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통합결과공유회로, 2020년 12월 11일(금)~12일(토) 양일간 진행되었습니다.
-
"우리가 그간 예술교육에서 놓쳐왔던 참 중요한 부분을 건드릴 수 있겠다. 예술가의 언어가 교사에게 전달되고, 교사가 학교의 언어로 재해석해서 아이들에게 전달한다면...."
예술가의 삶과 가치관, 고유의 창작방식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로 만들어 담아낸 '예술가박스'에 대해 함께 보시죠!
-
오늘 지역분권 대비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온라인 포럼은 자치분권을 강조하고 있는 지금 정책의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은 과연 어느 방향으로 나아 가야할지에 대한 발제 및 토론을 해보았습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은 예술대학의 전문성 및 자원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 개발과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