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한 함께 살기' 지원사업에서는 현장연구와 함께 사업운영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습니다. 전문가 기획그룹을 구성하고 진행과정마다 기획회의를 통해 현장연구 계획 검토와 컨설팅, 모니터링 등 일련의 과정에서 새로운 구조들을 만들거나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사업 초기 통합워크숍 후 필요한 부분을 점검하고 그에 따라 현장 연구 피드백을 위한 컨설팅이 진행되었습니다.
현장연구부터 컨설팅, 과정중심의 아카이브로 이어지기까지 이야기를 모니터로 참여한 이민아 선생님의 발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가족여가 '유연한 함께 살기' ] 관찰자로서 사업과정을 읽어 온 이야기
제작연도
2020년
프로그램
사회 문화예술교육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회수
887
202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가족여가 프로그램 '유연한 함께 살기' 결과공유회
'관찰자로서 사업과정을 읽어 온 이야기'
'유연한 함께 살기' 지원사업에서는 현장연구와 함께 사업운영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습니다. 전문가 기획그룹을 구성하고 진행과정마다 기획회의를 통해 현장연구 계획 검토와 컨설팅, 모니터링 등 일련의 과정에서 새로운 구조들을 만들거나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사업 초기 통합워크숍 후 필요한 부분을 점검하고 그에 따라 현장 연구 피드백을 위한 컨설팅이 진행되었습니다.
현장연구부터 컨설팅, 과정중심의 아카이브로 이어지기까지 이야기를 모니터로 참여한 이민아 선생님의 발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 202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가족여가 프로그램 결과자료집 다운로드
https://han.gl/z686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