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로딩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구자료

2018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개발 오픈랩 신중년(50+) 분야 콘텐츠 : MM&Dancing(Music, Movie, Dancing) 연구보고서 [arte]
주제 연구보고서 자료유형 자료집/ 일반문서 발행연도 2018년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평생미체험교육연구원 만든이(개인) 김영연 , 함수경 , 오미영 교육대상 중장년 장르 음악 , 무용 담당부서 교육R&D팀 조회수 1011 다운로드수 228
  • 2018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개발 오픈랩 신중년(50+) 분야 콘텐츠 [MM&Dancing(Music, Movie, Dancing)] 한국평생미체험교육연구원.pdf (2,614.66KB)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출처 표시"하시면 비상업적·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 가능하고 2차적 저작물 작성 등 변형도 금지합니다.
저작권 안내
개요

50+를 앞에 두고 있는 세대나 50+세대 신중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은 최근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확대된 개념 이전에는 상대적으로 접근이 부족했었다.

이번 연구는 50+신중년 세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라는 현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50+신중년 세대에 적용 가능한 모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현장 활동가의 자문과 각 기관의 행정 실무자들과의 라운드 테이블을 마련하고 이 자리에서 나눈 주제관련 대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음악, 무용 분야 및 통합문화예술과 관련된 연구로 모델 프로그램을 개발의 방법으로 삼았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영연, (공동연구자)함수경, 오미영이 참여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목표 3
3. 연구 추진체계 및 추진 방식 4

 

Ⅱ. 이론적 배경
1. 50+신중년 세대의 특성 및 문화예술의 접근 방식 7
2. 50+신중년 세대의 문화예술교육의 특징 8
3. 50+신중년 세대의 영화와 음악과 춤 조망 9

 

Ⅲ. 연구방법
1. 현장 전문가 및 50+신중년 프로그램 기획자 라운드 테이블 13
2. 50+신중년 세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기획자와의 자율연계모임 21

 

Ⅳ. 연구결과
MM&Dancing 모델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 적용 및 개발 35

 

Ⅴ. 결론
1. MM&Dancing을 통한 50+신중년 세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45
2. 제언 46

 

부록
워크숍 자료 49
참고문헌 및 자료 50
인터뷰 및 자문가 목록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