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위해 로그인 후 약 3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현재 로딩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자동완성 끄기
창작자/만든이의 아이디어와 독창성을 지니고 있는 자료이므로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를 지켜주세요.
자료를 이용하실 경우, 페이지 하단에 있는 공공누리 유형을 확인하시고 기관명, 저작권, 홈페이지 주소 등을 기입하여 이용하셔야 합니다.
필수 입력사항
해당 게시물(메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이 페이지의 구성
2018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개발 오픈랩 신중년(50+) 분야 콘텐츠 : MM&Dancing(Music, Movie, Dancing) 연구보고서
50+를 앞에 두고 있는 세대나 50+세대 신중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은 최근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확대된 개념 이전에는 상대적으로 접근이 부족했었다.
이번 연구는 50+신중년 세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라는 현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50+신중년 세대에 적용 가능한 모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현장 활동가의 자문과 각 기관의 행정 실무자들과의 라운드 테이블을 마련하고 이 자리에서 나눈 주제관련 대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음악, 무용 분야 및 통합문화예술과 관련된 연구로 모델 프로그램을 개발의 방법으로 삼았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영연, (공동연구자)함수경, 오미영이 참여하였다.
Ⅰ. 서론1. 연구배경 및 목적 32. 연구 목표 33. 연구 추진체계 및 추진 방식 4
Ⅱ. 이론적 배경1. 50+신중년 세대의 특성 및 문화예술의 접근 방식 72. 50+신중년 세대의 문화예술교육의 특징 83. 50+신중년 세대의 영화와 음악과 춤 조망 9
Ⅲ. 연구방법1. 현장 전문가 및 50+신중년 프로그램 기획자 라운드 테이블 132. 50+신중년 세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기획자와의 자율연계모임 21
Ⅳ. 연구결과MM&Dancing 모델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 적용 및 개발 35
Ⅴ. 결론1. MM&Dancing을 통한 50+신중년 세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452. 제언 46
부록워크숍 자료 49참고문헌 및 자료 50인터뷰 및 자문가 목록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