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행사자료

행사자료

포럼, 세미나 등 문화예술교육 행사 관련 문서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347건
  • 본 자료는 2022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실무자 연구모임 <비결정권자들의 결정_떠:들어보자>의 결과자료집이다. <비결정권자들의 결정>은 2021년부터 진행한 전국 17개 광역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실무자가 함께하는 모임이다. 2022년에는 '지역성&공간', '생태계','성장'을 주제로 총 3개 자율 연구모임을 운영하며 각 주제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결과자료집에는 각 연구모임별 활동 경과와 참여자들의 후기가 수록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달토끼프로젝트 다운로드 수 77
  • 본 자료는 2022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지원사업(꿈꾸는 예술터) 담론형성 포럼 <네모를 무한대로 확장하는 법> 결과집이다. 꿈꾸는 예술터는 지역의 어린이, 청소년 및 주민 등 다양한 주체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예술가와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하여 창의적 예술경험을 만들어가는 공간이자 예술가들의 연구와 실험, 창작, 공유, 교류, 확산을 지원하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플랫폼이다. 자료 안에는 12월 8일 공간을 만들어가는 사람(운영주체 및 문화예술교육 실행주체, 지역주민 등)을 주제로 전문가 및 꿈꾸는 예술터 관계자들과 진행한 담론형성 포럼의 사전 준비내용, 현장 기록내용, 결과리뷰가 담겨있다.   포럼에는 (진행자)원혜정, (패널)김탕, 백령, 임체스, 최지만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식회사 씨씨엔터컴 다운로드 수 93
  •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탐방 프로젝트 〈A-round〉는 2015년부터 시작된 국내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관계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탐방결과를 국내 관계자들과 공유하고 확산하고 결과 및 성과를 기록·축적하여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이다.2022년에는 과정 기반의 비대면 방식으로 해외 탐방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연구와 탐색을 통해 기획연구와 콘텐츠 개발 등 실천적 궁리와 탐구 활동을 지원하였다.   탐방은 지정 혹은 자율 주제에 맞추어 해외 문화예술교육자 및 유관 단체, 공간, 기관, 사례 등 문헌(온라인)조사에 기반한 인터뷰, 비대면 컨퍼런스·워크숍 참여 등 다양한 비대면 방식을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주제는 ‘포스트코로나시대 문화예술교육, 회복과 전환’, ‘서울어젠다-예술교육 발전목표’, ‘변화의 촉매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이다.프로그램에는 (참여자)김선경, 박제언, 손세희, 정지윤, 최윤지, 이지현, 차지연, 김현정, 조혜령, 김준환, 장효강, 정민식, 백숙영, 노세환, 박혜민, 김보연, 김진숙, 트소이베라 블라디미로브나, 나카타사치코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아트숨비 다운로드 수 291
  •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에 참여한 총 22개 주체들의 정량 성과를 담아낸 자료집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 문화분권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을 진행하였다. 2020년 사업이 시작된 이래 그간 기초·생활권 단위의 문화예술교육 여건과 수요에 맞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해 총 22개 주체들이 함께 노력하였으며 그간 진행해 온 많은 성과와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장애인상생복지회 다운로드 수 155
  • 2022년 11월 28일(월) 12:00~18:30 동안 서울 상연재에서 진행된 '2022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성과 공유 포럼 ON THE GROUND' 결과자료집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 문화분권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2022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0년 사업이 시작된 이래 그간 기초·생활권 단위의 문화예술교육 여건과 수요에 맞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해 거점주체들이 진행해 온 많은 경험과 사례를 다양한 지역 관계자와 함께 공유하고자, 이번 성과공유 포럼을 마련하게 되었다. 특히, 올해 3년차로 활동한 거점주체를 중심으로 사례와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다같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컬처앤유 다운로드 수 102
  • 미래 디지털 교육 동향 세미나 '문화예술교육, 에듀테크로 향하다'의 발표 자료집이다. 세미나는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및 에듀테크에 관심 있는 예술 교육가를 대상으로 2022.11.07.(월) 13:00-15:30에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동시 진행되었다.   세미나 발제에는 채수영, 김서진, 김선혁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채수영, 김서진, 김선혁 다운로드 수 231
  • 2022년 11월 28일(월) 12:00~18:30 동안 서울 상연재에서 진행된 포럼 자료집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 문화분권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2022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0년 사업이 시작된 이래 그간 기초·생활권 단위의 문화예술교육 여건과 수요에 맞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해 거점 주체들이 진행해 온 많은 경험과 사례를 다양한 지역 관계자와 함께 공유하기 위하여, 이번 성과공유 포럼 자리를 마련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성과공유포럼은 올해 3년차로 활동한 거점주체를 중심으로 사례와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다같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하였다.   성과공유포럼에는 (사회)김소연, 허윤정, (발제자)임학순, 김정이, 최지만, 우지연, 안태호, 정경운, (토론)고영직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장애인상생복지회 다운로드 수 305
  • 2022.11.9.(수) 14시~16시 국립한글박물관 1층 강당에서 진행된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방향 논의'의 자료집이다. 이번 토론회는 제1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의 종료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 방향을 논의해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비전, 목표, 추진과제를 도출하고자 추진되었다. 본 자료집은 문화예술교육 정책방향 논의를 위한 토론회 개요, [발제문]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 연구 결과, [토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론에는 (좌장)조은아, (토론)강승진, 곽덕주, 문영, 서지혜, 최영화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01
  • 2022년 9월 7일 오후 3시 시민청 태평홀에서 제1회 서울문화예술포럼이 개최되었다. 본 포럼은 '포스트코로나 문화예술 전망과 서울의 문화전략'을 주제로, 서울의 문화예술 전략 및 정책 방향, 문화예술의 미래와 경계를 넘나드는 언바운드 관점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포럼 자료집은 환영사, 인사말, 포럼 소개, 프로그램, 사회자 및 공연단체, 주제발제, 초청 강연, 서울문화예술포럼 운영위원회로 구성되어있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15
  • 2022년 5월 23일(월)~5월 29일(일)동안 블루스퀘어 카오스홀, 유네스코 회관, 마로니에 공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식SNS 채널 등에서 진행된 행사 결과자료집이다. 이번 2022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에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문화예술교육, 회복과 전환’을 주제로, 국내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및 현장 매개자를 위한 국내외 주요 정책 및 문화예술교육 사례 공유를 위한 국제 심포지엄과 꿈의 오케스트라 공연, 원데이 클래스,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 유네스코 국제 전문가 회의 등이 개최되었다.   자료집은 행사개요, 주요 프로그램, 결과요약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와우책문화예술센터 다운로드 수 209
  • 본 자료는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무용계의 현실을 탐색하고 이슈를 포착하여 미래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및 토론) 최희아, 박영옥, 신수린, 남희경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만든이(단체)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다운로드 수 174
  • 본 자료는 한국음악교육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음악교육학회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이면에 개인의 일상, 관계들의 본질을 돌아보고 코로나19의 위기를 극복하는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전환적 의미와 역할을 탐색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민경훈, 최은아, 허선형, (토론) 윤성원, 김은주, 최진호, 백재연, 이보림, 이선미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음악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음악교육학회 다운로드 수 143
  • 본 자료는 한국음악교육공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환경 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하여 교육 현장의 변화는 선택이 아닌 미래 교육으로 도약하기 위한 ‘디딤돌’ 즉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음악교육공학회는 본 세미나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에서의 그 의미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며 미래 교육에 최적화할 수 있는 이유를 탐색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박지현, 윤성원, 박진홍, 김재중, 이보림, 임소연, 강봉정, 윤지훈, (토론) 주성희, 장기범, 윤관기, 최진호, 조성기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음악교육공학회 다운로드 수 166
  • 본 자료는 한국예술교육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예술교육학회는 현재 혼돈상태에 빠져있는 예술 창작, 교육 학문 생태계에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예술교육 소통의 장을 가상현실 공간으로의 확대 방안 논의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포스트코로나시대 예술교육을 조망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이대영, 정옥희, 김영윤, 이보림, (토론) 김석범, 진승현, 류지영, 방수미, 조성은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예술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예술교육학회 다운로드 수 237
  • 본 자료는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는 길어지는 팬데믹 상황에서, 또는 변화하는 교육(사회)현상에서 회복과 전환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의미 가치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설계 및 조망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조홍기, 오세준, 안지언, 정미숙, 유지선, (토론) 이송하, 탁지현, 김소영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다운로드 수 216
  • 본 자료는 한국음악응용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음악응용학회는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음악예술 교육의 가치와 역할을 탐색하고 음악교수학습 방법의 회복과 전환을 위한 방향성 제시와 예비 음악교사의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김기수, 한승모, 김유희, 권수미, (토론) 조정은, 서종우, 남지영, 이보림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음악응용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음악응용학회 다운로드 수 151
  • 본 자료는 (사)한국사진교육학회 & 현대사진영상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사)한국사진교육학회 & 현대사진영상학회는 이번 학술 세미나를 통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전환 앞에서 시각예술이 논의해야 하는 담론과 실천을 직조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및 라운드테이블) 유기상, 신연하, 임종진, 강영훈, 현혜연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한국사진교육학회, 현대사진영상학회 만든이(단체) (사)한국사진교육학회, 현대사진영상학회 다운로드 수 134
  • 본 자료는 한국문화교육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문화교육학회는 코로나 시대 예술교육의 역할 모색 및 시의에 적합한 예술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이병준, 양보은, 박찬수, 이정민, (토론) 김소희, 김영순, 이유리, 김향미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문화교육학회 다운로드 수 176
  • 본 자료는 한국무용과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무용과학회는 COVID-19로 촉진되는 소통방식 변화 등 사회 변화 속에서 무용-교육-기술의 융합을 통한 무용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전망하고, 무용학의 확대와 변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고현정, 신경아, 이은형, 송경희, 정관영, (토론) 권선영, 이지선, 조준희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무용과학회 만든이(단체) 한국무용과학회 다운로드 수 214
  • 본 자료는 한국미술교육학회에서 진행한 ‘2022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학술 세미나’의 결과보고서이다. 한국미술교육학회는 미국, 일본, 한국 3개국이 참여하는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여 시대적 전환기에 예술교육이 추구하는 본질을 재조명하고 회복과 전환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모색과 전환점을 논의하였다.   세미나에는 (발표) Antonio C. Cuyler, Toshio Naoe, 김희영, (토론) 심효진, 최정아, 김철민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미술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미술교육학회 다운로드 수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