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47건
-
본 프로그램북은 UN지정 세계문화다양성의 날(매년 5.21.) 및「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이 지정한 ‘문화다양성 주간(매년 5.21.~27.)’을 기념하여 진행한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20주년 기념 포럼' 내용을 담았다.
본 포럼에서는 '디지털/AI 전환 시대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을 주제로 하여, 발전하는 디지털/AI 환경 속에서 창작자, 향유자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의 증진 및 보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발제에는 김정한, 김태윤, 민지은, 이진호, 백현정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7
-
2025년 5월 23일(금) 14:30~17:40 에 블루스퀘어에서 진행된「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의 프로그램북이다.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사회 변화와 교육 환경의 전환에 대응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실질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현장 실행과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소통하는 담론의 장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제1회 포럼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를 조망하고, 제2회는 인공지능(AI)과 미래사회를 주제로 기술 변화 속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제3회는 대국민 문화예술 향유 확대 방안을, 제4회는 돌봄경제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을, 제5회는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모델과 콘텐츠 실행방안을 다뤘다.
<제6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에서는 미래세대를 위한 창의적 예술경험의 터전으로서 ‘공간’의 의미에 주목하며,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전용공간의 정책적 방향과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발제 및 대담에는 김붕년, 김주리, 실베스트르 고즐랑, 쟈스민 프랑크, 캐서린 리트만 스미스, 알렉시 발타, 제이미 수드라, 안나 러셀, 조경진, 김자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74
-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동시대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기반으로 국가정책으로서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 기 위한 미래지향적 담론장으로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정책적 기반을 다져왔습니다.
제1회 포럼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 제2회는 AI 인공지능과 미래사회, 제3회는 대국민 문화예술 향유 확대 방안, 제4회는 돌봄경제를 키워드로 다뤘습니다.
<제5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에서는 국내외 우수한 교육 사례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고, 이를 국가 정책과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와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500
-
2024 문화예술교육 포럼 결과자료집은 '균등한 접근성을 보장하는 문화예술교육', '미래세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실천과 현장 강화'에 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영감과 성찰을 담고 있다.
일시 : 2024년 5월 21(화)-5월 22일(수)
장소 : 정동1928 아트센터(서울 중구 덕수궁길 130)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786
-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의제와 연계하여 이슈를 담론화하고,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실행 전략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2024 제4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주제는 "돌봄경제 시대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문화예술교육"입니다.
유아, 어린이, 청년, 중장년, 더욱 다양해진 노년층까지 우리 사회의 각종 돌봄이 필요한 영역을 점검해 보고, 미래 사회에 더욱 중요해지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역할과 방향을 탐색해 봅니다.
[제4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돌봄경제 시대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문화예술교육
- 일시 : 2023. 5. 23.(목) 14:00 ~ 17:00
- 장소 : 정동1928 아트센터(서울 중구 덕수궁길 130)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415
-
최근 디지털 매체와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의 변화를 선도하며 촉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3년 넘게 지속된 코로나 팬데믹 상황은 개인의 일상과 사회적 관계의 양상, 정치·경제·문화·교육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이전과 뚜렷이 구분되는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포스트휴먼 시대, 음악교육의 방향"이라는 주제 아래, 현 사회 속에서 음악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기조 강연, 연구 발표와 포스터세션, 워크숍과 수업사례 발표, 음악회 등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고 실행한 것들을 활발하게 나누고 의미 있게 소통하는 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음악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음악교육학회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11
-
한국문화교육학회는 2023 제17회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를 맞아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의 선한 영향력을 함께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본 학술대회는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 문화적 힘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탐구의 장입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문화교육학회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7
-
2023년 10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중심으로 개최된 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하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서울디자인재단이 주관한 행사였다. 본 자료는 포럼의 결과자료집이다.
행사명: 2023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 국제포럼(2023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Forum)
주제: 회복과 포용,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창의도시의 역할(The Role of Creative Cities in Fostering Resilience, Inclus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기간: 2023년 10월 25일 (수) - 10월 27일 (금) / 온라인(10월 26일) 및 오프라인 병행장소: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등 서울시 일대
주최/주관: 문화체육관광부, (재)서울디자인재단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재)서울디자인재단 ※ 후원: 서울특별시
참가자: 국내외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 전문가, 관계자 및 일반시민 등 500여 명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만든이(단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1
-
2023 한국조형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입니다.
주제 : 미래로 나아가다 : 미술교육적 대안과 가치
일시 : 2023.9.23.(토) 9:30-18:00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조형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조형교육학회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5
-
2023년도 한국조형교육학회 박물관연합 춘계학술대회 자료집입니다.
∙ 주제 : 공존을 위한 미술관 교육과 실천 Art Museum Education and Practice for Coexistence
∙ 일시: 2023년 5월 13일 (토) 13:00 ~ 15:00∙ 장소: 온라인 회의(Webinar)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조형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조형교육학회, 한국박물관협회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7
-
4년만에 정상화되는 영등포여의도봄꽃축제를 준비하며, 다양한 도시축제의 사례를 공유하고 환경과 지역사회가 공존하는 수변축제 담론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일시: 2023년 4월 1일 14시장소: 서울하우징랩기획 진행 / 영등포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진형우 안채린 김가영운 영 / 프리즈미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영등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영등포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7
-
강원문화예술, ESG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강원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38
-
지난 10년간 아동·청소년 및 가족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이후 올해 처음 전 생애로 확장하여 개편 운영된 아동부터 노년까지 국민 누구나 일상 가까운 곳에서 문화예술을 경험하고 개개인의 삶이 좀 더 풍성할 수 있도록 전국 단위 120개 기관·단체에서 24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이번 일상의 { } 틈 포럼은 2023년 열심히 달려와 주신 기관·단체의 사례와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꿈다락이 가지고 가야할 방향을 짚어보고자 마련되었습니다. 본 기록집에서는 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06
-
2023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미래 포럼 기록집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73
-
2023 대한민국 문화예술교육 축제 <ARTE(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xAURI(건축공간연구원) 공동기획 -아동의 성장과 돌봄을 위한 공간복지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포럼 프로그램북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67
-
청년 문화예술교육사가 문화시설에서 지역의 문화자원과 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3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은 80개의 문화시설에서 81명의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 했습니다.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로서 처음을 마주한 문화예술교육사는 현장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하였습니다. 이번 결과공유 포럼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성장일대기를 조명하려 합니다. 문화예술교육사가 현장에서 경험했던 미숙함과 실패를 극복해 낸 일화와 문화예술교육사의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준 문화시설 담당자의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느낀 벅참과 설레임, 막막했던 상황을 슬기롭게 해결한 순간의 짜릿함을 지금부터 소개합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69
-
2023 第8回 日韓中文化芸術教育フォーラム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3
-
2023 제8회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다운로드 수
85
-
2023 第8回 日韓中文化芸術教育フォーラム
2023 제8회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일문) 자료집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4
-
창의랩은 2019년부터 시작해서 올해 5년 차가 되었다. 창의랩이 문화예술교육 판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을까 하는 궁금증을 가지 고 다층적으로 5년간 어떤 의미를 만들어 왔는지 질문의 습격 통해 파헤쳐 보겠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