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경쟁이 아닌 공존, 단절이 아닌 소통, 기량이 아닌 창의력이라는 문화예술교육 가치 실현 및 제주문화예술교육 인프라 조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경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경남의 문화예술교육지원 거점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와 저변 확대를 통해 도민의 문화적 욕구 충족과 문화접촉 기회 확대로 삶의 질 향상과 문화적 역량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문화예술교육 인력을 양성하고 창의적이고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자생적이고 협동적인 협력 네트워크 수행을 통하여 경상북도 내 문화예술교육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전남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한 인력양성 및 감수성 강화, 정책 및 연구기능 강화 등 다양한 노력으로 전남도민 행복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지역 네트워크 구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현지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연계한 지역기반의 사업, 연구, 지역인력양성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선순환 예술창작, 누구나 문화향유, 다함께 문예협력이라는 목표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충북 지역민의 보다 나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 발굴 지원을 하고 지역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여 미래형 선진문화 향유 및 가치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안정적·체계적 지원을 수행하고 지역밀착형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공동체 형성 및 문화예술 활성화 지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경기 지역 문화예술교육 저변 확대를 위한 기획사업 운영과 중앙단위 위탁사업 운영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 문화예술교육 진흥 및 가치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세종예술제를 운영하고, 지역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여 세종시를 문화행복도시로 거듭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울산 지역 문화예술진흥 기반 구축, 예술창작·발표 활동 지원, 문화예술교육 지원, 축제 운영 등을 통해 예술로 새롭고 문화로 행복한 더 큰 울산을 만들고자 합니다.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문화예술의 교육·소통·나눔을 통한 풍요로운 삶의 문화환경을 구축하고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실현을 통한 문화의 일상화가 지속가능한 문화복지 도시 대전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인천 내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시설·단체의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제공함으로써 인천시 문화예술 향유자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지역특화형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구축하고 지역문화예술 환경 및 여건 조성을 통하여 광주형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대구 시민 누구나 즐기며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발굴 및 육성을 강화하여 문화도시 대구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지역문화예술 및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시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여 부산 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서울 시민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진흥을 목적으로 서울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과 교류, 협력의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0,535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발행기관
프랑스 감사원 (Cour des comptes)
등록일
2025-08-04
조회수
44
-
발행기관
미국 국립예술기금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등록일
2025-08-04
조회수
60
-
발행기관
UAE 문화부 (UAE Ministry of Culture)
등록일
2025-08-04
조회수
82
-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교육진흥원), 17개 광역자치단체와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지역센터)가 협력해 2005년「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래 2024년까지 진행한 지역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현황, 법・제도, 주요 성과와 사업별 운영 결과 등을 종합해서 정리하고 기록한 백서이다.
백서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본 이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차원에서 추진한 사업의 목적과 추진체계, 운영 결과를 서술하고, 해당 사업에 연계하고 협력하며 참여한 각 지역센터에서 구체적으로 운영한 내용과 결과를 보여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분류
발행연도
2025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05년 설립 이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이 백서에는 제도와 실천이 맞물려 확장되어 온 지난 20년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였다.
각 시기별 사회적 배경과 정책, 환경, 비전 등의 맥락 속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를 되짚어 보았다.
20년, 사업별 기록에서는 교육진흥원이 추진해 온 모든 사업을 정리하였으며 수록한 20년을 만들어 온 아르떼人에서는 정책과 현장을 잇고,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온 교육진흥원 구성원들의 시선을 통해 지난 시간을 돌아보았다.
부록에는 사업별 기록 외에도 참고할 수 있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분류
발행연도
2025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치유도 예술로’는 일상에서 회복과 치유가 필요한 국민을 대상으로 예술을 통해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나와 서로를 만나 마음을 위로하며 회복을 경험하는 예술치유 프로그램이다.
2025년은 5월 19일~ 31일 동안 프로그램 10개, 운영단체 프로그램 15개로 운영되었으며 프로그램 내용을 담아 기록집으로 제작하였다.
분류
발행연도
2025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24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소개하기 위해 제작된 홍보물이다. 문화예술교육사의 도입배경, 역할, 전망, 지정교육기관, 취득현황, 역량강화 사업 등이 담겨져 있다.
분류
발행연도
2024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발행기관
지우장대학교(Jiujiang University)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135
-
발행기관
유럽연합 (EU)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55
-
발행기관
전미 미술교육 협회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NAEA)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88
-
발행기관
유럽 위원회 (Council of Europe)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71
-
발행기관
카를스루에 미디어센터 (Zentrum f?r Kunst und Medien Karlsruhe, ZKM)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58
-
발행기관
데이터랜드 (DATALAND)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55
-
발행기관
에스토니아 정부 (Estonia government)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30
-
발행기관
아르텍 협회 (ARTECH International)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29
-
발행기관
유네스코 (UNESCO)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44
-
발행기관
전기전자 기술학회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45
-
본 프로그램북은 UN지정 세계문화다양성의 날(매년 5.21.) 및「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이 지정한 ‘문화다양성 주간(매년 5.21.~27.)’을 기념하여 진행한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20주년 기념 포럼' 내용을 담았다.
본 포럼에서는 '디지털/AI 전환 시대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을 주제로 하여, 발전하는 디지털/AI 환경 속에서 창작자, 향유자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의 증진 및 보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발제에는 김정한, 김태윤, 민지은, 이진호, 백현정이 참여하였다.
분류
발행연도
2025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25년 5월 23일(금) 14:30~17:40 에 블루스퀘어에서 진행된「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의 프로그램북이다.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사회 변화와 교육 환경의 전환에 대응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실질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현장 실행과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소통하는 담론의 장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제1회 포럼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를 조망하고, 제2회는 인공지능(AI)과 미래사회를 주제로 기술 변화 속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제3회는 대국민 문화예술 향유 확대 방안을, 제4회는 돌봄경제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을, 제5회는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모델과 콘텐츠 실행방안을 다뤘다.
<제6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에서는 미래세대를 위한 창의적 예술경험의 터전으로서 ‘공간’의 의미에 주목하며,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전용공간의 정책적 방향과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발제 및 대담에는 김붕년, 김주리, 실베스트르 고즐랑, 쟈스민 프랑크, 캐서린 리트만 스미스, 알렉시 발타, 제이미 수드라, 안나 러셀, 조경진, 김자현이 참여하였다.
분류
발행연도
2025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15년 12월 5일(토) 14:00~19:00에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주관한 예술강사의 발 컨퍼런스 결과보고이다. 울산 예술강사 컨퍼런스에서는 나 자신을 숨기고 내면에서 나오는 진솔함을 이야기하였다. 가면 뒤에 숨겨진 나의 모습과 너의 이야기, 서로의 이야기를 들으며 지지받는 자리를 만들어 가고자 하였다.
분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