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창룡사 다층 청석탑 일반적인 탑의 구조를 보면 우선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기단부는 탑신을 올려놓는 기초가 되고, 기단 위에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된 부분이 탑신부입니다. 상륜부는 노반을 기초로 해서 구륜(九輪) 등 여러 가지 장식이 수직으로 꿰여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창룡사 다층청석탑은 흔치 않은 청석을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단부가 없이 탑신 위에 지붕돌만 올려놓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 5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꿈을 쌓아 올린 나만의 탑, 드림캐처 만들기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창룡사 다층 청석탑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나만의 탑을 만들어 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조주희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34
  •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과천관(1986), 덕수궁관(1998), 서울관(2013)에 이어 2018년 청주에 새롭게 개관한 ‘수장고 속 미술관’입니다. 옛 담배공장이었던 청주관은 외관 굴뚝 등 기존의 형태를 유지하여 역사성과 상징성을 살리고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재건축되었습니다. 청주관은 작품수장과 보존을 위한 미술품 수장보존센터로 전시·교육의 기능을 아우르는 동시에 전문수장시설과 기획전시실, 교육공간, 보존과학실, 미술도서자료실 라키비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청주관은 전시의 개념이 도입된 국내 최초 ‘개방 수장고(Open storage)’와 ‘보이는 수장고(Visible storage)’를 조성하여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주요활동내용] 수장고로 변신한 미술관을 만나다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청소년(중∙고등)   (활동1)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에 대해 알아보세요. (활동2) 미술관 소장품을 만나보세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국립현대미술관 정윤혜 연구원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61
  • 중화어린이도서관 서울 중랑구 중화어린이도서관은 유아 ∙ 어린이를 대상으로 책 읽기의 즐거움을 느끼고 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독서를 통해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문화 공간이에요. 약 25,000여 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는 중화어린이도서관은 중랑역 앞 중화문화복지센터 3층에 있어요. 취학 전 천 권 읽기, 방학 독서 교실 등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아기들에게 그림책이 담긴 가방을 선물하는 북스타트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어요. 우리 동네 책 놀이터, 중화어린이도서관에서 즐겁게 책 읽고 신나게 놀아요.   [주요활동내용] 상상력이 쑥쑥 자라는 '중화어린이도서관'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중화어린이도서관에서'공가면 선생님이 웃었다'를 읽어보세요. (활동2) '공가면 선생님이 웃었다'를 읽은 후 책과 관련된 물음에 자유롭게 답해보세요. (활동3)내 별명을 닮은 가면 만들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양경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3
  • 서울천년타임캡슐 서울천년타임캡슐은 서울시가 수도로 정해진지 600년을 기념하는 것을 목적으로 1994년 남산골 한옥마을 안에 있는 서울천년타임캡슐 광장에 만들어졌어요. 서울 천년타임캡슐 안에는 오늘날의 시민생활과 서울의 모습을 대표할 수 있는 물품 600점이 담겨져 있어요. 이 타임캡슐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이 지난 2394년 미래에 사는 사람들이 열어 볼 수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미래 친구에게 보내는 타임캡슐 (대상) 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퀴즈로 알아보는 서울천년타임캡슐 (활동2) 미래 친구 퓨퓨에게 보내는 타임캡슐 만들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장혜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3
  • 무릉도원수목원 부천 무릉도원수목원은 1,334종의 수목을 가지고 있어요. 수목원 입구에서부터 연못이 있고 토피어리원, 암석원에서는 흔하지 않은 다양한 꽃들이 살고 있으며, 수목원 중앙에는 계류가 흐릅니다. 계류에서는 꽃창포와 같은 다양한 수생식물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답니다. 무릉도원 같은 수목원을 다니며 곳곳에 사는 예쁜 식물들을 직접 살펴보세요.   [주요 활동내용] 무릉도원 행복 나무 만들기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조가은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5
  • 숙공산 숙공산은 조선지지자료에 옥산면 범박리에 속하는 숙곡산으로 표기되어 있어요. 숙곡과 숫골, 소골, 소도골은 전부 같은 뜻인데, 그 중 소도는 족장이 살았던 마을에 신성한 지역을 골라 솟대를 세워 사람들의 범접을 금했던 곳을 의미해요. 소도에는 오로지 족장만이 갈 수 있었고, 솟대가 있던 골짜기라는 뜻에서 숫골이라고도 불렀고 공숫골이란 솟대가 없는 골짜기를 의미하는데, 숫골과 공숫골이 언어학적으로 합쳐져 숫공골이라 불렀어요. 그리하여 이 골짜기가 속해 있는 산을 숙공산이라 부르게 되었답니다. 한자음인 숙공산(肅公山)에는 신성한 지역의 산이라는 의미도 있어요. 범박에는 숙공산 말고도 할미산, 삼태봉, 안산, 함박산 등이 있는데, 이들 산 모두 크거나 신성하다는 의미를 갖고 있고 현재 숙공산 둘레길은 범박현대홈타운 1단지 삼태봉부터 숙공산을 한 바퀴 도는 것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숙공산 둘레길에는 ‘만남의 숲, 정겨운 숲, 네거리 쉼터, 시가 있는 숲, 힘 기르는 숲, 쉬어가는 숲, 희망의 쉼터’가 조성되어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따뜻하게 감싸보니 숙공산이 변신했어요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청소년(중등)   (활동1) 대지미술에 대해서 알아보자. (활동2) 숙공산을 만들어보자.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재호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9
  • 원고개 스토리길 비산동의 옛 이름인 날뫼라는 지명에는 전설이 있어요. 그 옛날 금호강(琴湖江) 냇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던 한 여인이 서쪽 하늘에서 요란한 풍악소리가 나서 하늘을 바라 보니 산 모양의 구름이 날아오고 있었다고 해요. 이를 본 여인이 깜짝 놀라 “동산이 떠 온다.”라고 비명을 지르자 날아오던 구름 산이 땅에 떨어져 동산이 되었는데, 그 후 사람들은 이 지역을 ‘날아온 산’이라 하여 ‘날뫼’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하고 있어요. 이 날뫼의 ‘원고개’는 달성과 달내(達川, 지금의 금호강) 사이의 넓은 들판을 가로지르는 ‘서울 나들길’로서 대구의 관도였어요. 옛날 원님이 이 고을에 부임해올 때에는 날뫼의 원고개에서 행차가 쉬어갔는데, 이 부임 행차 때마다 마을 백성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원님을 맞이하였다고 합니다. 날뫼북춤이 이때부터 형성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어요. 이와 더불어 북춤을 추는 내용은 날아온 산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주요 활동내용] 날뫼골에서 전통문화와 함께하는 '원고개 음악회'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우리 동네 원고개마을에 대해 알아보자. (활동2) 전통악기에 사용되는 문양을 만들어 보자. (활동3) 나만의 전통 북을 만들어 보자.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정인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52
  • 문화역서울 284 구 서울역사의 원형을 복원하여 2011년 개관한 복합문화공간이에요. 일제강점기였던 1922년 착공되어 1925년에 준공된 이후, 2003년 새로운 서울역사로 역무 기능이 이관될 때까지 구 서울 역사는 80년 가까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차역이자 서울의 중심 관문이었어요. 준공 당시에는 경성역이라 불렸고, 광복 후 1947년에 서울역으로 불렸답니다. 서울역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역사이자 근대문화유산으로서 건축사적 가치가 매우 커요. 서울역사는 르네상스 양식의 붉은 벽돌과 청동색 돔, 화강암 바닥 등 이국적인 외관과 거대한 규모로 건설되었어요. 문화역서울 284에 방문한다면 복원된 경성역 원형과 연극, 공연, 전시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체험할 수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문화역서울 284'에서 떠나는 상상 열차여행 (대상) 전 연령   (활동1) 문화역서울 284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요. (활동2) 나만의 열차표를 만들어 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현정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5
  •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중국에서 온 호두나무의 키는 약 20m까지 자라는데 꽃은 4∼5월에 피고, 9월에 둥근 열매가 익어요. 광덕사 호두나무의 나이는 약 400살 정도로 오래되었어요. 높이는 18.2m이고 두 갈래로 갈라져있는데 둘레는 각각 2.62m, 2.50m 정도로 매우 크답니다. 광덕사 호두나무에는 전설이 있는데 고려시대에 유청신 선생이 중국 원나라에 갔다가 호두나무의 어린나무와 열매를 가져와 어린나무는 광덕사 안에 심고, 열매는 유청신 선생의 고향집 뜰 앞에 심었다고 전해지고 있어요. 지금의 나무가 그때 심은 것인지 정확하지 않지만, 이곳에서는 우리나라에 호두나무가 처음 심어지고 가꾸어진 곳이라 여기고 있어요. 이 호두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서 문화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1998년 천연기념물 제398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답니다.   [주요활동내용] '광덕사 호두나무' 소리를 담다 (대상) 아동 (초등 저학년)   (활동1) 천연기념물 제 398호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에 대해 알아보아요. (활동2) 광덕사 호두나무 주변의 풍경과 소리를 채집해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정윤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62
  • 덕수궁 덕수궁은 임진왜란 이후 선조 임금님께서 의주에서 돌아오고 난 뒤 한양 도성 안에 있던 모든 궁궐이 불에타 머물 곳이 없어 월산대군의 집을 임금님이 잠시 머무는 시어소로 정했어요. 그래서 ‘정릉동 행궁’이라고 불렀죠. 그러다 광해군 임금님 때 ‘온갖 경사를 모신 궁궐’이라는 뜻을 가진 ‘경운궁’ 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어요. 이후 고종황제가 폐위된 후 경운궁에서 머물게 되는데, 이 때 순종황제가 고종황제가 오래 살기 바란다는 의미를 담아 다시 이름을 지금의 ‘덕수궁’으로 바꾸게 되었어요.   [주요활동내용] 황제의 궁궐'덕수궁'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황제의 궁궐 덕수궁을 탐방해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시소랩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6
  • 목감천 목감천은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서 발원하여 광명시를 지나 구일역 아래에서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이에요. 안양천의 지류 중 가장 길고, 평균 하폭은 57m 입니다. 목감천의 발원지 부근에 조선 시대 때 목암사(牧岩寺)라는 사찰이 있었어요. 이 사찰 경내에는 감나무의 개량 품종인 단감나무가 유명한데 하천명은 여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목암사의 목(牧)자와 감나무의 감(甘)자를 각각 따서 마을 이름을 목감리라고 부르고 이곳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므로 목감천이라 불렀어요. 자연적인 굴곡형 물길로 수초대 및 정화 습지, 주차장은 생태녹지로 조성, 전 구간 제방 옹벽에 넝쿨 식물을 심고 생태 관찰 공단, 체육 및 휴게 시설 등이 조성되어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안녕? 목감천! (대상) 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목감천에 대해 알아보아요. (활동2) <안녕? 목감천!>을 만들어보자.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심승희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2
  • 금산 천내리 고인돌 금산 천내리 고인돌은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에 있는 모두 12기의 고인돌이에요. 고인돌은 큰 돌을 고여 (괴어) 놓았다는 뜻으로, 큰 돌로 만든 선사 시대의 무덤이에요. 천내리 고인돌은 1995년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35호로 지정되었고, 이 마을에서는 이 고인돌들을 팔선바위라 해서 신성시하고 함부로 건드리지 않아요. 예전에 고인돌이 있는 곳에서 돌칼, 돌화살촉과 붉은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고 해요.   [주요활동내용] 선사시대 돌무덤, 고인돌을 찾아서 (대상) 아동 (초등 고학년)   (활동1) 천내리 고인돌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고인돌을 만들어 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 전태찬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30
  • 강화고인돌유적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에는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진 고인돌 무덤이 40여 기나 분포하고 있어요. 강화, 인천, 수원, 이천을 연결하는 선을 한계로 하여 그 북쪽 지역(한강 이북)을 북방식이라 하고, 남쪽 지역(한강이남)을 남방식이라고 하는데 두 지역의 고인돌 무덤 형태는 뚜렷한 차이가 있어요. 북방식은 지상에 책상처럼 세운 탁자 형태이고, 남방식은 땅을 파고 돌을 돌려막은 후 덮개돌을 얹은 형태에요. 부족장 등 정치 권력과 경제력을 가졌던 당시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인돌은 높이가 2.6m, 덮개돌 무게가 약 53톤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를 가진 것도 있어요. 이렇게 큰 돌들은 근처 고려산이나 별립산에서 채취해 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이 지역의 고인돌은 동북아시아 고인돌의 흐름과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으로 200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어요.   [주요활동내용] 탁자처럼 생긴 '북방식 고인돌'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세계문화유산 강화도 고인돌 유적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고인돌 모양의 장식품 만들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영숙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5
  • 옥토끼우주센터 옥토끼우주센터는 국내 최초의 항공우주과학 테마파크입니다. 항공우주관련 자료를 수집, 보전하여 어린이 및 일반 대중들이 항공우주 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전시 및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옥토끼우주센터의 건물은 내부와 외부공간으로 구분되는데, 관람 동선을 따라 과학 전시물 체험을 하며 우주센터를 관람하는 내부공간인 ‘항공우주과학관’과 넓은 옥토끼우주센터 전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탑을 중심으로 공룡의 숲, 물대포 공원, 로봇 공원, 천체영상관, 사계절 썰매장, 로고스 가든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공간인 ‘상상 체험공원’ 으로 나누어집니다. ‘항공우주과학관’은 우주와 인류의 미래를 향한 무한한 인간의 발자취와 우주항공기술의 역사가 담긴 과학 전시물 체험을 통해 우주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을 이끌어내는 전시관이며 ‘상상체험공원’은 움직이는 공룡과 로봇, 사계절 썰매장과 물놀이 시설, 로고스가든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테마공원입니다.   [주요활동내용] 가자! 나만의 특별한 우주여행관으로 (대상)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옥토끼우주센터를 방문하고 다음의 퀴즈를 풀어봅시다. (활동2) 옥토끼우주센터의 상상공원에서 공룡과 로봇전시를 관람하고 우리 지구의 과거와 미래를 상상하여 그림으로 그려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석영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54
  • 충주역 급수탑 높이 12m, 폭 3m 규모의 옛 충주역 급수탑은 석탄으로 물을 끓일 때 발생하는 증기로 움직이는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설이에요. 이 급수탑은 1928년 12월 조치원에서 충주 간 충북선 철도가 개통될 당시 세워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1967년까지 실제로 사용되었고, 1968년 디젤기관차의 보급으로 급수탑은 그 역할을 다하게 되었답니다. 1980년 충주역이 현재의 위치로(충원대로 539) 이전하면서 급수탑만 남게 되었는데 충주시에서 급수탑 주변을 작은 공원으로 조성하면서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었어요. 90여년의 역사를 지닌 충주역 급수탑은 근대 산업시설의 상징인 철도교통과 관련된 시설로 보존상태도 양호해 시도등록문화재 추진을 준비하고 있답니다.   [주요활동내용] 주위를 밝혀주는 충주역 급수탑 (대상)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우리 지역 소중한 자원인 충주역 급수탑에 대해 알아보아요. (활동2) 충주역 급수탑 조명을 만들어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채송화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25
  • 궁동저수지생태공원 궁동저수지생태공원은 1943년대부터 농업용수를 가둬 놓기 위한 저수지였다가 2007년에서 2016년에 걸쳐 주민들을 위한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공원입니다. 생태탐방로, 산책로, 전통한식정자, 운동기구 등이 있어 산책하기 좋으며, 버드나무와 소나무, 참나무와 상수리나무, 개나리와 벚꽃, 철쭉, 민들레꽃, 연꽃 등, 25,000여본의 다양한 꽃과 나무가 자라고 있고 100여 마리의 비단잉어들이 저수지에 노닐고 있어서 아름다운 풍경과 생태 환경을 자랑하는 곳이랍니다. 사계절, 자연의 변화와 다양한 곤충, 동식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풀과 꽃으로 그리는 그림 액자 (대상) 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궁둥 저수지 생태공원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2) 풀과 꽃으로 그리는 그림 액자를 만들어 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선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41
  • 안성향토사료관 안성시 보개면에 위치한 안성향토사료관은 안성시의 전통문화 보존과 관광산업 발전을 위하여 만들게 되었으며 아담한 전시공간에 고(故) 차돌 황치수(黃致秀)님의 개인수집품과 안성문화원에서 수집한 문화재자료가 전시되어 있어요. 전통 농기구와 생활용품, 가마, 식기 등을 관람하며 안성의 역사와 문화를 쉽게 알아볼 수 있답니다. 사료관 건물 주변에는 다양한 옹기와 돌기둥, 석조물 등이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어요.   [주요 활동내용] 과거로 떠나는 여행 '향토사료관'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안성 향토사료관에 대해 알아보아요. (활동2) 그림에 숨겨진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부안나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7
  • 수원 화성 수원의 화성은 유네스코 유산으로 정조대왕이 정약용을 비롯한 유능한 실학자들과 함께 2년 9개월 동안 만든 성이에요. 화성은 당시의 최첨단 과학과 건축술을 바탕으로 동양과 서양의 성곽이 가진 장점을 활용하여 조선의 아름다움과 창의성을 한껏 살린 건축물입니다. 수원 화성은 정조대왕이 자신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무덤을 가장 좋은 땅이라고 꼽히는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 화산에 살던 백성들을 위한 도시를 만들면서 지어졌어요. 정조대왕은 상업이 발달할 수 있도록 자신의 새로운 정치를 화성에서 펼치고 싶었어요. 그래서 교통이 편리하고 상업이 발달할 수 있는 신도시를 만들고 방어하기 위해 화성을 지었어요. 화성에는 4개의 대문 (장안문, 화서문, 팔달문, 창룡문)과 적들을 감시할 수 있는 각루와 같은 군사시설물들과 정조대왕이 행차 시 머물렀던 화성행궁이 있어요. 화성 내 시설물들 중 화성행궁과 방화수류정은 현재까지도 아름답기로 가장 유명합니다.   [주요 활동내용] 아름다운 우리의 화성 (대상) 유아,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수원 화성에 대해 알아보아요. (활동2) 내가 살고 싶은 성을 만들어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황민경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4
  • 좌구산천문대 증평 좌구산 천문대는 국내에서 가장 큰 356mm 굴절망원경이 설치되어 반사망원경으로 볼 수 없었던 선명한 천체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천문대에요. 천체투영실을 통해 날씨와 상관없이 다양한 천문 우주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답니다. 좌구산(657m)에 위치한 좌구산 천문대는 주변 불빛에 의한 광공해가 적어 밤에는 5등급의 희미한 별들도 약 1,500여 개를 헤아릴 수 있지요. 좌구산 천문대에서 반짝이는 여러 별들을 함께 살펴보아요.   [주요 활동내용 우주를 보는 창 '좌구산 천문대' (대상) 아동(초등 전 학년)   (활동1) 좌구산천문대에서 우주의 풍경 관찰하기 (활동2) 받아라 봉수신호! 봉수신호를 만들어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지연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충북 다운로드 수 24
  • 달터근린공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달터근린공원은 1983년 공원으로 지정된 진달래와 개나리 등 다양한 꽃들과 나무들이 심어져 있는 도심 속 공원입니다. 달터근린공원은 세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구름다리가 각 구간을 연결해 주고 있습니다. 구름다리의 이름은 ‘용바람, 용오름, 용이룸’으로 이름이 붙여 있습니다. 생태다리로도 활용되는 이 다리들은 도로로 인하여 끊어진 자연 지형인 산과 산을 연결하여 동물들이 오갈 수 있는 생태 네트워크를 살리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달터근린공원은 어린이들의 자연체험 야외 학습장과 테니스장, 운동시설등이 함께 있어 지역 주민들이 산책을 즐기고 휴식을 취하며, 체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도심 속 자연공원, 달터근린공원 (대상) 아동 (초등 저학년)   (활동1) 달터근린공원에 대한 퀴즈를 풀어봅시다. (활동2) 달터근린공원은 서울 도심 속 위치한 자연공원입니다. 달터근린공원을 방문하여, 공원의 모습을 관찰하고 그림으로 기록해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주우진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