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연수자료

연수자료

문화예술교육 현장 실무자, 예비인력을 위한 아르떼 아카데미 및 연수 문서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805건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7.28.-2015.07.29.동안 진행된 하반기 교원 전문성 강화 연수인문키움 1기, '음악과 미술로 인문학 다시 들여다보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전국 초, 중등 교원(교사, 학교장, 교육 전문직 등)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문화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문화, 역사 등 다양한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예술적 미학에 대한 자신만의 감상법을 확립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정원철 추계대 교수가 강의한 '에디터로서의 예술가 - 삶의 재구성, 재배치에 기여하는 문화예술에 대하여', 임미선 단국대 교수가 강의한 '전통음악의 풍류공간 - 전통문화 속 전통음악 다시 듣기', 박영택 경기대 교수가 강의한 '미술의 독창성 - 역사 속 변화하는 미술의 무게', 김수진 경주대 교수가 강의한 '해외한인사회의 문화와 음악 - 해외한인문화 속 음악 새깔 찾기', 김성혜 한예종 교수가 강의한 '한류와 월드뮤직, 문화의 세계화와 지역화 - 세계 속 한국대중문화 빚추어 보기'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6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24.-2015.07.26.동안 진행된 하반기 연수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위한 엑셀과 재무회계'에 대한 내용이다. 해당 연수는 2015 부처 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단체 실무자, 사회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엑셀을 활용하여 회계의 기본적인 이해 파악 및 간편 장부 작성실습을 통해 회계의 기본을 익히고, 원천징수 및 부가가치세 등 회계 심화과정을 익혀 단체의 회계경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강사는 한미회계법인 김성규 대표와 김금영 본부 행정팀장이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국가예산과 보조금의 이해', '단식부기의 이해', '간편장부의 이해 및 실습', '복식부기의 이해', '재무재표로 살펴보는 문화예술교육단체 사례 분석', '세무 및 부가가치세 개념 이해', '원천징수 및 종합소득세의 이해'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7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05.-2015.08.07.동안 진행된 교원 전문성 강화 연수 '감성키움-코스2' 3기 : 기획부터 연출까지, 살아있는 공연예술의 감상의 세계'에 대한 내용이다. 해당 연수는 전국 초, 중등 교원(교사, 학교장, 교육전문직 등)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공연을 구성하는 전체 요소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직접 공연을 체험하며 공연문화예술의 다양한 감상법을 습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류재현 감독과 이매랑 연출가가 강의하였고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공연예술 기획사례 탐구(1) - 작은 아이디어와 상상력의 만남', '공연예술 기획사례 탐구(2)', '공연 감상의 이해(1)', '공연 예술 체험(1), (2) - 살아있는 공연예술', '공연예술 기획사례 탐구(2)', '공연 감상의 이해(2)' 등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6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18.-2015.07.20.동안 진행된 하반기 실무자연수 '군인, 근로자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시간표,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사회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군, 근로자 등 교육대상(성인)을 이해하고, 실제 현장에서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체험하여, 연수 참여자 스스로 가상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민병은 한국문화의집 협회 이사가 강의한' 성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최근 이슈, 흐름(군, 근로자 중심)', 김옥희 서울무용교육원 대표가 강의한 '군,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송주희 수원이웃문화협동조합 대표가 강의한 '성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전송배 사단법인 한국아동국악교육협회 대표가 강의한 '근로자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김상우 울산발전연구원 부 연구위원이 강의한 '근로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및 필요성'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93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10.-2015.08.11.동안 진행된 하반기 행정인력 실무자 코스 연수 중에서 '[실무자 코스3] 미디어아트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행정인력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예술과 기술 관련 기초개념과 매체예술, 미디어아트의 국내외 교육사례를 학습하고 시각적, 청각적, 공간적 미디어아트를 체험해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유원준 더미디엄 대표가 강의한 '미디어아트, 예술과 미디어의 이해', 이진원 미디어아티스트가 강의한 '청각적 미디어아트 이해: '사운드아트(Sound Art)', 전지윤 미디어아티스트와 최유주 한독미디어대학원 대학교 교수가 강의한 '공강적 미디어아트 이해: '증강현실(AR art)', 노동형 한양대학교 교수가 강의한 '핵심이 보이는 보고서‧기획서 작성법 이해'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9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01.-2015.08.03.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 연수 '세계음악을 통한 나, 너, 우리 이해하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2015년 활동중인 사회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문화사적으로 의미있는 세계의 음악들과 다양한 악기들에 대해 알아보고 예술인으로서 소양을 갖추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김희선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가 강의한 '인류. 문화와 음악', '문화다양성과 음악', '세계음악의 다양성', '문화다양성과 우리사회의 음악하기', '세계음악 이해를 통한 예술의 사회적 역할 모색', Group TAAL(그룹 딸)이 강의한 '세계음악 체험 및 감상: 인도음악', Group KAN(칸)이 진행한 '세계음악 체험 및 감상: 아프리카 음악'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2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05.-2015.08.07.동안 진행된 하반기 교원 전문성 강화 연수 '감성키움-코스2' 1기 : 기획부터 연출까지, 살아있는 공연예술의 감상의 세계'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 자료 등이 수록 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전국 초, 중등 교원(교사, 학교장,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공연을 구성하는 전체 요소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직접 공연을 체험하며 공연문화예술의 다양한 감상법을 습득하는 내용으로 구성 되었다.주요 교육과목으로는 류재현 감독이 강의한 '공연예술 기획사례 탐구', 추민주 연출가가 강의한 '공연 예술 체험', '공연예술 기획사례 탐구', '공연 감상의 이해'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0
  • 본 자료집은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27.-2015.07.29.동안 진행된 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연계 연수 '창의학습과 촉진기술 워크숍 (Creative Learning and Facilitation Series) 1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시간표,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연수는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신의 창의성과 상상력을 경험하고 성찰하며, 효과적인 단체 활동을 이끌어내는 기술과 방법을 체험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워크숍은 Silvia. G. Webster Alan Wong(실비아 웹스터 알란 윙)이 진행하였으며 주요 주제로는 '공고한 공동체 만들기' ,'큰 아이디어 및 창의적 공동체 모델', '창조적 자아 탐색하기', '창조적 글쓰기 및 공연을 통한 그룹 협력', '즉흥 연극',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연극', '통합 활동', '참가자 주도 개막 및 피드백', '퍼실리테이터란?', '핵심 촉진 도구(3대 핵심 역량): 주의 깊게 듣기, 집중하기, 진실되게 말하기'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7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18.-2015.07.20.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연수 '장애 문화예술교육현장 엿보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시간표, 강의자료 등이 수록 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사회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장애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예술가·장애인과의 협업사례 등 다양한 사례를 체험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서의 사회 예술강사의 역할을 재점검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요 교육 과목으로는 주윤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이 강의한 '장애 문화예술교육 현장 엿보기', 김종인 나사렛대학교 교수가 강의한 '장애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김주영 한국복지대학교 장애유아보육과 교수가 강의한 '국내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현황', 촤동엽 장애인문화예술 판 대표가 강의한 '예술가+장애인 공동작업 스케치'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78
  • 양평에 있는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7.29.-2015.07.31.동안 진행된 하반기 교원 전문성 강화 연수 '감성키움 코스1' 1기 : 색채, 공간과 움직임으로 변화하는 미술관 체험하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 자료 등이 수록 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전국 초, 중등 교원(교사, 학교장,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색채, 공간, 형태, 움직임 등을 통한 문화예술의 다양한 표현방식과 소통하는 감상법을 배우고 미술관 체험을 통하여 예술작품과 교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연수 과목으로는 경기대 박영택 교수가 강의한 '기초미술교육의 체험', '생각을 여는 미술관 걷기-표현과 소통으로서의 미술관 체험하기', 김신록 배재대 교수가 강의한 '기초연기훈련을 통한 자유로운 교류와 변화1-표현의 미학 : 나를 표현함으로써 대상을 이해하다'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2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18.-2015.07.20.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 연수 '창의적 감성을 깨우는 국악감상과 전래놀이'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시간표,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학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전래놀이에 대한 이해 중심으로 한 국악, 미술, 무용, 연극 등 예술분야를 연계한 예술통합적 문화예술교육 놀이를 체험하고, 새로운 놀이를 개발해보면서 이를 교실 수업에 적용하여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 강사로 최현주 국악 예술강사가 참여하였으며 부강사로는 국악 예술강사인 이경아, 김혜림, 유매희 강사가 참여하였다. 주요 교육 과목으로는 '전래놀이의 이해', '노래와 함께 즐기는 강강술래', '교실에서 즐기는 책상형 놀이', '놀면서 예술 창작하기', '교실에서 즐기는 바닥놀이', '나만의 주령구 제작하기', '예쑬과 만나는 창작 놀이 기획'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62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21.-2015.07.23.동안 진행된 하반기 연수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기획하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시간표,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사회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발현과 실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의 구체화 과정을 실습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기획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강사로는 김유진 문화예술교육 기획자가 맡았으며 보조강사로는 함수연 브랜딩 디자이너가 맡았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기획방법론 CoP', '아이데이션 북꼴라주', '상상스케치', '창의적 집단사고'이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4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8.21.-2015.08.23.동안 진행된 하반기 연수 '지역문화와 생활예술공동체, 삶을 이야기하다'에 대한 내용이다. 해당 연수는 사회 문화예술교육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역문화정책의 흐름을 파악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토론해보며 지역문화 발전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 및 사례를 연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백기영 경기문화재단 북부사무소장이 진행한 '커뮤니티 아트와 공공예술', 설재우 지역문화연구소 송석원 대표가 진행한 '지역기반 문화예술교육', 이우향 서울그린트러스트 코디네이터가 진행한'문화예술을 통한 커뮤니티 공간 재생', 박승현 세종문화회관 문화예술본부장이 진행한 '시민이 만드는 예술, 생활오케스트라', 김경표 만리동 예술인마을 대표가 진행한 '주민주도형 문화예술Ⅰ- 만리동 예술인공동체마을 조성 사례', 이은석 만리동 예술인마을 홍보이사가 진행한 '주민주도형 문화예술 Ⅱ - 막쿱 생활기' 등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99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7.21.-2015.07.23.동안 진행된 하반기 연수 중에서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시간표,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사회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기획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청소년' 을 중심으로 교육대상을 이해하고, 실제 현장에서 진행되는 특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체험하여, 연수 참여자 간 체험 내용을 공유·토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박현동 청소년공동체 심대지기 대표가 강의한 '청소년 중심 교육대상의 이해', 오혜영 이화여대 학생생활상담 교수가 강의한 '학교 밖 청소년의 이해', 전효정 예술꿈학교 대표가 강의한 '학교 밖 청소년, 현장 사례 이해', 박상영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셋넷학교' 교장이 강의한 '북한 이탈주민, 현장 사례 이해', 이병모 의정부시 남자청소년 쉼터 소장이 강의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실습'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4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8.06.-2015.08.08.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 연수 '사회 문화예술교육 레파토리 공유 (분야별)'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연수는 2015년 출강 중인 복지기관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아동, 노인, 장애 대상에 상관없이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분야별 교육 레파토리를 공유하여, 사회 예술강사 간 숨은 노하우를 함께 정리해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박지영, 박설, 조동희, 전오미, 이문향 강사가 강의를 맡았으며 주요 교육 과목으로는 '사회 문화예술교육 레파토리 공유', '사회 문화예술교육 레파토리 개발', '사회 문화예술교육 레파토리 정리 내용 공유. 발표'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46
  • 용인에 있는 한라인재개발원에서 2015.08.12.-2015.08.14.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 연수 '예술강사 지역축제를 만나다'에 대한 내용이다. 해당 연수는 2015년 활동중인 사회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생활문화축제, 공동체 축제, 커뮤니티 마켓 등 다양한 지역문화축제의 사례를 알아보고, 예술강사가 출강하는 복지기관과 주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스로 축제를 기획해보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교육 과목으로는 권순석 문화컨설팅 바라 대표가 강의한 '지역문화, 축제의 이해', 김지영 플러스 마이너스 1도씨 대표가 강의한 '지역문화축제기획 사례 공유 I. 생활문화축제', 조미자 진접문화의 집 관장이 강의한 '지역문화축제기획 사례 공유 II. 공동체 축제', 전고필 대인시장프로젝트 총감독이 강의한 '지역문화축제기획 사례공유 III. 커뮤니티 마켓', '우리동네 복지기관 연계 지역문화축제 기획워크숍 II' 등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7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01.-2015.08.03.동안 진행된 하반기 사회 예술강사 선택 연수 '문화예술교육 학습을 위한 액션러닝'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사회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액션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교육설계 및 수업 운영 방법을 통해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수에는 박승희 안국액션러닝 협회 사무국장이 주강사로 참여하였으며 부강사로는 최은미 한국액션러닝협회 인증코치가 참여하였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참여식 교수법으로서 액션러닝 이해', '참여식 교수법에서의 러닝코치 역할 및 역량', '액션러닝 방식의 교육설계 방법 이해', 액션러닝 방식의 교육설계', '액션러닝 방식의 과제 구체화 방법', '액션러닝 방식의 문제해결 실습', '액션러닝 방식의 미팅 모델 I AGREE 이해', '나의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탐색'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5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09.-2015.08.11.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 연수 '심리극을 활용한 교육대상의 이해'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학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심리극을 통해 아동, 청소년의 심리를 이해하고, 모의상황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하여 심리학적으로 올바른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강의에는 양혜진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가 진행하였으며 주요 과목으로는 '교육대상의 유형 (아동/청소년 사례 중심), 사이코드라마 실제, 사이코드라마 이해, 역할극의 이해, 한 장면 드라마, 현장에 적용한 사이코드라마, 전체 평가 및 나누기' 등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1
  • 예비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양성과정 문화도담의 자료집으로 하반기 연수 및 문화도담 연수 개요와 교육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는 크게 하반기 연수 개요와 예비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양성과정 문화도담의 연수 개요가 있다. 하반기 연수 내용에는 연수 대상, 일정, 장소, 참가비, 참여자 선전기준 및 참여자 안내와 2015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이 표로 정리되어있고 예비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양성과정 문화도담의 연구 개요에도 연수명, 기간, 장소, 대상, 주요내용,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2장 아이스브레이킹 1, 3장 아이스브레이킹 2, 4장 팀 빌딩 워크숍, 5장 웰컴 파티, 6장 미술가의 아침, 7장 문화예술교육 활동가와의 만남은 각각의 내용을 듣고 적을 수 있도록 메모장을 삽입해 두었다. 8장 사회적 기업가와의 만남에는 관련된 자료를 삽입해 두었고 9장 음악가의 아침에는 강의자의 글과 강의에 필요한 악보를 삽입해 두었다. 10장 현장탐방 페차쿠차 -함께 만드는 동대문 문화지도는 직접 현장 탐방을 하기 위한 설명과 미션이 나와있다. 11장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개념어 사전는 문화예술기획 개념어 백과사전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예시와 양식이 나와있다. 12장 아침 극장도 내용을 적을 수 있는 메모가 삽입되었고 13장 문화도답 회고에는 강의자료가 나와있다. 마지막 14장에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가 나와있다. 해당 교육의 강의는 김유진, 이은선, 손은정, 류재훈, 함현경, 박진숙, 김익준, 한승모, 현승인 강사가 진행하였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9
  • 현대종합연수원에서 2015.08.06.-2015.08.08.동안 진행된 하반기 선택 연수 '만화·애니메이션 교육에 팝아트와 웹툰 더하기'에 대한 내용으로 연수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강의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연수는 학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웹툰, 스토리 구조 연출의 이해를 바탕으로 팝아트와 웹툰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방법을 고안할 수 있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교육과목으로는 이종규 '전설의 주먹' 웹툰 작가이자 청강대학교 만화창작과 교수가 강의한 '웹툰에서의 스토리 구조 이해', '웹툰 콘티 제작 실습', '웹툰 웹 이미지 제작 실습', 김용희 '대작' 웹툰 작가이자 청강대학교 만화창작과 겸임교수가 강의한 '웹툰 웹 이미지 제작 실습', 웹툰 스토리 제작 실습', '웹툰 작품 공유 및 발표' 가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