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로딩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708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본 자료는 '2021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역량 강화사업 결과자료집 : 일신우일신'이다. 결과자료집에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에 대한 소개, 강화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역량 강화사업 정보, 강원권 문화예술교육사 인터뷰 내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정보 등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역량 강화사업 결과자료집 : 일신우일신'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2021 강원지역 문화예술아카이빙 사업 '꿰어서 보배' 자료집은 2018년~2022년까지 최근 4년간의 운영 사례들을 수집·분석하여 도내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되어 온 흐름과 맥락을 제시하고그 활동 양상을 아카이빙 한 결과물이다.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아카이빙을 통해 강원도 문화예술교육이 바라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강원지역 문화예술아카이빙 사업 '꿰어서 보배'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2021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 : 나날이 한걸음'이다. 2021년 한 해 동안 진행한 사업 성과를 담았다. 결과자료집은 기관 소개, 사업별 소개, 만족도 조사 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 : 나날이 한걸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은 도내 아마추어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 및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디렉토리에는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의 개요, 추진과정, 권역별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와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 권역별 참여 동호회가 소개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생활문화활성화 사업 디렉토리'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https://g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예술동호회 활동 지원 사업은 경남도내 다양한 예술동호회 간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문화예술 공동체 활성화 및 자생력 강화를 위한 예술동호회 활동을 지원한다. 본 결과자료집에는 예술동호회 활동 지원사업 소개, 사업현황, 단체별 자원 현황 및 성과와 운영단체 사업소개 내용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예술동호회 활동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https://g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강원문화재단의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사업은 지역 내 다양한 이슈를 문화기획·문화활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지역문화 전문인력을 목적으로 한다. 2020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사업은 2020년 5월~12월에 진행되었으며 강원 지역문화 메이커스 양성을 위한 공통교육 및 네트워킹, 지역(강릉, 영월)별 특징 및 장점을 살린 실습 중심 지역특화교육, 프로젝트별 사업비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한다.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에서 2020년 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지역문화 전문인력 양성사업 강원권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http://www.gw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 본 자료는 '강원예술공간지도 리플릿'으로 강원문화재단 문화예술공간지원 사업 운영에 대한 기록과 보존을 위해 제작되었다.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강원예술공간지도 리플렛'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http://www.gw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 강원문화재단이 발간하는 강원문화예술교육 웹진 '잇다'는 도내 문화예술교육가 및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전하며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접근성을 높이고, 가치 인식을 확산하기 위한 웹진이다.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웹진 : 잇다'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http://www.gw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부산문화재단에서 실시한 '2021 부산시민 문화예술활동 트렌드 조사' 결과보고서이다. 코로나19의 영향과 삶과 사회의 양상이 변화하는 현재 문화예술이 부산시민들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부산시민의 문화생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된 조사이다. 본 보고서는 여가, 문화환경, 오프라인/매체활용 문화예술관람, 문화예술활동, 문화예술이용 공간 등에 대한 시민들의 경험, 빈도, 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가 담겨 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향미, (공동연구)김동규, 오재환 정수진, 조정윤, (연구보조)박선미, (연구지원)김수정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2유형으로 개방한 '2021 부산시민 문화예술활동 트렌드 조사' 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전자아카이브(http://e-archiv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기초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산문화재단
  • 사회적으로 모든 학생들의 학력 보장이 중시되는 가운데 학습자중심 맞춤형교육이 책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되었다. 본 연구는 에듀테크를 통한 원격-등교 연계 수업 유형 개발, 학습자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플랫폼 기반과 효과적인 수업전략 개발, 저소득층 등 배려대상 학생을 포함해 원격수업 경험의 공유·확산을 목적으로 한다. 또 협력학교를 대상으로 2021년 5월~12월 8개월 동안 추진된 교육을 통해 AI 기반 에듀테크 프로그램 활용 전후 학교교육의 차이, 맞춤형교육 실시 전후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영역의 차이 및 저성취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영역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AI 기반 에듀테크가 활성화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안영은, (공동연구원)이유리, 남인혜, 주정흔, (연구보조원)강하영, (연구협력관)손모아, 김지광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습자중심 맞춤형교육의 효과 분석 보고서 : 인공지능(AI) 기반 학습분석 활용을 중심으로'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https://www.serii.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본 연구는 AI 기반 에듀테크의 학교 현장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현실적인 문제와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적용 과정에서 숙고되어야 할 교육적 쟁점을 도출함으로써 AI 기반 미래교육을 위한 정책개발 방향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보고서에는 AI 기반교육 관련 민간기업 시스템을 학교현장에 적용하는 '2021 에듀테크 기반 협력학교 운영' 프로젝트 전체 실행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주정흔, (공동연구원)서덕희, 김보경, 임유진, 안영은, 신유정, 염민우, 이재환, 진수영, (연구보조원)이규빈, (연구협력관)김지광, 손모아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2유형으로 개방한 '인공지능(AI) 기반 에듀테크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http://www.serii.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본 자료는 '2021 부산문화재단 창의예술교육 랩 매거진 : 아이농악'이다. '아이농악'은 교육을 위한 기술과 예술의 융합으로, 인공지능과 부산농악을 접목한 교육 콘텐츠이다. 매거진은 '아이농악' 프로그램을 교육 현장에 접목, 확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모여 연구하고 회의한 9개월의 기록을 담고 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김태희, (공동연구원)김덕희, 최윤정, 이지훈, 정만영, (연구보조원)김보람, 강정훈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부산문화재단 창의예술교육 랩 매거진 : 아이농악'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산문화재단
  • 본 자료는 2021 고산도서관 도서관 밖 도서관 성과집 '자연을 꿈꾸는 텃밭 놀이터'이다. 대구 수성구는 '도서관 밖 도서관'을 통해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정보 및 교육자원을 연계함으로써 다양한 현장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고산도서관에서 진행한 '자연을 꿈꾸는 텃밭놀이터' 프로그램은 텃밭 체험과 첨단 미래농업 견학 등 농업의 미래 교육 체험 프로그램이다. 성과집에는 프로그램 소개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들의 모습, 결과물, 농업 관련 에세이 강연 정보, 농업 관련 그림책 정보 등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수성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고산도서관 도서관 밖 도서관 성과집 '자연을 꿈꾸는 텃밭 놀이터''이며, 해당 저작물은 수성문화재단(https://www.s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수성문화재단
  • 파키스탄의 북부에 위치한 40개의 초등학교를 지원하기 위하여 유네스코(UNESCO), 볼보(Volvo) 그룹, 파키스탄에 주재하는 스웨덴 대사관이 협력을 함. 특히 교육환경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길기트-빌티스탄(Gilgit-Baltistan)의 두 지역에 동화책과 학습 보조 도구를 지원 및 교사 연수를 제공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문맹률을 낮추고 분석 및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발행기관 ARAB NEWS 등록일 2022-11-21 조회수 62
  • 주식회사 데지리하(株式会社デジリハ)는 디지털 인터랙티브 재활 시스템(Digital Interactive Rehabilitation System)의 축약자로, 디지털아트와 센서를 활용하여 장애인이 보다 즐겁고 효과적으로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툴을 개발함
    발행기관 PRtimes 기사 / 데지리하 홈페이지 등록일 2022-11-21 조회수 170
  • 잉글랜드예술위원회의 지원으로 22년도 9월 22일, 피풀 문화 2022 쇼케이스(Peepul Culture 2022 Showcase)가 개최됨. 이 이벤트는 지역 사회의 신진 예술가들을 소개하며 몰입형 독서, 영상, 퍼포먼스 등 폭 넓은 예술작품을 선정하여 선보임
    발행기관 In Your Area Newsroom (온라인 매체) /맷 데이비스(Matt Davies) 등록일 2022-11-21 조회수 75
  • 페스티벌 프롬 인디아(Festival From India)는 인도‧영국의 예술문화분야 축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전문인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한편, 국가‧분야‧페스티벌‧인력 간 시너지를 도모하고자 하는 디지털 플랫폼
    발행기관 인도 예술문화자료 (Arts & Culture Resources India) 등록일 2022-11-21 조회수 59
  • 방콕문화예술센터(Bangkok Art and Culture Center,이하 BACC)는 2021-22년의 활동을 담은 연차보고서를 2022년 5월에 발간함
    발행기관 방콕문화예술센터 홈페이지 등록일 2022-11-21 조회수 49
  • 이 보고서는 호주의 대표적 문화예술 싱크탱크인 어 뉴 어프로치(A New Approach, ANA)가 발간한 자료로, '호주의 중산층 베이비부머 세대'(58-75세)의 문화예술에 대한 태도와 신념에 대한 공개 및 미공개 데이터를 종합함
    발행기관 어 뉴 어프로치 홈페이지(A New Approach) 등록일 2022-11-21 조회수 33
  • 스미소니언 소속 국립아시아미술관(Smithonian’s National Museum of Asian Art)과 미국 미술관(American Art Museum)은 박물관 컬렉션을 활용하고 커뮤니티 파트너와 협력하여 교사와 학생들이 사회-정서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
    발행기관 스미소니언 매거진(Smithonian Magazine) 등록일 2022-11-11 조회수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