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46건
-
늘봄학교 시간에 활용가능한 초등 저학년 대상 맞춤형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우리나라 대표 저명예술가 및 기관, EBS와 협력 개발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594
-
초고령화 사회 진입 및 여가소비 문화 장가에 대응하고, 초기노년 세대는 이전 세대와 다른 생활양식(life style)을 보임에 따라 기존 획일화된 문화 취약계층 지원 관점(사회·문화적 돌봄 대상)에서 나아가 초기노년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연극 프로그램 기획·개발 및 시범운영하였습니다. 프로그램 운영모델을 도출하였습니다. 결과보고서에는 본 사업의 추진 배경, 초기 노년 세대 특화 연극교육의 필요성, 초기 노년 대상 특화 연극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새 어른의 연극 프로젝트> 활용 방안 등이 담겨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340
-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간(공항) 기반 수요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업을 통해 추진한 <꿈의 비행> 프로그램의 운영가이드입니다. 본 사업에서는 총 3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공항 공간을 해석한 프로그램으로 1) 오은 시인 기획·개발 <이번 여정은,>, 2) 노트트리 기획·개발 <자율비행>과 공항 주변 지역 연계 프로그램으로 3) 피스오브피스의 가 있습니다. 본 운영가이드는 전국 공항의 담당자,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술교육가 및 예술가,프로그램에 관심있는 관계자 등에게 프로그램을 확산하고자 제작되었습니다. 가이드북에는 각각의 프로그램 소개, 기획의도와 준비사항, 세부 운영 내용, 프로그램 운영 시 점검해야하는 내용 등이 담겨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733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교육진흥원)은 2018년부터 매년 17개 지역센터의 사업과 운영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 인포그래픽은 중앙과 지 역의 정책 및 현장 관계자,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가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기 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2023년 주요 내용으로 지역연계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살펴보았다. 이는 양적 조사분석(지역센 터별 예산, 기본사업, 지역연계사업, 기반구축사업,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구성·비교)과 지역센터 사업의 주요 키워드, 경향성, 변화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3년간 지역연계 문화예술교육의 추이를 살펴보고 지역센터 간 비교를 통해 각 지역의 주된 고민 과 전반적인 지역연계 문화예술교육의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디자인 자리
다운로드 수
590
-
2023 문화예술교육 기획리포트 5호-변화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효과 측정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시소랩
다운로드 수
622
-
본 보고서는 2023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측정하여 사업과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사항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해 수행된 「2023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이다. 본 보고서는 조사 개요, 조사 결과 요약, 사업별 조사 결과, 제언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서라벌, (공동연구자)서우석, 윤나래, (연구보조원)윤상혁, 한이슬, 마승욱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807
-
ㅇ 문화다양성 정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중요
ㅇ 문화다양성에 대한 동작구의 인식 제고 및 정책적 노력 필요
ㅇ 동작구의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을 위하여 현황파악 및 실태조사 선행 필요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동작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동작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0
-
강남문화재단 2023년 〈N개의 서울〉 작가양성학교 공동문집 『WE ARt SHPERE』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강남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강남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19
-
문화예술교육사가 자격 취득 이후, 보다 높은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문화기반시설 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생활권 내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며, 문화예술교육사의 활용도 및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사업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중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인천중구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115
-
(재)인천중구문화재단의 현대무용과 K-pop, 스트릿 장르를 기반으로 한 무용예술교육 「댄스로 나르샤」 인천 중구가 꿈의 댄스팀 거점기관으로서 지역 내 아동청소년 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무용예술교육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춤’으로 만들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중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인천중구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73
-
동작문화재단은 2019년부터 「N개의 서울」을 통해 관계 기반 과정형 지역문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D-D-T는 ‘Dongjak- Drive- Through’의 약자로 동작구 지역 곳곳을 탐색하고 문화 거점을 발굴하며,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 향유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실행하는 협의체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동작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동작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6
-
인천중구문화재단 전생애 대상 프로그램 「가족생태예술교육, 소리로 이해하는 생태이야기」 "가족이 함께 동식물, 그리고 자연의 소리와 생태 환경을 직접 채집해보고" 여러 업사이클링 놀이를 통해 다양한 상상력을 펼쳐보며, 생태 환경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중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인천중구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92
-
인천중구문화재단 전생애, 청년중장년 대상 프로그램 「펄펀(fun) 탐험대」는 가족 및 청중장년을 대상으로 영종국제도시라는 '섬'의 생태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직접 해변에서 플로깅을 해보고, 다양한 예술활동을 통해 생태환경의 소중함을 깨닫고자 기획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중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인천중구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106
-
인천중구문화재단 노년 대상 프로그램 「시니어 치유 원예예술 교육프로그램 '마음을 꽃피우다'」 원예 예술교육을 통한 시니어 심리 치유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지역 주민의 노년기 행복한 라이프 스타일 형성을 위한 뇌, 마음 건강 증진과 예술 기회 제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중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재)인천중구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95
-
전국 17개 시·도의 초4~고2학년 학생 6,257명과 학부모 3,420명을 대상으로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수요를 파악함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리서치랩
다운로드 수
475
-
본 보고서의 구성은 초·중·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내의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학년)제, 현장 체험학습, 예술특색교육 및 예술제, 정규 교육과정 외의 방과후학교 등으로 구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리서치랩
다운로드 수
525
-
본 보고서의 구성은 초·중·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내의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학년)제, 현장 체험학습, 예술특색교육 및 예술제, 정규 교육과정 외의 방과후학교 등으로 구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리서치랩
다운로드 수
48
-
본 보고서의 구성은 초·중·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내의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학년)제, 현장 체험학습, 예술특색교육 및 예술제, 정규 교육과정 외의 방과후학교 등으로 구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리서치랩
다운로드 수
33
-
본 보고서의 구성은 초·중·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내의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학년)제, 현장 체험학습, 예술특색교육 및 예술제, 정규 교육과정 외의 방과후학교 등으로 구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리서치랩
다운로드 수
72
-
본 보고서의 구성은 초·중·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내의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학년)제, 현장 체험학습, 예술특색교육 및 예술제, 정규 교육과정 외의 방과후학교 등으로 구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리서치랩
다운로드 수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