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이란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 함양 및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관련 인식 제고와 문화기반시설 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생활권 내 문화예술교육 확대를 위한 사업이다.   '2020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결과자료집'에서는 사업 소개와 사업개요, 2020년도 선정 기관 및 문화예술교육사 현황, 프로그램의 개요와 세부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23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으로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영·유아 교육기관의 만 3-5세 유아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화시설 및 자원을 활용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하며 체험형·방문형 혼합 구성 교육프로그램 운영되는 사업이다.                                                 (사)경북섬유산업연합회 섬유박물관과 (재)수성문화재단 수성아트피아에서 진행한 다원예술과 연극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209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교육개발 연구지원 결과자료집'으로 대구문화예술교육 기반구축사업인 천진낭만예술학교, 1318예술학교, 교육개발 연구지원,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전문인력 연수지원, 문화예술교육 좌담회, 문화예술교육 대학생기자단의 사업 내용이 담긴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기반구축사업 결과자료집'이다.  사업별 사업 개요와 사업 유형, 각 사업이 진행했던 프로그램별 대상과 교육기간, 프로그램 내용 및 참여자 후기에 대한 내용이 실려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교육개발 연구지원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83
  • 인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정 10년을 맞아 10년 사업의 기록을 정리하고 그간의 흐름과 연계성을 살펴볼 수 있도록 10년 사업 결과자료집을 제작하였다. 결과자료집은 센터 소개 및 현황과 10년 연표를 통해 10년 개요를 볼 수 있고, 지역문화예술교육 사업,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 지원,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연구 4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담았다. 그리고 지난 10년을 바탕으로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하여 전문가들과 함께 진행한 좌담회 기록도 함께 담았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0년의 기록(2010~2019)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81
  • 본 연구는 박물관 온라인 역사 합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여 역사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발문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박물관의 전시 저사와 박물관 교육의 성격을 살리면서 학교 역사 수업과 연계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자료 구성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최일선, (공동연구자)강선주, 이연희, 김보미, (연구보조원)이현진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박물관 온라인 역사 학습 자료 개발 최종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post/article_1729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국립중앙박물관 만든이(단체) 경인교육대학교 박물관교육연구소 만든이(개인) 최일선 , 강선주 , 이연희 , 김보미 , 이현진 다운로드 수 56
  • 제주창의예술교육랩은 생태-인문을 아우르는 지역문화자원과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과학기술'을 문화예술교육에 기반해 융·복합하고, 미래 지향적 창의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고자 시작되었다.   융·복합, 지역문화자원 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개발 및 지역민 대상 프로그램 운영, 지역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을 이끌어갈 젊은 예술가와 예술교육자 양성기회 마련, 제주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창의적 자원 발굴과 선순환 구조 조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연구원들과 함께 과정의 실행 방향성을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는 R&D랩, 교육전문가와 청년연구원이 협업하여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는 D&I랩으로 구성하여, 실험 과정의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한다.   본 결과자료집은 지난해에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의예술교육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시킬 기반 마련(연수, 보급 프로그램 운영, 웹플랫폼 구축) 내용을 담았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0 제주 창의예술교육랩 결과보고서 '변화 확산 실행 공유''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제주 다운로드 수 221
  • 정부의 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기조에 따라 데이터 기반 가치 창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데이터 수집 및 활용 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과 관련한 가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그 결과물을 문화예술 정책수립과 사업 개발에 활용하기 위해, 현재 데이터 진단 및 융합데이터 발굴과 공공 및 민감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활용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행정업무를 지원하고, 문화예술지원 사업 추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하고 신규 시장 개척 및 기존 시장 확대를 통한 문화예술 및 유관 산업의 융합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국내외 빅데이터 활용사례, 문화예술 빅데이터 센터 보유데이터 분석과 보유데이터를 활용한 융복합 신규데이터 발굴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욱현, (참여연구원)문대식, 강용준, 심정환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2유형으로 개방한 '문화예술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보고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중심으로'이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https://www.arko.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만든이(단체) (주)더원테크 만든이(개인) 김욱현 , 문대식 , 강용준 , 심정환 다운로드 수 171
  • 2020년 1년동안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정리하여 제작된 결과자료집이다. 2020년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주요사업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연구 및 조성사업,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확산 사업이 추진되었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0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제주 다운로드 수 142
  • 본 연구는 예술교욱의 중심에 예술교육 전문가와 더불어 학교에서 아이들의 돌봄과 배움을 담당하는 일선 교사들로부터 교육연극을 통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 김지연, (공동연구원) 고봄이, 오동진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경기 교과연계 교육연극 기획지원사업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김지연 , 고봄이 , 오동진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77
  • 본 자료집은 2010년부터 2020년의 10년간 진행한 치유기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서울문화재 예술치유사업은 2010년 개관한 서울예술치유허브 창작공간과 함께 성장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지역중심의 예술치료 센터로 자리 잡았다. 자료집은 사업개요와 주제별 정리한 프로그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CCL 라이선스에 따라 개방한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치유사업 2010-2020년의 치유기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https://www.sfac.or.kr/archive/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79
  • 이 컨설팅 운영의 목적을 ① 2020 부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의 운영실태 파악, ② 개별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컨설팅 제공, ③ 컨설팅과 모니터링 개선방안 도출에 두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이순욱, 남영희, (공동연구원)정민경, (연구보조원)정세아, 이은주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부산 지역기반 문화예술교육 컨설팅 결과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이순욱 , 남영희 , 정민경 , 정세아 , 이은주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105
  • 2019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수행한 사업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작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57
  • 2020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과정을 엮어 제작한 결과자료집이다.  유아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은 생애초기 유아단계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및 지원을 통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확대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2020년 사업에는 영화의 전당과 디오티미술관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집은 각 단체별 운영 프로그램을 회차별로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346
  •  본 연구는 경기도 문화다양성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문화다양성 및 소수자 관련 연구와 문화 다양성 정책 사례에(경기도, 국내, 해외)에 대해 연구하고 경기도 문화다양성 인식과 소수자 관련 분야별 면접 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 정책 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경기도 문화다양성 정책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안태호 , 권범철 , 김강 , 손민아 , 임영준 ,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70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코로나19로 침체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최일선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사와 지역 문화예술교육 인력의 지원을 위해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 사업을 추진했다. 2020년 8월부터 12월까지 5개월 동안 2,000여 명의 조사자들이 지역 문화예술 자원을 발굴하고 활동안내서를 개발했다.   본 결과집은 사업 마무리하며 사업운영단이 함께 나눈 기획좌담 정리내용과 사업개요, 조사자 인터뷰, 권역별 자원조사 결과, 홍보기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결과집 내 각 조사결과의 저작권은 안내서를 제작한 조사자에게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데이터클립, 단순컴퍼니, 시소랩 만든이(개인) 강지웅 , 김종우 , 각 권역별 조사자 다운로드 수 327
  • 본 자료는 《SDGs 북클럽 in 원주 선정도서》 홍보 리플릿이다. 제 70차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의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eopment Goals)'가 채택되었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17가지 목표는 크게 인류의 보편적 문제, 지구환경문제, 경제사회문제로 구성된다.  리플렛에는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17개 목표에 맞는 85권의 그림책과 간략한 설명을 담고 있다.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SDGs 북클럽 in 원주 선정도서 리플릿'이며, 해당 저작물에 대한 영상은 원주시립중천철학도서관 유튜브 '중천학당'(https://www.youtube.com/channel/UCrMsgiOVUPCibLUcdiyLzPQ)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36
  • 본 자료는 2020년 10월 06일부터 10월 25일까지 구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에서 진행된 「문아리공간 5.3-우리는 늘 놀고싶다」 전시도록 자료이다.  전시는 한국그림책 작가11명(강혜숙 외)로 이뤄진 바캉스 프로젝트 그룹전, '별 일 없지? 곧 맑아질거야' 콘텐츠 기획전, 학성정원 프로젝트 놀이-터 등 총 7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지난 5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모든 그림책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한국그림책연감도서관, 문화놀이마당 소보름, 이담의 외출 등 다채로운 문화 콘텐츠가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2020 문아리공간 5.3 '우리는 늘 놀고싶다'' 전시도록이며, 해당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https://wjccity.wonju.go.kr/index.php?gid=sptcente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80
  • 2020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생애전환기를 맞은 신중년 세대에게 전환의 관점에서 삶을 재해석하는 경험 제공을 통해 주체적인 문화적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문화예술교육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와 신중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현장 활동가가 신중년 및 삶의 전환을 이끈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업 취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추진단을 운영하여 좌담과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컨설팅 보고서는 사업소개와 사업 컨설팅 내용과 함께 진행했던 프로그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 궁리 다운로드 수 1159
  • 2020년은 년 7만에 개정된 누리과정이 시행되는 해이자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19 유아기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관심과 갈등이 혼재하는 시기로 도내 예술가들이 적극 참고할 수 있는 경기형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경기도내 문화예술기관 및 경기문화재단의 , 유아문화예술교육 관련 현황을 파악하여 조사 분석하는 것은 장기적인 정책과, 지원계획 수립에 있어 꼭 필요한 연구를 통해 경기문화재단이 진행중인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미래를 위한 창의적 예술교육의 방향수립과 발전 정책 수립을 위해서이다. 보고서는 연구개요, 현황분석, 발전방향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는 (책임구원) 김태희, (공동연구)고정민, (연구원)민지혜, 임유정, 황봄이, (연구보조)구지혜, 원혜정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경기문화재단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발전 방향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바라예술성장연구소 만든이(개인) 김태희 , 고정민 , 민지혜 , 임유정 , 황봄이 , 구지혜 , 원혜정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94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취득 후 경제활동 조사와 문화예술 관련 기관(문화예술교육사 의무배치 기관 및 문화예술 관련 기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인력 현황조사의 조사체계를 구축하고,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정책 수립 및 사업 기획의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고서는 조사개요와 자격소지자 및 기관 조사, 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이경석, (공동연구자)조아영, 정현혜, (연구보조원)김주원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글로벌알앤씨(주) 만든이(개인) 이경석 , 조아영 , 정현혜 , 김주원 다운로드 수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