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평가, 조사, 분석 등 연구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1,148건
  • 본 저작물은 부천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문화정책연구5 부천형 아기공연예술의 사회적가치 ICRS 보고서이다. ICRS는 부천문화재단의 《0세콘텐츠개발사업》을 재디자인한 새로운 컨셉이며 문화예술창의 도시와 YZ세대를 위한 꿈의 도시, 아동친화도시 등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천시와 해외 0세 콘텐츠 사업의 성과 및 현황을 비교하고 부천형 영유아 사업의 발전 을 위한 아젠다와 비전 모델을 제시한다.      * 본 저작물은 부천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문화정책연구5 부천형 아기공연예술의 사회적가치 ICRS 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천문화재단(www.b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부천문화재단 만든이(단체) 부천문화재단 만든이(개인) 박치환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32
  • 본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2021년 5월 14일 발행한 '육아 정책 Brief 86호' 이다. 자료는 <놀이 중심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변화>를 주제로 정부 정책에 따라 유아의 권리를 보장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방향으로 개정된 유아·놀이 중심 개정 누리 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변화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안착을 위해 부모의 인지 제고와 유아의 긍정적 변화를 최대한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본 저작물은 육아정책연구소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 육아정책 Brief 86호 : 놀이 중심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변화'이며, 해당 저작물은 (https://kicce.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육아정책연구소 만든이(단체) 육아정책연구소 다운로드 수 64
  • 본 자료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한 지역문화예술교육계획의 이행상황 분석 연구 보고서이다. 본 연구는 지역별 「지역계획」의 세부과제 추진에 대해 환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연구결과는 향후 정부의 2차 「지역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서 17개 시·도별 「지역계획」 내 지역별 실행계획과 정량적·정성적 이행상황 조사를 통해 추진과제의 수행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별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과 추진과제를 총체적으로 점검 및 진단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상원, (공동연구자)김창수, 손동혁, 전승용, 임지혜, 곽민지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상원 , 김창수 , 손동혁 , 전승용 , 임지혜 , 곽민지 다운로드 수 1201
  •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발표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분권화 기조에 따라, 지역분권 이후에도 문화예술교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역․기초 단위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안) 마련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중심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가 추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단을 구성하여 유사영역 지원조례 및 광역/기초단위 기존 문화예술교육지원 조례 검토를 통해 광역·기초단위 조례(안) 마련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조재현, (공동연구자)최유성, (연구보조원)김명희, 여주연, (자문위원)백선혜, 서우석, 황승흠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메이븐스퀘어 만든이(개인) 조재현 , 최유성 , 김명희 , 여주연 다운로드 수 212
  • 본 자료는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회복'을 주제로 사회·교육현장의 현안을 진단하고,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모색해보고자 기획되었다. 특히, 학생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는 학교예술강사들의 문화예술교육수업이 학생들의 인식이나 마음의 변화, 삶을 바라보는 방향을 어떻게 이끌어 내면 좋을지에 대해 함께 고민과 함께 고민해본다.  이슈리포트 제작에는 김창환, 현혜연, 제환정이 참여하였으며, 부록으로 한겨레 21  (제1363호) ‘친구들 손을 못잡는게 슬퍼’ 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김창환 , 현혜연 , 제환정 다운로드 수 450
  •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1년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기본계획(안)>이다. 2021년 기본 방향은 "성공적으로 위기를 극복한 경험과 지역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학생의 정서적 결손 보완 및 회복탄력성 증진"이다. 본 기본계획에는 추진 배경 및 경과, 주요성과, 추진 체계도, 중점 추진과제, 추진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교육부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2유형으로 개방한 "2021년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기본계획(안)"이며, 해당 저작물은 교육부(https://www.moe.go.kr/main.do?s=moe)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교육부 만든이(단체) 교육부 다운로드 수 187
  • 2021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1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이다.  본 시행계획은 ‘사람 중심의 미래 지능형 교육환경 구현’을 위해 제6차(’19~’23) 교육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교육부, 시도교육청 및 소속·산하기관의 교육정보화 시행 계획을 수립·시행하기 위해 수립하였다. ICT 미래교육의 환경 조성과 초‧중등과 고등교육을 아우르는 교육정보화 혁신, ICT로 평등한 출발을 위한 교육서비스 제공, 교육정보 소통·공유 촉진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 본 저작물은 교육부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1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이며, 해당 저작물은 교육부(https://www.moe.go.kr/main.do?s=moe)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교육부 만든이(단체) 교육부 다운로드 수 48
  • 본 '2020 문예연감'은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문화예술 활동 전체를 조사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문예연감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1976년부터 매년 발행하는 문화예술 사료집으로 한 해 동안의 문화예술 활동 현황을 분야별로 수집, 정리하고 그 현황을 통해 한국 문화예술의 지형과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그간 문예연감은 문학, 시각 예술, 공연예술의 분야별 현황분석은 물론, 북한 문화예술계의 동향과 활동 을 정리·수록해 왔다. 이번해는 장르별 현황분석이 수록된 보고서와 북한 문화예술계 현황 보고서를 분리 발간함으로써 내용의 충실성을 높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2유형으로 개방한 '2020 문예연감'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https://www.arko.or.kr/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운로드 수 175
  • 이 백서는 유례없는 감염병 위기 상황 속에서 학생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면서도 중단 없는 학습과 배움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물론 학교 현장과 가정, 관계 분야의 전문가 모두가 함께 협력하며 대응했던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번에 발간한 백서는 감염병 대응 및 정책 추진 과정을 보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집필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류방란)과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연구팀을 구성해 추진하였으며, 영역별 시사점을 도출하여 현재 코로나 대응 및 향후 유사 감염병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교육부는 코로나19가 종료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지난해 갑작스러운 감염병 확산에 모든 교육주체가 협력하여 대응했던 기록을 현장에 공유하기 위해 중간백서를 발간하였으며, 향후 코로나19가 종식되면 추가·보완하여 종합 백서를 준비할 예정이다.        * 본 저작물은 교육부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1유형으로 개방한 '2020 교육분야 코로나19 대응 백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교육부(https://www.moe.go.kr/main.do?s=moe)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교육부 만든이(단체) 한국교육개발원 만든이(개인) 이정우 , 김창환 , 구자옥 , 김동영 , 김성기 , 김수진 , 김용남 , 김진숙 , 서영인 , 선미숙 , 유석주 , 이희현 , 전진아 , 김진희 다운로드 수 151
  •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는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비전과 목표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본 자료는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내 전략과제 추진을 위한 2021년도 세부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 본 저작물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21 문화예술교육 시행계획 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문화체육관광부(http://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490&pDataCD=0417000000)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문화체육관광부 만든이(단체) 문화체육관광부 다운로드 수 448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지흥원은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 인식, 참여 현황을 조사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발굴과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조사(승인번호 제113026호)'를 실시하였다. 2020년 처음으로 실시된 조사로 전국 17개 시·도 만 3세 이상 79세 이하 국민 6,000명을 목표로 조사를 수행하였으나 COVID-19 전염병 확산으로 유효표본 4,432명을 확보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2019년 9월 1일~2020년 8월 31일까지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대해 1:1 가구 방문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만 3세 이상 국민의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과 ‘문화예술교육 인식’,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학교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온라인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문화예술교육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각 개별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보고서는 크게 조사 개요와 조사 결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으로 설문지, 통계표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 아르떼365 관련 기사 [바로가기] ** 기존 게시된 파일에 수정사항이 있어, 최종 수정본을 재 개재함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문화체육관광부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다운로드 수 799
  • 지난 8년간(2013년~202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17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참여 단체/기관과 전문예술법인단체,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참여 단체 중 문화예술교육 사업 활동을 하는 단체/기관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김유미, (공동연구원)이경호, 이성우, 윤아영, 김연희, (연구보조원) 오해리, 민경현, 김동구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만든이(개인) 김유미 , 이경호 , 이성우 , 윤아영 , 김연희 , 오혜리 , 민경현 , 김동구 다운로드 수 495
  • 본 간행물은 서교예술실험센터 공동운영단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교예술실험센터의 발전적 운영방향 모색을 위해 서울문화재단과 거버넌스 당사자가 공동연구로 진행한 결과물이다. 본 연구는 서교 공동운영단의 미래를 구성하고 지난 운영 시스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향후 전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CCL 라이선스에 따라 개방한 '서교예술실험센터 운영모델 개발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https://www.sfac.or.kr/archive/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06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경북 다운로드 수 68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172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울산 다운로드 수 70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57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85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경남 다운로드 수 117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구자희 , 김혜경 , 옥경인 , 김다현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