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28건
-
미래형 융합교육은 『2개 이상의 학문 분야나 교과(목)의 지식, 개념 등을 연계하여, 미래 사회 구성원으로서 접하게 되는 실생활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융합역 량을 함양하는 교육』입니다.
미래사회 구성원으로서 접하게 되는 실생활 문제는 가정, 학교 등에서 발생하는 일상의 문제부터 사회, 환경 등의 문제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미래형 융합교육을 통한 목표는 미래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의 삶과 연계한 실생활 맥락 속 문제해결력을 높이고 자기주도적 ‧ 협력적 탐구를 실천하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있습니다.
학생은 일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서 미래사회의 복잡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실제 세계의 문제를 도출하여 2개 이상의 학문 분야나 교과 지식, 개념 등을 연계한 문제해결 방법 및 과정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SW 등 첨단기술에 대한 디지털 소양과 역량을 갖추고 이에 대한 이슈에 대응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평생학습자로서 사회 참여도 증진할 수 있습니다.
미래형 융합교육은 주어진 상황에 대한 맥락적, 현상적 이해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삶과 연계된 자기 주도적인 문제 해결의 실천적 산출물과 체험을 통해 성공 또는 실패의 경험, 성취감으로 새로운 문제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과학창의재단
다운로드 수
73
-
자율학기제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함께 우수사례를 통하여 자율학기제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과학창의재단
다운로드 수
59
-
융합교육(STEAM)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사례와 예시를 볼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과학창의재단
다운로드 수
74
-
2022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모델학교 구축·운영에 대한 사례를 모아 놨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과학창의재단
다운로드 수
46
-
2022 창의예술교육랩지원사업은 광주형 문화예술교육 창의성을 회복하고, 과정중심·당사자 중심 문화예술교육 연구·실험 확대를 통해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90
-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①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지원, ②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확대, ③매개자 역량강화 확대 및 다각화, ④지역문화예술교육 협력 및 논의 확대, ⑤지역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립과 가치 확산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67
-
본 자료는 신한은행과 함께하는 「2023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 사업 운영 가이드」이다. 예술꽃 새싹학교 사업소개 및 사업지침 안내가 담겨있으며, 예술꽃 새싹학교 운영학교의 원활한 사업 운영 도모를 위해 제작되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강동장애인협회 정다운 우리들
다운로드 수
118
-
본 자료는 「202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예비과정 사업운영 가이드」이다. ‘202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예비과정 운영학교의 원활한 사업 운영 도모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소개 및 사업지침 안내가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영일문화사
다운로드 수
78
-
본 자료는 「202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운영가이드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학교의 원활한 사업 운영 도모를 위해 사업소개 및 사업지침 안내를 위한 운영가이드를 제작 및 배포하였으며, 사업소개, 사업운영 관련 보조금 교부, 정산, 수행인력 및 기자재 관리 내용, 사업운영 관련 규정과 서식이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30
-
본 자료는 《202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과 《2023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 안내 리플렛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전교생 400명 이하의 작은 학교들을 대상으로 최대 4.5년 간 국고를 지원하여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교육환경을 지원하고 공교육 내 문화예술교육 효과와 활용도를 높이며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 리플렛에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비전과 목표, 로드맵, 연간 일정 소개 등이 담겨 있다.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은 국고로 4년 간 문화예술교육 기반을 다진 예술꽃 씨앗학교가 자생력을 갖추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신한은행)의 후원을 통해 운영하는 지원사업으로, 리플렛에는 예술꽃 새싹학교의 비전과 목표, 신한은행의 사회공헌활동, 새싹학교 기부금 현황 등이 담겨 있다.
* 《202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안내 리플렛은 E-book 으로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E-book 링크: https://www.arte.or.kr/seedschool/ebook/02/index.html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그루비즈
다운로드 수
114
-
-디지털 취약계층 및 일반시민 대상 맞춤형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문화취약지역민 대상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유관기관 협력 기반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보급 및 확산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12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BI 활용에 관한 응용매뉴얼이다. 응용매뉴얼에는 그래픽 모티프와 BI를 활용한 11종(책자, 레터헤드, 초청장, 명함, 소봉투, 중·대봉투, 현수막, 배너, 쇼핑백, 티셔츠, 뱃지)의 디자인 활용(안)이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86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BI 활용에 관한 기본매뉴얼이다. 기본매뉴얼에는 심볼마크, 로고타입, 전용색상, 아이콘, 서체 등 사용 규정이 담겨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32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선정 프로그램 중 전라권·제주 지역의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자료이다. 2023 꿈다락 문화예술학교는 수도권강원, 충청권, 전라권제주, 경상권 (4개권역) 총 120개 기관, 245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권역별 프로그램 안내 자료에는 단체명, 프로그램명, 참여대상, 운영일시, 운영장소, 모집정원, 참여신청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정보가 담겨있다. ※프로그램 모집기간 및 운영기간은 프로그램별 상이하며, 프로그램 세부 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574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선정 프로그램 중 충청권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자료이다. 2023 꿈다락 문화예술학교는 수도권강원, 충청권, 전라권제주, 경상권 (4개권역) 총 120개 기관, 245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권역별 프로그램 안내 자료에는 단체명, 프로그램명, 참여대상, 운영일시, 운영장소, 모집정원, 참여신청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정보가 담겨있다. ※프로그램 모집기간 및 운영기간은 프로그램별 상이하며, 프로그램 세부 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758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선정 프로그램 중 수도권·강원 지역의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자료이다. 2023 꿈다락 문화예술학교는 수도권강원, 충청권, 전라권제주, 경상권 (4개권역) 총 120개 기관, 245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권역별 프로그램 안내 자료에는 단체명, 프로그램명, 참여대상, 운영일시, 운영장소, 모집정원, 참여신청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정보가 담겨있다. ※프로그램 모집기간 및 운영기간은 프로그램별 상이하며, 프로그램 세부 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전국
다운로드 수
859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선정 프로그램 중 경상권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자료이다. 2023 꿈다락 문화예술학교는 수도권강원, 충청권, 전라권제주, 경상권 (4개권역) 총 120개 기관, 245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권역별 프로그램 안내 자료에는 단체명, 프로그램명, 참여대상, 운영일시, 운영장소, 모집정원, 참여신청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정보가 담겨있다. ※프로그램 모집기간 및 운영기간은 프로그램별 상이하며, 프로그램 세부 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851
-
본 자료는 2023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대표 BI 이다.2023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사업의 브랜드 정체성을 구축하여 효과적 홍보 추진 및 사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 브랜드화 되어 있는 기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BI를 ‘꿈다락 문화예술학교’로 사업명 수정 및 상징 이미지 일부 변경․보완되었다.
본 이미지는 로고타입 2종, 대표(시그니처) BI 5종, 심볼마크 1종으로 구성되어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80
-
이 자료는 2012년부터 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한 사업의 내용을 공유하고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등 21개 사업에서 중점적으로 만났던 참여 대상을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였습니다. 또한, 생애주기별로 프로그램 운영사례 35건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사업의 지향점, 프로그램 운영 방향은 사업 소개와 관련 자료를 통해 폭넓게 이해하실 수 있으며, 사업별 세부 프로그램 내용은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 자료가 예술(교육)가, 예술(교육)단체, 시민 생활 기반시설, 이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각자의 자리에서 고민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375
-
‘예술로 링크(Link)’는 네트워크와 협력 중심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다.
학교 문화예술교육 매개자와 협력하여 지역의 인적, 물적,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학교 수요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학교 안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가이드북은 2022 매개자 협력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시범사업 ‘예술로 링크(Link)’의 실행 현장을 기반으로 개발된 사업 성과 관리 체계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과관리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성과 맵핑에 대한 설명부터 활용, 적용 예시까지 담고 있다.
가이드북 제작에는 김선아, 유지혜, 이현정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아이보다(주)
다운로드 수
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