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2012년에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로 예술꽃씨앗학교에 관한 내용으로 서론,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 효과성 지표 및 효과성 분석, 결론 및 제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개발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지표를 개선하고, 이를 분석할 객관형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2012년 신규 예술꽃씨앗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자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문성, (연구보조원)전영은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문성 , 전영은 다운로드 수 44
  • 본 디렉토리북은 국내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자료 정보를 사용자가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체계화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제방송교류재단,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국문화정보센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정책방송원, 한국콘텐츠진흥원의 10개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34,000여개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자료는 이 가운데 문화예술 분야와 관련된 콘텐츠 6,800여개를 선별한 내용이다. 주요 문화예술 공공기관이 보유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ICT의 융합 교육에 부합하는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손쉽게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전문학, 현대문학, 회화, 공예, 서예, 조소, 미술기타, 음악, 무용, 연극, 영화, 국악, 사진, 건축, 만화 15개의 장르별 분류체계를 적용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아이빛연구소(주) 다운로드 수 57
  • 2013.05.31.-2013.11.02.동안 매주 금요일에 도예가 박영복, 배우 안석환, 요리연구가 박찬일, 기타리스트 신대철 명예교사가 진행한 《2013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남자학교; 소년, 남자가 되다' 프로그램》의 포스터이다. 소년에서 남자로 성장하는 17세 소년과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남자 명예교사가 진하게 놀며 남자다움에 대해 궁리하고 자신만의 답을 찾는 시간을 가지는 체험형 프로그램이다. 게스트로 백송, 안기용, 고무신이 참여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5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제작한 '201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자료집이다.    이번 아카데미는 2013년 8월-10월 동안 입문과정, 멘토과정, 심화과정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입문과정은 2013년 8월 12부터 9월 11일동안 5회에 걸쳐 '삶을 위한, 그리고 인간다움을 위한 기획! 아름다운 기획자를 만나다'를 주제로 기획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다. 강의에는 김인규, 김태황, 이상훈, 정상훈이 참여하였다. 멘토과정은 2013년 9월16일부터 10월 8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우리는 무엇을 창조했고, 얼마나 변화시켰는가를 기억하고 싶습니다'를 주제로 김영현, 김지나 멘토와 함께 두 팀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심화과정은 2013년 10월 11일-12일 1박 2일동안 멘토와 멘티의 심화과정으로 멘토 총 4회 과정을 정리하고 각 멘티의 Essay 발표로 진행되었으며 Essay발표로 효용상과 가치상을 수여하고 수료증을 증정하였다.   자료집에는 아카데미 강의 과정에서 참고한 강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10
  • 무형문화제 침선장인 구혜자 명예교사가 참여한 아트프로젝트 달림의 디자인에 관한 내용이다. 명예교사가 한옥 어린이 도서관인 글마루 한옥도서관에 전통 직조기술에 전통 수예등의 전통 예술의 만남의 기회를 접목시켜 조각보와 명주천을 설치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7
  • 2013.9.30.-2013.10.15.동안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진행한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 《인생식당》프로그램의 리플릿이다. 전라남도 광주 남구 봉선동 카페 카오루에서 2013.9.30.-2013.10.03.까지 진행되었고 명예교사로는 노익상, 김동영, 융진, 꽃별이 참여했다. 서울 마포구 서교동 씽크카페에서는 2013.10.07.-2013.10.15.동안 진행되었고 참여 명예교사는 양방언, 꽃별, 김동영, 방준석, 박종만, 융진이다. 10번이 진행되었고 10개의 리플릿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12
  • 뉴욕 필하모닉의 존 딕(Jon Deak)이 뉴욕필하모닉 강사들이 꼬마작곡가을 위해 집필한 가이드 북이며 꼬마작곡가 소개 및 핵심내용과 주요 수업 내용 Lesson1부터 Lesson1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가이드북 제작은 (저자)존 딕(Jon Deak), (기여집필자)블래츨리(Blachly), 빌 고르드(Bill Gordh), 리차드 캐릭(Richard Carrick), 대니(Danny), 펄센퍼드(Felsenfeld), 저스틴 하인스(Justin Hines), 파올라 프레스티니(Paola Prestini), 데이빗 월러스(David Wallace), (편집)파올라 프레스티니(Paola Prestini), (표지그림)클레어 쿠로넨(Claire Kurronen)가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은 (주)피콕비주얼엔터테인먼트가 운영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존 딕(Jon Deak) 만든이(개인) Jon Deak 다운로드 수 204
  • 2012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관 연차보고서로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되었다. 연차보고서에는 기관장 인사말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추진과제 및 전략, 기관운영성과, 기관예산서, 조직도 및 부서소개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진행된 사업별 사업내용과 사업 실적, 세부사업 실적 등이 보고서 형태로 정리되어 있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연구개발사업, 창의교육센터사업, 대외협력사업, 국제교류사업, 지식정보화사업 등이 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1
  • 본 자료집은 30차를 맞은 《2013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에 관한 자료집으로 기존 서울을 중심으로 개최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한 주제에 관한 워크숍을 서울뿐만 아니라 광역센터와 협력하여 대전지역에서도 개최함으로써 지역 참가자들에게도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30차 워크숍은 핀란드 피푸 문화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셜 서커스 전문가 2인인 필비 쿠이투, 자르모 스콘을 초청하여 ‘아동, 청소년 및 소외계층 대상 핀란드 소셜 서커스 교육 프로그램 운영사례 공유’라는 주제로 예술교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1일차에는 핀란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소셜 서커스, 교육방법·운영사례를 공유했고, 2일차에는 핀란드 문화예술 기반 학습 효과성 연구결과 공유 및 서커스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서커스 교육방법 및 그 효과를 직접 체험하는 자리를 가졌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Pilvi Kuitu , Jarmo Skon 다운로드 수 58
  • 해당 심포지엄 발표문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Arts in Education Observatories이 협력하여, 2013.10.30. 에 서울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진행되었다. 심포지엄은 수잔 롸이트, 사이먼 스페인, 사무엘 레옹, 윗브레드 리처드 가이, 치후 룸, 줄리아 데이비스이 참가하였고, 옵저버토리 네트워크 사업 소개 및 주요성과, 아태지역 6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비교연구 방법론 및 주요결과, 아태지역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우수사례(호주 ArtPlay, 멜번 시-예술교육 공간활용 사례, 홍콩 Sm-ART 청소년 프로젝트, 싱가포르 학교 내 우수 예술교육 사례연구)를 발표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Susan Kay Wright , Simon Spain , Samuel Leong , Whitbread Richard Guy , Chee Hoo Lum , Julia Davies 다운로드 수 38
  • 2015년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사업을 정리한 내용으로 구성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in 전북 꿈보따리 vol.4'소식지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10
  • 2013.10.17. 문화역서울284 RTO공연장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진행하는 《2013 문화다양성 정책공감 및 성과공유 행사-문화다양성 공유(共有) 공감(共感)》의 공연&토크콘서트의 리플릿이다. 문화다양성 확신을 위한 '무지개 다리 사업'도 소개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은 한국 동화주의적 관점, 다문화 가족중심 지원,이주민 분리주의적 관점을 벗어나 올바른 다문화 사회 조성을 위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본질적인 접근과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 간 상호소통과 다양성 증진에 대한 사회 전반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전국 12개 지역문화재단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본 행사의 사회자는 마붑 알엄(Mahbub Alam)이고, 라커피션, 다문화노래단 몽땅 대표 김희연, 김현하, 콜먼 필립 제프리(Coleman philip Jeffre), 수베디 여겨라즈(Subedi yagya raj), TAAL(구성모, 그나성, 양승환), 박진숙, 욤비 토나(Yiombi Thona), 작드허르러(Shagdarsuren Zagdkhorloo), 다나컨 산바라피푸(Tanakorn Sunvaraphiphu), 지구인뮤직밴드가 참여를 했다.
    주제 기타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메세나코리아 다운로드 수 17
  • 2013.05.22.에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개최 된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연계 프로그램》의 자료집이다.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로 각국의 문화정책 흐름과 현황 공유 및 아시아 3국의 문화예술교육 교류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 협의의 자리로 마련되었다.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2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토론 '미래의 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공통과제와 협력방안'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만든이(개인) Liu Yupu , 사토 토루 , 김태훈 , 츠츠미 야스히코 , 고봄이 , 황 항쮜엔 , 요시노 사츠키 , 정연희 , 오우 양 찐후 다운로드 수 36
  • 본 자료는 2013년 아르떼 2013년 아르떼 아카데미AA 예술강사 연수 중 초등학교 무용분야의 교수학습지도안이다. 자료집은 무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초등학교 무용 영역별, 학년별 내용, 예술만나기, 춤 이야기, 즐거운 춤, 우리 민속춤, 외국 민속춤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는 (연구기획)김명회, (책임연구)서예원, (공동연구)조은숙, 김윤진, 유미희, 문영, 윤미정, 서예원, 최상철, 석정아, 최성욱, (집필진)유미희, 조은숙, 서예원, 김윤진, 김명회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김명회 외 10인 다운로드 수 152
  • 전 세계 총 43개국에 있는 세종학당이 현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한국문화와 예술을 가르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을 세종학당에서 기획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기 위한 운영 안내서라 할 수 있다. 체험적인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한 한국문화교육 및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영하였고 현지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갈 수 있게 기본 방향과 자료를 담았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김선아, (공동연구원)민경원, 변계원, 김선영, 김혜진, (자문)최준호, 곽재성, 문효진, 강현화, 조항록, 윤금진, 강현주, 이삼형, 김재욱, 최정순, 이주원, 서승미, 이왕용, 황정옥, 김상규, 서반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선아 , 민경원 , 변계원 , 김선영 , 김혜진 다운로드 수 35
  • 이 연구는 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효율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예술강사와 담당교사 사이의 협력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하여 초ㆍ중ㆍ고 국악강사 적정시수에 기초한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술교육 적정시수, 전문성, 현장성을 반영한 교수-학습지도안과 예술강사와 담당교사 사이의 협력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교수-학습지도안에 반영하는 것이 연구에 의의가 있다.   해당 연구는 (연구책임자)권덕원, (공동연구자)석문주, 송정희, 박지영, 김선경, 박윤미, 이진배, 고지희, 김승연, (연구보조원)최사라가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권덕원 , 석문주 , 송정희 , 박지영 , 김선경 , 박윤미 , 이진배 , 고지희 , 김승연 , 최사라 다운로드 수 147
  • 2013.12.18.에 서울 중구 콩두에서 《2013 명예교사 네트워크 행사 아주 특별한 만남》을 진행한 사항들에 대한 것을 담고 있다. 프로그램 일정표, 행사장소, 행사장소의 위치 및 차량 동선, 안내 배너 설치위치, 안내 배너 디자인의 내용이 있다. 접객 계획과 행사 접객 계획의 내용도 있다. 행사장 1층에서는 리셉션과 공식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설치계획도 실려있다. 바와 영상 전시공간, 무대, 그리고 리셉션 칵테일과 차 메뉴가 실려있다. 행사장 2층에서는 디너를 진행하고 2층 도면과 디너 메뉴의 내용이 있다. 초대장과 명예교사들에게 선물 할 담요의 이미지도 함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연구한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서론, 선행 연구 분석, 지역 특성화 방안,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 시범사업 평가, 결론 및 제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세종학당의 급속한 외적 성장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 교육 인력 확충 등 문화 외교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십분 수행하기 위한 기반은 충분히 마련되지 못한 상황에서 교육프로그램 등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개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해당 연구는 (연구책임자)김선아, (공동연구자)김선영, 김혜진, 민경원, 변계원, (연구보조원)장민정, 강혜정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선아 , 김선영 , 김혜진 , 민경원 , 변계원 , 장민정 , 강혜정 다운로드 수 33
  • 2013.11.15.에 경기도 수원 팔달구 시인과 농부에서 시인 김용택 명예교사가 진행한 《2013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김용택 명예교사 '김용택의 일곱권 in 수원' 프로그램》의 리플릿이다. 오랜 시간 동안 자리를 지켜 온 책이 가득한 찻집 시인과농부에서 수원 영복여고 문예부 학생들과 시에 관심 있는 참여자가 만나 소탈하고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는 책방형 프로그램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5
  • 안애순 현대무용단 예술감독이 참여하여 '움직이는 당신이 살아있는 당신이다(Movement)'라는 주제로 진행된 '아트 프로젝트 달림'의 렌티큘러 디자인 포스터이다. 렌티큘러는 홀로그램으로 표현되는 3차원 이미지로 본 디자인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 보이는 능동적 관람 형태의 제작물이다. 서울메트로 시청역 게시판에 설치되었고 규격 50Cm(가로)*70Cm(세로)로 제작되어 2013.09.30.에 설치되어 일주일 동안 게시되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