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 기업 메세나 활성화 연구에 대한 내용으로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공공과 민간 영역의 시너지 있는 자원 분배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기업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기업 문화예술교육 참여 사례와 기업과 공공의 파트너십 구축의 사례를 함께 조사하여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기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참고 자료로 삼았다.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재정리하며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다시 잡고, 목표의 실현을 위하여 어떤 형태로 사업을 운영하여야 할지에 대해 각종 선행연구와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국내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공공 영역 및 전문가와 현재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나 참여 잠재력이 있는 기업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과 민간 영역의 운용 자원과 협력 네트워크 체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과 공공 영역에서 문화예술교육 분야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을 지 조사하고, 이를 매칭하여 시너지를 구축할 방법에 대한 전략과 세부적인 실행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민간과 공공 영역이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상호간의 만족을 위한 장애요인의 해결 방안과 보완 전략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기업과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공공 기관에 한정되어 있으며, 자문을 위하여 일부 관계자군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예술단체, 학교 등의 여타 영역에 대한 조사는 제외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총괄기획)허인정, (책임연구원)차민경, (연구자)김경리, 고대권, 류문, 김기룡, 오혜정, 임새미, (자문)오승환, 방대욱, 김영기, 전동휘, 김종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1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허인정 외 7인
만든이(개인)
허인정
,
차민경
,
김경리
,
고대권
,
류문
,
김기룡
,
오혜정
,
임새미
다운로드 수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