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난 몇 년 사이에 문화정책의 주요 관심 영역으로 떠오른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국민들의 수요에 의해서 이끌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의 확대를 검토하기 위해 문화예술계 전반의 구조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다양한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 문화예술계의 복잡성이 자연생태계의 구조와 유사함을 비교하였다. 또한 공급형 문화예술정책에서는 간과할 수 밖에 없었던 자생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생태계의 순환구조를 다시 그려보았으며 문화예술생태계의 훼손을 일으킬 수 있는 외부 환경요인의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미래사회에서의 변화양상에 대한 분석도 시도하였다. 자생성에 기초한 문화예술생태계의 순환 원리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구체적 실천사례들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 결과 연역과 귀납의 양방향에서 '일상적 삶의 정서', '공동체(커뮤니티)의 형성',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장', '문화다양성의 관점', '통합적 장르체계' 등의 공통항목을 찾아낼 수 있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박인배, (연구원)최혜자,나도은,신재걸,김은영, (연구보조원)김영현,박정열,이은진,정미숙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문화예술교육의 생태계적 패러다임 연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문화체육관광부(www.mc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07
저작권
문화체육관광부
만든이(단체)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만든이(개인)
박인배
,
최혜자
,
나도은
,
신재걸
,
김은영
,
김영현
,
박정열
,
이은진
,
정미숙
다운로드 수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