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느슨한 연대기>는 "00 한번 해볼까", "프로젝트", "일상의 발견", "작은 연구" 4개 프로그램을 통해 동대문구와 친밀해지는 순간을 마련하기 위한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동대문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27
  • 홍주문화관광재단의 청년예술인지원부문, 전문예술인지원부문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홍주문화관광재단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19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은 청소년들에게 문예회관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감상교 육 프로그램을 제공·운영합니다. 청소년들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및 감수성, 소통능력을 향상 시키고 건전한 토요 여가 문화 조성에 기여하는 사업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92
  • 은 만 40세 이상의 예술가를 지원하는 중진(서구예술가)파트와 만 39세 이하의 청년예술가를 지원하는 신진(청년예술가)파트로 나누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예술인들에게 예술창작과 발표에 소요되는 지원금, 교육 및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을 하는 사업입니다.선정된 예술가들은 개별적인 창작 활동의 기간을 거쳐 통합 최종예술발표축제인 ‘서로예술페스타’를 통해 서구 곳곳에서 시민들과 그 결과를 공유하게 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인천서구문화재단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15
  • 예술인 동반자사업은 예술인과 기업·기관(마을)이 함께하는 예술협업활동으로 기업·기관(마을)은 조직문화 혁신과 이슈 해결의 창의적 방법을 탐색하고, 예술인에게는 다양한 예술직무영역의 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산업·경제에서 예술인의 가치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대전문화재단 지역 대전 다운로드 수 33
  • AI 기본 개념과 원리 이해를 바탕으로 습득한 지식을 교과와 연계하여 가장 잘 적용(사용) 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와 중심의 사례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역량 강화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실습과 체험을 통한 문제해결 기반 중심의 데이터 이해와 공공데이터 활용 AI융합수업 사례(수학, 정보, 사회 교과 중심) 탐구, AI융합수업을 위한 아이디어 공유 등을 통해 교과와 연계하는 AI융합수업을 실천 할 수 있는 내용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다운로드 수 70
  • 본 교재는 학교 내 인공지능 교육 및 첨단기술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AI 기초 소양 교육과 교과와 연계한 AI융합교육을 통한 실생활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AI의 원리 및 이해를 바탕으로 교원의 최신 기술의 내용적 지식과 교육적 활용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계하고 구성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다운로드 수 77
  • 2022 경기시민예술학교 '상상하는' 수원캠퍼스 <머무는교실 : 하루의 백스테이지>를 준비하는 백스테이지’는 새로운 방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현장과 함께 진행하는 동시성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즉각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목표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수원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46
  • 경기시민예술학교는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을 대사응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사업이다. 시민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자기표현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고, 경기도 내 여러 거점을 구축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61
  • 경기문화재단과 문화사회연구소는 2022 문화다양성 촉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문화다양성 운동장-문화다양성 배움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9
  • 경기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은 경기문화재단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일환으로써 3년 차 추진 중이며, 초등학교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학교 교사와 예술강사가 공통으로 협력하고 개발한 교육연극 수업을 진행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77
  • 전통생활문화교육의 목적은 전통생활문화의 의미를 탐색하고 전통생활문화 보존 태도를 함양하며, 전통적 가치관을 확립하여 전통생활문화를 미래지향적이며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나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전통생활문화의 개념 및 유형을 정립하고 배움 중심 전통생활문화교육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다운로드 수 37
  • 2022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플레이엄(PLAYEUM)은 Art Play와 Museum의 합성어로 예술가와 시민이 작품(활동)을 통해 자유롭게 노는 문화예술교육을 지향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화성시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33
  • 경기문화재단 2022 경기예술교육 성과물 공유 온라인 협력망[노는예술]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다운로드 수 40
  • <문화다양성마을 - 다양성洞>은 2016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계층과의 문화교류 및 소통을 활성화하고, 소수문화의 표현 기회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성동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4
  • 올해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노년문화예술교육사업’은 2019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2020년 노년 문화예술교육 조사·연구, 2021년 노년 문화예술교육 실행연구의 추진성과를 바탕으로 지역 내 노년 문화예술교육 확대를 위하여 참여노년의 공통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공동체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되, 지역 내 확산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추진하였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86
  • '여기서 노닥노닥’은 공간→사람→소통으로 이어지는 생활문화 활성화 지원사업입니다. 가깝지만 처음 발견한 동네 공간에서, 낯설지만 취향이 비슷한 동네 사람과, 조금 수다스럽게 자꾸 재미있는 말을나누며 노닥노닥합니다. 그 어떤 이해관계도 특별한 목적도 없이 좋아하는 것을 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은 그저 즐겁게 노닥노닥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노원문화재단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42
  • 작가, 식물학자, 무용가, 사진작가, 안무가, 공예가, 인문학자, 사운드아티스트, 시인 그리고 인천시민이 참여하는 본 프로젝트는 한 편의 시와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자신만의 감성과 영감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2
  • 본 자료는 수원문화재단에서 발간한 자료로 <문화예술교육 거점 이해>, <공적 공간자원 이해>, <수원도시재단 사례>, <수원문화재단 공간과 민간공간>, <거점구축 및 네트워킹의 방향성> 을 주제로 한 네트워크 모임 이야기를 담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수원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9
  • 문화다양성 확산 사업은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위한 대표 사업으로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11년간 진행되고 있다. 문화다양성 확산 사업은 지역민들과 다양한 문화주체가 문화예술을 통해 서로의 문화의 다름과 차이를 이해하고 공동체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한 방법을 찾는 사업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구로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