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청소년 예술감상교육을 확산하여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소양 및 정서 함양, 감수성 및 소통능력 제고하고자 하며, 단순 기능교육이 아닌 연극, 국악, 뮤지컬 등 공연 및 전시 작품 감상 중심 교육을 통한 청소년과 학부모의 문화향유 능력 신장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다운로드 수 213
  • 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 <예술로 가까이> 사업은 2006년부터 학교 교실에서 진행된 TA사업을 지역, 생활권으로 확장하여 일상에서도 예술가와 예술교육을 쉽게 만나고 또 가까이 관계 맺을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만들어가는 2021년부터 새롭게 시작한 사업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다운로드 수 27
  • 예술인 역량강화 지원사업은 신진예술인의 안정적 예술활동을 위한 기본 역량강화 및 공공지원 접근성 제고에 요구되는 역량강화를 지원을 목적으로 온라인 강의와 멘토링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다운로드 수 72
  • 예술인의 사회적 가치 확장을 위해 다양한 예술 직무영역을 개발하고 기업,기관 등 사회와 협업하여 직무를 제공함으로써 적극적 예술인 복지를 실현하고자 진행하는 사업이다. 예술로 사업을 통해 각각의 이슈(고민)와 혁신의 욕구가 있는 기업,기관과 예술인이 결합하여 예술인만이 지닌 독특한 창의성을 바탕으로 이슈와 욕구에 대한 해결방안을 함께 찾아볼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다운로드 수 19
  • 본 자료는 '2022 꿈의 댄스팀 홍보대사 기획사업 함께 추는 춤, 피어나는 꿈'의 결과자료집입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523
  • 본 자료는 「2022 어디서든 예술치유-치유도 예술로 기록집」이다. 2022 어디서든 예술치유 사업은 치료적 성격의 예술치유를 넘어 예술의 효과로서의 힐링 경험 등 예술치유 범주 확대를 통한 예술치유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및 인식을 제고하고, 우울감, 상실감 등 일상적 치유가 필요한 국민을 대상으로 예술의 치유적 기능에 공감하는 예술가와 함께하는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예술치유의 사회적 가치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록집은 '치유도 예술로' 사업과 예술치유 워크숍, 예술치유 놀이터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어반콜라보 다운로드 수 729
  • 본 자료는 울산동구청소년문화의집에서 추진한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송캠프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울산동구청소년문화의집(울산동구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다운로드 수 837
  • 본 자료는 경성대학교에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성대학교 산학현력단 다운로드 수 736
  • 본 자료는 망원청소년문화센터에서 추진한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송캠프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구립망원청소년문화센터 다운로드 수 492
  • 본 자료는 밀양시청소년문화의집에서 추진한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송캠프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밀양시청소년문화의집 다운로드 수 669
  • '예술로 탐구생활'은 학생들의 삶의 이슈에 기반을 둔 다양한 주제를 예술로 질문하고 사유할 수 있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협력(교사X예술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사업이며, 학교 안에서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예술 접근기회를 누리고,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창의적·융합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자료집은 권역별 프로젝트 참여 그룹의 주제 유형 및 주된 대상이 기재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선정 계획, 실행 과정 및 수혜학교 내 운영성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꿈꾸는씨어터, 문아트컴퍼니 다운로드 수 741
  • '예술로 탐구생활'은 학생들의 삶의 이슈에 기반을 둔 다양한 주제를 예술로 질문하고 사유할 수 있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협력(교사X예술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사업이며, 학교 안에서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예술 접근기회를 누리고,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창의적·융합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자료집은 권역별 프로젝트 참여 그룹의 주제 유형 및 주된 대상이 기재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선정 계획, 실행 과정 및 수혜학교 내 운영성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로드 수 434
  • '예술로 탐구생활'은 학생들의 삶의 이슈에 기반을 둔 다양한 주제를 예술로 질문하고 사유할 수 있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협력(교사X예술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사업이며, 학교 안에서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예술 접근기회를 누리고,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창의적·융합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자료집은 권역별 프로젝트 참여 그룹의 주제 유형 및 주된 대상이 기재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선정 계획, 실행 과정 및 수혜학교 내 운영성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로드 수 293
  • 본 결과 자료집은 2022 주제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탐구생활'의 1권역(수도권, 강원, 제주)에서 발행한 결과 자료집이다. '예술로 탐구생활'은 학생들의 삶의 이슈에 기반을 둔 다양한 주제를 예술로 질문하고 사유할 수 있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협력(교사X예술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사업이며, 학교 안에서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예술 접근 기회를 누리고,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창의적, 융합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료집은 주제 유형 및 주된 대상이 기재된 주제 발굴, 프로그램 장르 및 대상 등이 기재된 프로그램 개발, 참여 예술가 및 학교 현황 등이 기재된 운영, 성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릉문화원, 한국국악협회 제주도지회 다운로드 수 1377
  • 본 프로그램을 통해 계급에 따른 수직적 문화 명령과 복종과 같은 억압적인 환경에서 심리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장병들에게 연극,난타, 마임 등을 활용한 힐링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심리적인 문제를 완화하고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강화함으로써 안정적 군 복무 병영 생활을 실현하도록 돕는다. 결과자료집은 사업개요와 군 부대별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사항, 사업성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는 (총괄PM)이선형, (보조PM)강솔, (슈퍼바이저)박미리, (난타예술가)공미경, 정규하, (마임예술가)강지수, 양미숙, (주연극심리상담사)김지선, 윤차연, 이지은, 현미자, (부연극심리상담사)김지아, 안지윤, 이혜민, 이혜진, 임지홍, 장선희, 장성화, 차인영, (임상심리사)고성인, 정봉순, (사업협력)(사)한국연극치료협회가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공연예술과치유더스텝 다운로드 수 509
  • 한양대학교에리카 산학협력단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추진한 '202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의 '우리끼리 ㅋㅋㅋ'프로그램 결과자료집이다. 움직임과 함께하는 '우리끼리 ㅋㅋㅋ'는 Think(씽크), Talk(토크), Make(메이크)의 약자로 생각을 깨우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움직임으로 표현해봄으로써 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초등학생 1~6학년 45명을 대상으로 1기-방학형, 2기~ 3기-주말형 각 8회차, 총 24회차 진행되었으며, 결과자료집은 프로그램 소개, 개발 과정, 실행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에는 (책임연구원)이해준, (콘텐츠연구원)김지영, 박희진, (콘텐츠연구 및 주강사)이지숙, 최은지, 이화선, 김나영, (수업시연 및 강사)박수빈, 양소영, 지수은, 박성연, (행정)나현정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양대학교에리카 산학협력단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에리카 산학협력단 다운로드 수 432
  • 「아르택트 랩, Artact-lab」이란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매개자들의 다양한 도전을 지원하는 실험실이다. 2022 아르택트 랩에서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하고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주제를 정해 이를 직접 추진하여 양질의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기획 개발 중심의 개발형 프로그램과 운영과 활성화 중심의 실행형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추진되었다. 자료집은 사업 개요, 참여 연구팀의 연구일지, 선임 연구원의 관찰일지, 결과공유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콜라보협동조합 다운로드 수 167
  • 본 자료는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 '우리, 모두, 함께' 워크북」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기획한 주말예술캠퍼스 운영을 위한 워크북 자료로서, 다양성, 기후변화, 전쟁과 평화를 주제로 여러 활동을 해볼 수 있다. 1기 초등학교 4~6학년, 2기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각 12회차, 총 24회차 진행되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단체)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로드 수 198
  • 본 사례집은 특수 취약계층 중심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법무부와 협력하여 추진하는 「2022 재소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운영단체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한 책자이다. 본 사업은 문화예술교육을 접해보기 어려운 교정시설 수용자, 소년원 학생, 국립법무병원(치료감호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안정적인 수용생활을 돕고 순조로운 사회 복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ZIP 붙임파일을 활용하시면 e-book형태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위밋커뮤니케이션 다운로드 수 395
  • 2022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예술로 레벨업" 프로그램은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2040 직장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경험의 기회 확대 및 근로 문화 환경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직장 내 창의적 예술 경험을 통해 직원 간의 관계지향형 소통 방법을 익히고, 일과 삶이 조화로운 행복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공예, 음악, 미술 영상미디어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원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식회사 디투씨 다운로드 수 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