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현장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북, 프로그램북, 결과자료집 등 교육 현장 관련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2,028건
  • 2021년 김포문화재단에서 진행한 '찾아가는 예술복지서비스 마음똑똑' 프로그램은 '힐링아트테크'라는 가상체험과 심리치료를 융복합한 새로운 형태의 예술치료 프로그램이다. 김포문화재단은 '찾아가는 예술복지서비스 마음똑똑' 프로그램을 통해 코로나19 장기화로 우울감, 스트레스, 사회적 단절을 겪고 있는 시민들의 피로도를 완화하고, 창조적 자기표현 촉진으로 부정적 정서의 표출을 도움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백서는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과정과 운영결과, 치료사 인터뷰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저작물은 김포문화재단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찾아가는 예술복지서비스 마음똑똑 백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김포문화재단(https://www.g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김포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22
  • '친구를 두는 일'은 2022 학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 4~6학년 대상 콘텐츠로, 허구의 연극 속에서 마주한 문제 상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세계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태도를 모색하는 연극 활동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 및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콘텐츠의 영상은 (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261
  • '예술로 몸수다'는 2022 학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중학생 대상 콘텐츠로, 움직임 놀이를 통해 민주주의 원리와 태도를 배우고 행복하게 공존하는 몸 감각을 깨울 수 있는 무용 활동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 및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영상은 (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242
  • '함께 같이 배리어프리'는 2022 학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중학생 대상 콘텐츠로, 장애인이 문화예술을 감상할 때 겪는 불편함을 이해하고, 배리어프리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해보는 영화, 문학, 미디어리터러시,미술, 만화 활동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 및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콘텐츠의 영상은 (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294
  • '감정 여기요'는 2022 학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 4~6학년 대상 콘텐츠로, 감정을 수용하고 예술적 방식으로 표현해보는 무용+연극 활동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 및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콘텐츠의 영상은 (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354
  • '기후와 눈맞'춤''은 2022 학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 4~6학년 대상 콘텐츠로, 문화예술 표현법을 통해 기후 감수성을 함양하고 일상 속 기후행동을 실현해보는 기후+무용 활동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 및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콘텐츠의 영상은 (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221
  • '표현의 씀씀이'는 2022 학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기획‧개발된 초등 1~3학년 대상 콘텐츠로, 계절의 차이를 이야기하고 계절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여 예술놀이로 이어나가는 시각예술, 디자인, 공예 기타 활동이다.   본 자료는 해당 콘텐츠의 (교사용) 활용가이드 및 (학생용) 활동지로서, 콘텐츠 차시별 활용 및 세부내용을 알 수 있다. 해당 콘텐츠의 영상은 (e)-학습터 및 EBS온라인클래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및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등 여러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톰미디어 다운로드 수 278
  •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예술동호회 활동 지원 사업은 경남도내 다양한 예술동호회 간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문화예술 공동체 활성화 및 자생력 강화를 위한 예술동호회 활동을 지원한다. 본 결과자료집에는 예술동호회 활동 지원사업 소개, 사업현황, 단체별 자원 현황 및 성과와 운영단체 사업소개 내용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예술동호회 활동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남문화예술진흥원(https://g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지역 경남 다운로드 수 61
  • 2021 지역예술교육TA 프로젝트 리뷰집 '삶과 더 가까이 관계 맺는 예술적 실천'은 지역, 일상과 더 가까워지는 예술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팀과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2021년에 함께 힘써 온 사업 과정 전반과 참여 주체들의 생동감 있는 현장 이야기를 담아낸 기록이다. 본 리뷰집에서는 프로젝트를 자치구 협력형, 거점형 키움센터 협력형으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김혁진, 김경옥, 윤푸름, 최규성, 정소영이 참여하였으며, 참여단체로는 순환창작소, 동네친구, 물물, 아토아띠, 예술하는 아이다, 아이로, 프로젝트 세라가 전문가로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https://www.s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서울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76
  • 본 제작물은 '2022 지역문화인력-가지마오 그림동화책'으로, 2022 지역문화인력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가지마오 그림동화책'은 함흥차사가 태조 이성계를 모시고 오라는 왕의 부름을 받아 가족을 두고 혼자 '도봉옛길'을 따라 함흥으로 떠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동화책의 글·그림에는 김예진(호리진), 김태희(겨자), 조나연(갓구운)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가지마오 그림동화책'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만든이(단체)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44
  • 본 제작물은 '2022 지역문화인력-도봉유랑기 그림동화책'으로, 2022 지역문화인력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도봉유랑기 그림동화책'은 함흥으로 보물을 메고 향하던 차사는 숲길(도봉산)으로 가다가 호랑이를 만난다. 호랑이에게 살려달라 빌게되고, 호랑이의 지시를 따라 동굴로 들어간 차사는 2022년 창동역사문화공원에 도착하게 되었고 쌍리단길, 도깨비시장, 초안산분요군, 정의공주묘, 우이천 등 다양한 도봉문화를 '도봉유랑단'과 함께 유랑하며 알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화책의 글은 유해리 작가, 그림은 김진선 작가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도봉유랑기 그림동화책'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만든이(단체)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93
  • 본 저작물은 '2022 지역문화인력-아름다운 벚꽃이 있는 우이천 활동안내서'로, 2022 지역문화인력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우이천은 도봉산과 북한산이 이어지는 소귀고개(우이령) 아래에서 시작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소귀고개부터 석계역까지 이어지는 하천으로 노원구, 강북구, 성북구를 모두 지나고 특히 도봉구 쌍문동과 창동을 거쳐 흐른다.   주요활동 내용으로는 아동(초등학생)대상의 우이천 알아보기 활동안내서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유형 4유형으로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아름다운 벚꽃이 있는 우이천 활동안내서'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만든이(단체)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55
  • ‘도봉옛길’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과 한반도 각 지역을 잇는 6대로 중 2대로인 경흥대로의 도봉구 구간. 동대문에서 출발하여 함경도 경흥에 이르는 이 길은 함흥차사, 도봉산을 유람하는 선비 등 다양한 사람이 걸었던 길 이다. 조선후기 상품화폐경제 발달과 함께 사상·보부상이 주로 이용했던 도봉옛길은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으며 다른 교과와의 연계와, 융합수업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학생들이 직접 ‘가지마오’ 그림동화책을 읽어보고 상상해보는 활동을 통해 도봉지역이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를 이해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즐거움을 느끼는 경험을 기대할 수 있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가지마오 그림동화책'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186
  • 본 저작물은 '2022 지역문화인력-방학동에서 가장 큰 은행나무 찾아보자! 활동안내서'로, 2022 지역문화인력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도봉구 방학동 원당샘공원 옆에 우뚝 서 있는 은행나무가 있다. 서울특별시 지정 보호수 제1호, 방학동 은행나무는 오래전부터 방학동 은행나무는 지역주민들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주요활동 내용으로는 아동(초등학생)대상의 방학동 은행나무 알아보기 활동안내서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유형 4유형으로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방학동에서 가장 큰 은행나무 찾아보자! 활동안내서'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만든이(단체)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94
  • 본 저작물은 「2022 지역문화인력-도봉옛길 알아보자!」 활동안내서로, 2022 지역문화인력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도봉옛길'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과 한반도 각 지역을 잇는 6대로 중 2대로인 경흥대로의 도봉구 구간이다.  동대문에서 출발하여 함경도 경흥에 이르는 길은 함흥차사, 4군6진 개척, 나선정벌 등 정치·군사적인 목적 뿐 아니라 조선후기 상품화폐경제 발달과 함께 사상·보부상이 주로 이용했던 길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   주요활동 내용으로는 아동(초등학생)대상의 도봉옛길 알아보기 활동안내서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유형 4유형으로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도봉옛길 알아보자!」 활동안내서'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만든이(단체)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69
  • 본 저작물은 '2022 지역문화인력-한글창제에 도움을 준 정의공주 활동안내서'로, 2022 지역문화인력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도봉구 방학동에는 조선시대 세종의 둘째 딸 정의공주의 묘가 있다. 정의공주는 조선시대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조선시대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할때 도움을 주어 "한글창제에 숨은 꽃"이라 불려지기도 한다.   주요활동 내용으로는 아동(초등학생)대상의 정의공주 알아보기 활동안내서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도봉문화원에서 2022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유형 4유형으로 개방하고,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2 지역문화인력-한글창제에 도움을 준 정의공주 활동안내서'이다.(문의: 도봉문화원(http://www.dobong.or.kr/)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도봉문화원 만든이(단체) 도봉문화원 지역 서울 다운로드 수 84
  • 아르떼365는 문화예술교육의 이슈와 동향을 담고, 교육현장을 보고 그려내며, 정책과 현장, 정보와 사람을 잇는 문화예술교육 지식 정보 플랫폼이다. 지난 2021년 한 해동안 매 주 화요일 독자들의 메일함을 두드렸던 뉴스레터를 모아 기사모음집을 마련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 궁리 다운로드 수 81
  • <만날 사람은 만난다>는 예술교육가와 참여자(시각청각발달 장애인)가 서로를 직접 만나지 못할 때, 주변인(친구·보호자·시설 담당자 등)과 함께 할 수 있는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업이다.2021년 6월 부터 12월 까지 6개팀의 예술가와 5인의 전문가가 만나서 발달, 시각, 청각장애 유형별 고유한 감각과 표현 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며, 장애인 대상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노드트리는 스마트폰에 사이보그 반려 개념을 적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공간의 색채를 수집해 보고, 그림판으로 제작하는 활동을 통해 일상 공간이 연동되는 감각을 경험하는 <일상색채수집보관함-그림판>을 개발하였다. 기록집은 뉴미디어 예술 그룹 노드트리가 콘텐츠를 개발하는 과정을 황바롬 전문가가 기록한 글 모음이다.   * 예술가/전문가 그룹별 콘텐츠 개발 과정 및 내용은 아래의 온라인 아카이빙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사업의 온라인 아카이빙 채널) https://mannanda.notion.site/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황바롬 다운로드 수 244
  • <만날 사람은 만난다>는 예술교육가와 참여자(시각청각발달 장애인)가 서로를 직접 만나지 못할 때, 주변인(친구·보호자·시설 담당자 등)과 함께 할 수 있는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업이다.2021년 6월 부터 12월 까지 6개팀의 예술가와 5인의 전문가가 만나서 발달, 시각, 청각장애 유형별 고유한 감각과 표현 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며, 장애인 대상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아트프로젝트보라는 반복되는 움직임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벨크로의 원리(까스리 면, 뽀드리 면)를 통해 촉각과 힘 조절력, 관절운동을 활성화하면서 자신만의 춤을 찾아가는 <까스리 뽀드리 원투쓰리포>를 개발하였다. 기록집은 조희경 전문가가 아트프로젝트보라의 콘텐츠 개발 과정을 동행한 과정과 콘텐츠를 개발한 의도와 방향, 개발과정, 콘텐츠 소개를 살펴볼 수 있다.     * 예술가/전문가 그룹별 콘텐츠 개발 과정 및 내용은 아래의 온라인 아카이빙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사업의 온라인 아카이빙 채널) https://mannanda.notion.site/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아트프로젝트 보라 만든이(단체) 아트프로젝트 보라 다운로드 수 175
  • 본 자료는 시각장애 특화하여 개발된 구은정 작가의 <용사의 무기 시리즈>, 조동광 작가의 <소리 나는 기구> 개발 기록을 담은 기록집이다.   <만날 사람은 만난다>는 예술교육가와 참여자(시각청각발달 장애인)가 서로를 직접 만나지 못할 때, 주변인(친구·보호자·시설 담당자 등)과 함께 할 수 있는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업이다.2021년 6월 부터 12월 까지 6개팀의 예술가와 5인의 전문가가 만나서 발달, 시각, 청각장애 유형별 고유한 감각과 표현 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며, 장애인 대상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구은정 작가는 시각장애인이 내 안의 두려움에 맞서 상시적으로 몸을 스트레칭하고, 감각 할 수 있는 <용사의 무기 시리즈>와 개인의 수련과 성장 이야기가 담긴 오디오 가이드를 개발하였다. 띠리리제작소 조동광 작가는 시각 장애인이 손끝의 감각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소리 모듈을 조립한 다음, 자기 자신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소리(사운드)를 만들어 내는 <소리 나는 기구>를 개발하였다. 기록집에는 2명의 예술가가 콘텐츠를 개발한 의도 및 방향, 진행 과정, 콘텐츠 소개, 기획·시범적용 워크숍, 피드백 반영 및 소감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 예술가/전문가 그룹별 콘텐츠 개발 과정 및 내용은 아래의 온라인 아카이빙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사업의 온라인 아카이빙 채널) https://mannanda.notion.site/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구정은, 조동광 만든이(단체) 구정은, 조동광 다운로드 수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