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행사자료

행사자료

포럼, 세미나 등 문화예술교육 행사 관련 문서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347건
  • 2015.05.27.에 부산시립미술관에서 문화예술교육 지역성의 재발견 아시아·전통·삶이란 주제로 진행된 심포지엄에 관한 자료집으로 이번 심포지엄은 아시아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국가별 주요이슈 발표로 진행되었다. 주요 발표 내용으로는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역사,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인도네시아 예술과 문화의 활력 증진, 말레이시아의 현대사회와 '막용'의 연광성 유지, 필리핀 국민의 삶에 중요한 예술, 인도의 아시아 예술교육 :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이 있다. 또한 두 번째 순서로 아시아권역 내 교류·협력기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방안-현재의 도전과제 및 실행가능계획에 대한 발제자 간 토론 및 자유토론이 진행되었다.   주요 참가자로는 김세린, 에바 살바도르(Eva Salvador), 칼얀 쿠마르 차크라바티(Shri Kalyan Kumar Chakravarty), 조셉 곤잘레스(Dr. Joseph Gonzales), 에그버트 위츠(Egbert Wits) 등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제니컨벤션 만든이(개인) Dr. Davidson Hepburn , 김세린 , Egbert Wits , Dr. Joseph Gonzales , Eva Salvador , Shri Kalyan Kumar Chakravarty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57
  • 본 자료는 「《2015 문화예술교육 포럼-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재와 미래》 에 관한 발표 내용을 담고 있다. 해당 포럼은 2015.05.29.에 부산시립미술관 강당에서 진행되었다.   전체적인 구성은 발제문과 토론문으로 되어있으며, 발제 1. 지역문화정택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으로 임학순(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발제 2. 지역 문화예술 교육 실행을 위한 구체적 검토의 내용으로 이춘아(한밭문화마당 대표), 발제 3. 지역 문화에술교육 사례 공유의 내용으로 이욱상(오픈스페이스 배 에듀케이터), 발제 4. 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협력체계로의 전환은 정민룡(북구 문화의집 관장)이 발제하였다.   토론문은 종합토론으로 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그리다라는 주제 아래 각각 4가지의 토론 주제와 그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토론자는 임창웅, 강승진, 김수연, 노준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테이지원 만든이(개인) 임학순 , 이춘아 , 이욱상 , 정민룡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49
  • 《2015 문화예술교육 포럼》 자료집으로 4개의 발제문과 토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수진, 박건배, 임학순, 김창환이 발제하였으며 박일호, 양혜원, 류해석, 김인설이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와이이피 만든이(개인) 김수진 , 박건배 , 임학순 , 김창환 다운로드 수 24
  • 2014년 11월 27일(목)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의원 유은혜, 국회의원 배재정, 문화연대,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공동 주최하였다. 본 자료집에는 국회의원 유은혜, 국회의원 배재정의 인사말과 발제1, 발제2의 내용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이원재 , 장재환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1
  • 본 자료는 2014년 4월 1일 최명희문학관에서 진행된 제30회 천년전주문화포럼 「REFRESH 문화예술교육-문화예술교육의 변화를 위한 새로운 관점」 자료집이다. 천년전주문화포럼은 예술가, 시민, 전문가들의 다양한 목소리와 폭넓은 시각을 담아내는 집단 문화지성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문화예술계 및 시민사회의 문화수요를 전달하는 문화거버넌스 구현으로 다양한 문화정책 개발과 지원활동을 수행, 활성화하고자 한다. 본 포럼에서는 문화공간 싹 대표 채성태, 문화예술교육활동가 송상민이 발제자로 나섰다.   *본 저작물은 전주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제30회 천년전주문화포럼 「REFRESH 문화예술교육-문화예술교육의 변화를 위한 새로운 관점」 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전주문화재단(http://www.j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전주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전주문화재단 만든이(개인) 채성태 , 송상민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12
  • 2014년 7월 22일(화)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6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지역차원의 유아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김동광, 김일욱, 이세희, 이미경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6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2014년 7월 좌담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9
  • 2014년 6월 25일(수)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5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향유자 주체,주도형의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이정도, 김병수, 탁정아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5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2014년 6월 좌담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0
  • 2014년 3월 24일(월)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4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좌담회 주제는 '향유자 주체,주도형의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이정진, 김지현, 윤원현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4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2014년 3월 좌담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9
  • 2014년 1월 28일 14:00~17:20에 평촌아트홀 열림 카페 아트림에서 진행된 "2014 경기문화예술교육포럼 불온한 문화예술교육"의 자료집이다. 본 포럼의 주제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태와 과제'로 선정되었다. 포럼에는 (사회)강원재, (발표)안상수, 이원재, 정경운, 양철모, 임승관, 민경은, 고영직, 김경옥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4 경기문화예술교육포럼 불온한 문화예술교육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9
  • 2014년 6월 18일(수) 13:30~18:00에 진행된 "지역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 워크숍; 서울, 경기,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의 자료집이다. 워크숍 발제에는 이은미(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장혜윤(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장문정(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4 지역문화예술교육을 향한 라운드 테이블 워크숍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0
  • 2014년 5월 15일(목) 14:00~18:00에 경기도박물관 교육실에서 진행된 "2014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상상력을 더하는 워크숍: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의 자료집이다. 워크숍은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문화연대이 함께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발제에는 정진주, 정지연, 임승화, 함형식, 김상수, 이명은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4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상상력을 더하는 워크숍 자료집 :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4
  • 2014.10.17. 한국언론진흥재단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장과 활용'의 자료집이다. 심포지엄은 5개의 발제와 패널토론으로 진행되었으며 발제는 조주연(한국), 에카르트 리바우(독일), 브리짓 반 로이벤(호주), 앤 메테 조르쇼(덴마크), 추아 아이 리앙(싱가포르)이 맡았으며 토론자로 이원재(한국), 김정희(한국)가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조주연 , 에카르트 리바우 , 브리짓 반 로이벤 , 앤 메테 조르쇼 , 추아 아이 리앙 다운로드 수 52
  • 2014.12.17.에 서울 포스토 P&S 타워 이벤트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진행하는 《2014 문화예술교육 2차 포럼-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변화를 모색하다》의 자료집이다. 포럼은 5개의 발표와 토론 및 질의 응답 순서로 진행되었다. 포럼 발표는 임영식, 정경은, 김인설, 최혜자, 권영오, 황우자, 이정훈이 맡았으며 토론자로 양혜원, 호중훈, 임학순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와이와이 만든이(개인) 임영식 , 정경은 , 김인설 , 최혜자 , 권영오 , 황우자 , 이정훈 다운로드 수 40
  • 본 자료집은 2014.12.19.에 서울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개최된 《2014 유아 문화예술교육 우수 콘텐츠 콘퍼런스-일상놀이》에 대한 내용이다.     본 콘퍼런스는 주제발표와 사업성과 공유, 2014 우수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발표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당선작으로는 대상 덩덕쿵 창의 국악, 최우수상 말랑말랑 흙 놀이터, 우수상 겨울 마법의 세상 속으로, 우수상 오디의 이야기가 있는 음악놀이 등이 있다.   참여한 주요 발표자로는 육아정책연구소의 문무경 선임연구위원, 한국유가교육학회의 지성애 회장, 협성대학교의 김현숙 교수 등이 있다.     본 자료집에는 콘퍼런스 발표자료와 당선된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요약, 활동내용 및 방법, 참고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조이슈즈 만든이(개인) 문무경 , 지성애 , 김현숙 다운로드 수 157
  • 2014.05.22.에 서울 문화역 서울 284 그릴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진행하는 《2014「문화예술교육 포럼」새로운 사회를 여는 키워드, 문화예술교육》의 자료집으로 포럼 순서는 발표 세션 2개와 종합토론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포럼 '세션1.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상상력, 사회를 만나다' 발제자로 백령, 정민룡, 이광준이 참여하였으며 '세션2. 문화예술교육, 도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발제자로 김민지, 김지연, 이선철이 참여하였다. '세션3.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종합토론)에는 조현성, 최경숙, 이유정, 박호상이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에이엔이광개토 만든이(개인) 백령 , 정민룡 , 이광준 , 김민지 , 김지연 , 이선철 다운로드 수 45
  • 2014년 2월 26일(수) 14시에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3 유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컨퍼런스 자료집으로 프로그램 일정 및 발제자의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컨퍼런스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인성 및 창의성 발달과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드림아이플래너스 만든이(개인) 김붕년 , 윤종현 , 지성애 , 박은혜 , 최연철 , 한정혜 , 김이삭 , 구민경 , 이영주 다운로드 수 151
  • 2013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위한 연속포럼은 한국 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축적되어 왔던 궁금증, 문제점, 상상력을 함께 나누기 위해 준비되었다. 이번 포럼은 지역이라는 관점에서 이를 고민하고 지원해왔던 경기, 서울, 인천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다양한 전문가들, 현장 예술가들이 함께 했다. 세 번의 연속 포럼 주제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을 둘러 싼 "평가와 성찰", "현장의 고민", "대안과 상상력"이다. 본 포럼 자료집에는 세 번의 연속 포럼 동안 진행되었던 기조 강연, 발제, 토론 등이 발표문과 녹취록 형식으로 담겨 있다.   연속 포럼에는 (기조강연)박찬국, 김인규, 강원재, (발제)김종길, 김영경, 이규석, 드라마고, (토론)우상훈, 박상혁, 정민룡, 민경은, 고영직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3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위한 릴레이 포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박찬국 , 김인규 , 강원재 , 김종길 , 김영경 , 이규석 , 드라마고 , 우상훈 , 박상혁 , 정민룡 , 민경은 , 고영직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1
  • 2013년 12월 17일(화) 14:00-17:30에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아카이브에서 진행된 2013 문화예술교육·문화복지 포럼 '분절된 정책, 분리될 수 없는 삶' 자료집이다. 본 포럼은 인천문화재단이 문화예술교육과 문화복지 영역의 정책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역에서의 통합적 운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추진하였다. '문화예술교육과 문화복지 정책의 현황과 문제', '지역에서의 통합적 운영방안과 정책 제안'이라는 두 가지 주제에 대해 발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2013 문화예술교육·문화복지 포럼에는 (발제)이동연, 허은광, (토론)박영정, 손경년, 양효석, 김재경, 김지원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3 문화예술교육·문화복지 포럼 '분절된 정책, 분리될 수 없는 삶'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이동연 , 허은광 , 박영정 , 손경년 , 양효석 , 김재경 , 김지원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12
  • 본 자료는 2013년 12월 8일 계원예술대학교에서 진행된 제1회 Editorial Table의 결과자료집이다. 본 세미나는 한국 컨템포러리 아트씬 진단 미술전문지 Art In Culture 편집부 에디터와 주요 필진이 한자리에 모여 공개 편집회의(Editorial Table)를 진행, Art in Culture가 지난 1년 간 시리즈로 진행해 온 “What is Contempoarary Art?”를 의제로 삼아, 독자/관객과 함께 메타비평의 자리를 마련하였다. 자료에는 Editorial Table에서 1,2부로 진행되었던 강좌와 토론회의 내용이 담겨있다. 강좌/토론에는 임근준, 이정우, 함영준, 홍가이, 윤진섭, 이영준, 김복기, 최정윤, 김재석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제1회 Editorial Table 결과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아트인컬처 만든이(개인) 임근준 , 이정우 , 함영준 , 홍가이 , 윤진섭 , 이영준 , 김복기 , 최정윤 , 김재석 다운로드 수 12
  • 본 자료는 2013년 8월5일부터 9일까지 경기창작센터에서 진행된 2013 예술로 가로지르기 섬머아카데미의 결과자료집이다. 섬머아카데미는 대학에서 전문 교육을 받은 예술가들뿐 아니라, 동시대예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들이 모여서 예술창작과 관련된 학제적이고 장르 초월적인 워크숍들을 진행하고 참여한 작가들이 국내외로 활동하면서 얻은 경험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기위해 기획되었다. 자료에는 2013 예술로 가로지르기 섬머아카데미 예술·인문학 강좌의 녹취를 바탕으로 구성한 강의내용이 담겨있다. (강연) 김훈, 김홍희, 박찬경, 이태원, 김남수, 신범순, 박문호, 김용일, 구나연, 이진경, 제임스 파우더리, 방자영, 이윤준, 하인츠 슐츠, (섹션워크숍) 심보선, 안은미, 정연두, 함성호, 최석규, 양아치, 김홍석, 박민희, 함경아, 김현진, 오인환, 조윤석, 최정화, 정은영, 김희진, 배영환, 조전환, 임민욱, 이영준, 홍성민, (작가프리젠테이션) 박항렬, 염지혜, 이혁준, 조재영, 최해리, 박용선, Alan Butler(아일랜드), Tamas Szvet (헝가리), Jaroslav Varga(체코), Juraj Gabor(슬로바키아)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3 예술로 가로지르기 섬머아카데미 결과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