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행사자료

행사자료

포럼, 세미나 등 문화예술교육 행사 관련 문서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347건
  • 2013년 8월 30일(금)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2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대구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위한 네트워킹 활성화 방안'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한원경, 변형관, 이에스더, 이태현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2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대구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위한 네트워킹 활성화 방안'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2
  • 2013년 3월 28일(목)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17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문화예술교육사업 담당자에게 길을 묻다'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정종구, 지민희, 김혜경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17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공모지원사업의 운영방향과 발전방안'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0
  • 2013년 4월 30일(화)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18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재능기부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박현옥, 김춘미, 이미영, 이명숙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18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재능기부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2013'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9
  • 2013년 6월 28일(금)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0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예술단체의 문화예술교육 - 예술체험프로젝트 '3일'사업을 중심으로'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정철원, 김신효, 변인숙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0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예술단체의 문화예술교육 - 예술체험프로젝트 ‘3일’사업을 중심으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2
  • 2013년 7월 31일(수)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1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좌담회 주제는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더 재미있고 뜻 깊게'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권애자, 심추영, 이경희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1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더 재미있고 뜻 깊게'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4
  • 2013년 10월 4일(금)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23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문화예술교육발전을 위한 지역문화기반시설 활용 및 네트워킹 방안 모색'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박민영, 최영, 임지윤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23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문화예술교육발전을 위한 지역문화기반시설 활용 및 네트워킹 방안 모색'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1
  • 2013년 5월 30일(목)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19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해외문화예술교육 경험 나누기'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이철우, 이은적, 정성희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3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19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해외문화예술교육 경험 나누기'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38
  • 2013.01.30.에 개최된 《제2회 문화다양성 교육 심포지엄-문화다양성 교육의 방향과 가치》에 관한 심포지엄 발표문이다. 해당 심포지엄의 사회자는 박경태 이며 문화다양성 교육의 기본방향, 다양한 문화의 공존, 문화다양성 사례 등의 주제로 토론이 진행되었다. 심포지엄 발제자로는 이정덕, 이동성, 주재홍, 설규주, 김주이, 장진혜, 욤비 토나(Yombi Thona), 박진숙, 김현식, 김희연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와이와이 만든이(개인) 이정덕 , 이동성 , 주재홍 , 설규주 , 김수이 , 장진혜 , 욤비 토나 , 박진숙 , 김헌식 , 김희연 다운로드 수 35
  • 《2013 문화예술교육 포럼-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의 자료집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과 앞으로의 10년에 대한 논의를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포럼은 3개의 세션 발표와 다과 및 네트워킹 순서로 진행되었다.   세션1. 문화예술교육, 10년을 되돌아보다를 주제로 (사회)김종석, (발제)조현성, (토론자)우상훈, 전고필, 문영, 김귀배, 임수준이 참여하였다. 세션2. 문화예술교육, 현재를 바라보다를 주제로는 (사회)임학순, (발제)손경년, 박영정, (토론)윤현옥, 최현주, 양현미가 참여하였다. 세션3. 문화예술교육, 미래를 전망하다를 주제로 (사회)임학순, (발제)김창환, 김소영, 임승호, 정상훈, 김현목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메세나코리아 만든이(개인) 조현성 , 손경년 , 박영정 , 김창환 , 김소영 , 임승호 , 정상훈 , 김현목 다운로드 수 42
  • 2013.10.16.-2013.10.17.에 서울 문화역서울284 RTO공연장에서 진행된 《2013 문화다양성 정책공감 및 성과공유 행사-문화다양성 공유(共有) 공감(共感)》의 자료집이다. 행사는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발제, 지정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세션1. 문화다양성, 우리사회 바라보기에는 (발제1)한준, (지정토론1)문종석, 부향숙이 참여하였으며 세션2.문화다양성, 기대와 실천에는 (발제2)이동연, (지정토론2)홍기원, 임학순, (발제3)차재근, (지정토론3)고희승, 허은광이 참여하였다. 세션3. 문화다양성, 실천에 대한 논의는 참석자 전원 종합토론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메세나코리아 만든이(개인) 한준 , 이동연 , 차재근 다운로드 수 39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추진한 '2013 문화예술교육 콜로키움; 교육하는 예술가'의 자료집으로 1차, 2차 포럼 개요와 포럼 강의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3 문화예술교육 콜로키움은 1차,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콜로퀴움은 '장소로 문화를 디자인하라; 창조적 지역문화 교육을 위한 장소만들기 전략'을 주제로 2013년 9월 26일(목) 18시 소극장 판에서 이무용 교수의 강의와 함께 진행되었다. 2차 콜로퀴움은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놀이란 무엇이고 왜 아이들을 놀게 해줘야 하는가?'를 주제로 2013년 10월 29일(화) 18시에 전통문화의 전당에서 편해문 아동문학가의 강의로 진행되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이무용 , 편해문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22
  • 본 자료집은 2013.12.17.에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5층 아우름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진행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토론회》의 내용이다. 이 토론회는 10년간 추진했던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검토하고 각계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5년간(2013-2017)의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을 위한 것이다.   백령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이 문화예술교육 국내외 트렌드를 발표하였고, 조현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연구실 연구위원이 문화예술교육의 중장기 비전과 정책방향을 발표하였다. 임영식 중앙대학교 청소년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장재환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총괄매니저, 임수준 광주광역시교육청 장학사, 서정상 문화발전소 통 대표, 이원재 문화연대 사무처장, 김세훈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교수, 노준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장이 토론을 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백령 , 조현성 다운로드 수 53
  • 해당 심포지엄 발표문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Arts in Education Observatories이 협력하여, 2013.10.30. 에 서울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진행되었다. 심포지엄은 수잔 롸이트, 사이먼 스페인, 사무엘 레옹, 윗브레드 리처드 가이, 치후 룸, 줄리아 데이비스이 참가하였고, 옵저버토리 네트워크 사업 소개 및 주요성과, 아태지역 6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비교연구 방법론 및 주요결과, 아태지역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우수사례(호주 ArtPlay, 멜번 시-예술교육 공간활용 사례, 홍콩 Sm-ART 청소년 프로젝트, 싱가포르 학교 내 우수 예술교육 사례연구)를 발표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Susan Kay Wright , Simon Spain , Samuel Leong , Whitbread Richard Guy , Chee Hoo Lum , Julia Davies 다운로드 수 38
  • 2013.05.24.에 한국언론진흥재단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13 문화예술교육 포럼-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 포럼의 발표문이다.  본 포럼은 2013년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과 연계하여 기획되었으며 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과 앞으로의 10년에 대한 논의를 하는 목적으로 3개의 세션 발표와 다과 및 네트워킹 순서로 진행되었다. 세션1. 문화예술교육, 10년을 되돌아보다를 주제로 (사회)김종석, (발제)조현성, (토론자)우상훈, 전고필, 문영, 김귀배, 임수준이 참여하였다. 세션2. 문화예술교육, 현재를 바라보다를 주제로는 (사회)임학순, (발제)손경년, 박영정, (토론)윤현옥, 최현주, 양현미가 참여하였다. 세션3. 문화예술교육, 미래를 전망하다를 주제로 (사회)임학순, (발제)김창환, 김소영, 임승호, 정상훈, 김현목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메세나코리아 만든이(개인) 조현성 , 손경년 , 박영정 , 김창환 , 김소영 , 임승호 , 정상훈 , 김현목 다운로드 수 44
  • 2013.05.22.에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개최 된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연계 프로그램》의 자료집이다.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로 각국의 문화정책 흐름과 현황 공유 및 아시아 3국의 문화예술교육 교류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 협의의 자리로 마련되었다.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2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토론 '미래의 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공통과제와 협력방안'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만든이(개인) Liu Yupu , 사토 토루 , 김태훈 , 츠츠미 야스히코 , 고봄이 , 황 항쮜엔 , 요시노 사츠키 , 정연희 , 오우 양 찐후 다운로드 수 36
  • 2012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에서 시행된 생활문화공동체 성과공유포럼 '마을에 미래를 담다' 생활 문화 공동체의 자료집이다. 2013.01.30(수) 문화역 서울 284에서 1부 왜, 다시, 공동체인가, 2부 마을에 미래를 담다, 생활문화공동체에 대한 주제로 포럼이 진행되었다. 포럼에는 강신주, 김혜정, 김진수, 이용욱, 김승진이 발제자로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강신주 , 김혜정 , 김진수 , 이용욱 , 김승진 다운로드 수 52
  • 2012년 12월 5일(수) 14:00-17:30에 진행된 2012 인천문화예술교육 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전환' 자료집으로 사회변화와 문화예술교육의 혁신, 마을학교가 삶을 바꾼다, 문화예술교육 지원 플랫폼에 대한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심포지엄에는 (발표)전효관, 현광일, 우상훈, (토론)강현주, 정연희, 임재춘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2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2 인천문화예술교육 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전환'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2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전효관 , 현광일 , 우상훈 , 강현주 , 정연희 , 임재춘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12
  • 본 자료는 2012 아르떼 해외 전문가 초청 워크숍 '치매노인 시 창작 프로그램 사례 및 성과공유' 자료집이다. 2012년 10월 31일~11월 1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층 연수실에서 개리 글래즈너, 미쉘 오테로 강사를 초청하여 진행되었다. 자료집은 초청강사 프로필 및 기관소개, APP 시 창작 프로그램 소개, 발표자료, 발표원고, 교육매뉴얼 개발, 시와 두뇌활동의 상관관계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2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개리 글래즈너, 미쉘 오테로 만든이(개인) 개리 글래즈너 , 미쉘 오테로 다운로드 수 95
  • 2012년 4월 30일(월)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16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좌담회 주제는 '미술교육의 목적 및 현황 점검 후 창의력 신장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 제시'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박남희, 정종구, 류종필, 박민영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2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16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창의력을 키우는 미술교육'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2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1
  • 2012년 3월 30일(목)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15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지역사회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연계방안 및 각 사업 운영에 대한 바람직한 추진방향 및 발전방안 모색'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김기식, 김형국, 최재우, 김수정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2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15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추진 및 발전 방안모색'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2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