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행사자료

행사자료

포럼, 세미나 등 문화예술교육 행사 관련 문서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347건
  • 본 자료는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을 맞이해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에서 2018년 5월 26일 14:00부터 18:00까지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실태와 대안'을 주제로 진행한 유관학회세미나 자료집이다. 제7회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는 '4차 산업혁명,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을 주제로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변화하는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과 새로운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는 국제심포지엄을 시작으로 문화예술교육 워크숍, 문화예술교육 해커톤, 유관학회 세미나 등 5일의 행사기간동안 다채로운 교류,학습,경험의 장이 펼쳐졌다.   자료에는 문화예술교육의 인적, 제도적 실태와 필요성에 대한 발표 자료가 담겨있다. 세미나에는 오세곤, 김광중, 최영익, 유지선, 홍후조, 오세준, 오현진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만든이(개인) 오세곤 , 김광중 , 최영익 , 유지선 , 오세준 , 오현진 , 한민서 , 이송하 , 박유신 , 안지언 , 박선민 다운로드 수 21
  • 본 자료는 2019년 11월 14일(목) 인천생활문화센터에서 진행된 '생활속의 문화예술교육을 모색하는 라운드 테이블' 자료집이다. 토론회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인천 문화예술교육 전용시설 조성 방안'이라는 주제로 인천연구원 최영화 연구위원의 발표가 있었고, 2부에는 '인천 기초문화예술교육센터에 대한 구상'과 '기초 센터 추진현황 공유 및 광역-기초 체계구축을 위한 제언'이라는 발제로 토론이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생활 속의 문화예술교육을 모색하는 라운드 테이블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인천문화재단 만든이(개인) 최영화 , 임지혜 , 김재순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67
  • 완주문화예술정책 발굴 사업은 군민이 문화예술정책 생산자로 참여하는 현장밀착형 포럼으로 주민·전문가·재단 간 소통을 통해 현장을 반영한 지역문화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완주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수립을 위한 세미나」는 완주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 단체 등과 2014년부터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고,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 방향과 지역(광역-기초단위)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파악하며 완주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후속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포럼에서는 전라북도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쟁점과 정책, 2018-2022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 주요내용과 지역문화예술교육 정책에 관한 발제와 문화예술교육 방향과 추진계획 제안, 유아-아동 문화예술교육 방향과 추진계획 제안, 청소년/학교 문화예술교육 방향과 추진계획 제안, 학교 예술교육의 방향과 추진계획 제안, 중장년·노년 문화예술교육 방향과 추진계획 제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발제에는 전북연구원 문화관광연구부장 장세길, 인천문화재단 문화교육팀장 손동혁이 나섰다.   *본 저작물은 완주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1회 완주문화정책포럼 같이, 가치 「완주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수립을 위한 세미나」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완주문화재단(https://www.w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완주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완주문화재단 만든이(개인) 장세길 , 손동혁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33
  • 본 자료는 충남의 문화정책 진흥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추진 방향과 전략,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진흥을 위한 전략과 과제, 충남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과제로 크게 3가지 주제가 나뉘어져 있다. 자유토론으로는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국악강습 및 체험(도 자체사업)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발제로는 제1주제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재경 본부장, 제2주제에 인천문화재단 손동혁 팀장, 제3주제에 충남연구원의 정지은 책임연구원이 참여하였으며, 그 외 자유토론으로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충남연구원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충남의 문화정책 진흥을 위한 세미나 : 문화예술교육'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남연구원(https://www.cni.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충남연구원 만든이(단체) 충남연구원 만든이(개인) 김재경 , 손동혁 , 정지은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59
  • 2018년 7월 25일(수)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37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창의·융합형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과정 연계 운영에 대한 탐색'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김기영, 임정미, 최필규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37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창의·융합형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과정 연계 운영에 대한 탐색'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42
  • 2018년 5월 28일(월)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36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생애전환 세대의 문화자본과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강미현, 이정아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36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생애전환 세대의 문화자본과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69
  • 2018년 10월 25일(목)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제 38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 자료이다. 좌담회 주제는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보급 방안 모색'으로 진행되었다.  좌담회에는 김규엽, 박종하, 이순연, 한지원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제 38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좌담회;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보급 방안 모색'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https://www.dgf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구문화재단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57
  • 2018년 5월 23일(수)에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서울 문화비축기지T2 실내공연장에서 진행된 '2018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의 자료집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빚어질 미래기술 환경에서 ‘창의의 재정의’, ‘예술의 접근성’을 키워드로 시대의 흐름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본질과 역할을 성찰하고, 융합과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이야기하였다. 발제자는 확장미디어스튜디오&열혈예술청년단, 데니스홍, 이윤주, 라미로 오소리오 폰세카, 김현주, 리차드 윌리엄 앨런, 타쿠야 타케이, 베티 서전트&저스틴 드와이어, 박지은이 맡았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Hong, Dennis , Ramiro Osorio , 김현주 , 리차드 윌리엄 앨런 , 타쿠야 타케이 , 베티 서전트 , 저스틴 드와이어 , 박지은 다운로드 수 188
  • 2018년 11월 15일-11월 16일 이틀동안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아트팹랩에서 진행된 '과학기술과 예술 그리고 창조적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위한 오픈토크'의 자료집이다.   로봇과 인공지능, 바이오와 디지털, 인간과 기계가 융합되는 새로운 시대를 ‘4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컬으며 4차 산업혁명이 유행어처럼 회자되고, 각계 다양한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요즘, 문화예술 분야 역시 과학기술과 서로 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며 확장하고 있다.이러한 가능성을 담기 위해서 국립현대미술관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급변하는 시대, 다가올 미래사회를 위해 문화예술교육공간의 변화를 선도하고자 과학기술과 예술 그리고 창조적 문화예술공간을 위한 【오픈 토크】를 개최하였다.   1일차에는 “예술과 기술의 현재 그리고 문화예술교육공간” 이란 주제로 예술과 기술의 융복합에 대한 현재를 짚어보고 과학기술이 결합된 예술교육과 교육공간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다.과학기술의 발전이 오늘날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과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문화기반시설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2일차에는 “새로운 미래, 문화예술을 위한 창조적 공간이란?” 주제로 새로운 문화예술공간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다. 창조적 공간은 무엇이며 우리는 과연 그런 공간에 살고 있는지? 다가올 미래,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문화예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 미술관 교육공간을 디자인 해보는 ‘창조적 딴 짓’ 특별한 워크숍의 시간을 마련되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최재붕 , 톰 도스트 , 이채영 , 여운승 , 이대형 , 이준 , 최도인 , 톰 도스트 , 박주홍 , 박성연 다운로드 수 344
  • 2018년 10월 23일(화) 13:00-17:00에 부천아트벙커 B39에서 진행된 2018 문화예술교육 공간 포럼 '자발적 삶을 이끄는 네모의 변화'의 자료집이다. 이번 포럼은 우리 삶을 규정짓는 공간이 아니라, 자발성을 이끌어내는 공간으로써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살펴보고, 오랜 숙원이었던 문화예술교육 전용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함께 기획한 포럼이다.   발제에는 프란에쥘리, 이영범, 황순우, 김유미, 류효봉, 사이먼스페인, 최규성, 손동혁이 맡았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Fran Edgerley , 황순우 , 김유미 , 류효봉 , Simon Spain , 최규성 , 손동혁 다운로드 수 74
  • 2018 복지지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식공유 컨퍼런스'의 사례집이다. 사례집에는 아동, 노인, 장애인 대상별로 나누어 운영위원회 워킹그룹, 컨러런스 발제, 소고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컨퍼런스 현장 스케치 내용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컨퍼런스 발제發題 부분에서는 아동ㆍ노인ㆍ장애인 분야별 예술강사들이 2018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참여자들과 함께하며 겪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통해 고민을 나누고 토론했던 내용을 담았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61
  • 2018년 10월 19일(금) 14:00-18:00 동안 서울 세운상가 세운홀에서 진행된 '워라밸 시대,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세미포럼'의 자료집이다.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라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저녁이 있는 삶’ 등의 화두가 대두되며 개인의 문화·여가적 측면 및 라이프 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민간 영역뿐만 아니라 공공영역까지 문화예술 플랫폼이 활성화 되고 있다.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변화와 흐름이 감지되고 있는 지금, 이번 포럼을 통하여 각 영역별 방향성과 흐름을 짚어보고, 워라밸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발제는 장훈, 이소연, 임영숙, 윤수영, 정민룡이 맡았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로젝트 궁리 만든이(개인) 장훈 , 이소연 , 임영숙 , 윤수영 , 정민룡 , 김정운 다운로드 수 140
  • 2018년 12월에 진행된 2018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포럼 '삶; 생애전환기, 왜 문화예술교육과 만나야 하는가?'의 결과자료집이다. 생애전환기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집에는 그에따른 발제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발제 및 토론 주제는 1부. 삶과 나이, 하마터면 놓칠뻔한 나, 2부. 생애전환의 시기, 왜 문화예술교육과 만나야 하는가로 진행되었다. 발제는 송용희, 최동구, 임순영, 정남수, 정해길이 맡았고 토론자로 고영직, 정광필, 유현아, 윤소영, 백현주, 김현주가 참여하였다.  그리고 경남, 대전, 세종, 인천, 전남센터에서 진행한 생애전환 관련 진행했던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송용희 , 최돈구 , 임순영 , 정남수 , 정해길 다운로드 수 311
  • 2018년 11월 5일(월) 오후 3시 광주 빛고을시민무화관 4층 다목적실에서 진행된 '2018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정책포럼 자료집'이다. 생애주기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주제로 발제 2개, 토론 3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되었다. 발제자는 고영직, 정민룡이 맡았으며 토론에는 신동호, 임진호, 김옥진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정책포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저작물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j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고영직 , 정민룡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154
  • 2018년 11월 22일(목) 14시 나주 빛가람 호텔에서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과 사례 공유를 위해 진행된 미니포럼 '넌지시'의 자료집으로 프로그램 개요 및 발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포럼은 1부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과 사례 공유', '사람을 깊게 내려보다(사례공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럼에는 (좌장)임영규, (발표자)고영직,서동균, 김경례, 임아영, 정민룡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고영직 , 서동균 , 김경례 , 임아영 , 정민룡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94
  • 본 자료는 2018년 2월 9일, 서울 상암동 YTN뉴스스퀘어 1층 YTN홀에서 진행된 2017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의 마음 치유, 봄처럼 성과공유회 자료집이다.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학교폭력 피해 학생, 각종 범죄 피해자 등 경미, 재활 단계의 대상에게 특화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상담, 심리적 활동 기반에 미술, 음악, 연극, 무용, 통합 등 예술적 기법을 적용한 소규모 그룹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자료집에는 문화예술치유 '마음치유, 봄처럼' 사업소개, 케이스 컨퍼런스(사례소개), 마음치유 봄처럼 대상별 그룹핑 의견 나눔에 대한 내용들이 담겨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00
  • 본 자료는 경기문화재단 북부문화사업단에서 주관한 2017 경기북부 전통문화 활성화 사업 주제별 기획발굴 지원-학술세미나 개최 성과공유회의 '경기북부에서 전통문화를 발굴·기록하고 전승하는 방식: 경기북부 마을찾기와 이해' 성과공유집이다. 이번 성과공유회는 2017년 9월~11월에 경기북부 6개 문화원에서 학술세미나를 주관하여 개최하였으며 이를 장기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2017년 12월12일~13일, 양주 수련원에서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자료에는 성과공유회의 세부일정과 특강과 발표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강의자료 전문이 담겨있다. 전문가로 박명섭, 한진수, 이옥석, 이준용, 최영희, 이난숙, 이명수, 최창근, 송예진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경기북부 전통문화 활성화 사업 주제별 기획발굴 지원-학술세미나 개최 성과공유집 '경기북부에서 전통문화를 발굴·기록하고 전승하는 방식: 경기북부 마을찾기와 이해''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만든이(개인) 박명섭 , 한진수 , 이옥석 , 이준용 , 최영희 , 이난숙 , 이명수 , 최창근 , 송예진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31
  • 본 자료는 2017년 8월 2일부터 5일까지 경기창작센터에서 진행된 2017 예술로 가로지르기-서서히 가로지를 때의 결과자료집이다. 2017 예술로 가로지르기-서서히 가로지를 때는 ‘창조적 실천’과 ‘자기조직화’를 주제로 예술 장르 간 교차와 경계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사유와 실험을 탐색하고 예술계를 개척해나가는 창작자들의 실천을 나눌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자료에는 2017 예술로 가로지르기에서 4일간 진행되었던 강연 자료와 녹취를 바탕으로 구성된 강의 전문이 담겨있다. 강연에는 박영선, 함성호, 차진엽, 송남은, 김동훈, 언메이크랩, 초학제 협업팀(도시-에), 회전예술, 강수미, 안규철, 금정연, 김신식, 신현진, 옥인콜렉티브, 이상우, 강지웅, 이인규, 송준규, 포에틱저스티스, 김성욱, 김광현, 최재원, 김성욱, 임흥순, 정지연, 뭎, 선정우, 선우훈, 이연숙, 일상의실천, 제로랩, 박다함, 유기농맥주, 하세가와 요헤이, 후니지, 박재웅, 허영균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7 예술로 가로지르기-서서히 가로지를 때 결과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15
  • 본 자료는 2017년 11월 14일에 서울 강동아트센터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자료집이다. 해당 포럼은 새 정부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문예회관의 역할을 주제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과 방향성에 대한 공유와 새 정부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문예회관 역할, 그리고 문예회관 공간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공유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안에는 새 정부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문예회관의 역할 발제 전문과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문예회관의 역할에 대한 4가지 시선을 주제로 열린 토론 전문이 담겨있다. 발제에는 박영정, 토론에는 노준석, 백령, 김정원, 임선주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문화예술교육축제 문화예술교육포럼-새 정부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문예회관의 역할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www.kocaca.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만든이(개인) 박영정 , 노준석 , 백령 , 김정원 , 김선주 다운로드 수 19
  • 본 자료는 2017 지식공유 포럼 행사 개요와 각 기관들의 발표자료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2017년 제 1회 지식공유 포럼은 국내 공적 가치를 추구하는 다양한 오케스트라 기관의 협력을 통해 진행된 2017년 11월 10일부터 11일까지 약 이틀간 진행되었으며 각 기관의 교육철학과 운영현황 공유 및 미래 비전과 공동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다양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또한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을 함께 진행하여 해외의 우수교육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관련 교수법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Booth, Eric , 차문호 , Aristides Rivas 다운로드 수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