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708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물메밭담길
제주도 애월읍 수산리는 오름 정상에 못이 있는 ‘물메오름(水山峯)’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물메 밭담길은 ‘물메오름’ 내려오다 마주치는 수산 저수지에서 시작되는 걷기 코스입니다.
물메 밭담길에는 지금으로부터 400여 년 전 수산리가 생길 때 심었다고 전해지는 마을의 수호 목(木)이자 천연기념물 제441호 ‘곰솔’나무를 만날 수 있습니다.
‘곰솔’은 백곰이 저수지의 물을 마시려고 웅크리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재미있는 이름입니다.
물메 밭담길은 제주올레길 16코스에 포함된 구간이지만 올레길 방향을 알려주는 리본보다는 밭담길을 안내 해주는 귀여운 밭담 캐릭터 ‘머들이네’를 따라 걸을 수 있습니다.
‘머들’은 제주어로 돌무더기를 뜻합니다.
물메 밭담길은 2016년 지역 행복 생활권 선도사업(연계협력사업)으로 추진하는 FAO 세계중요농업유산인 ‘제주 밭담’을 활용한 농촌 마을 6차 산업화사업으로 시작되어 농촌의 문화, 환경을 체험하고, 지역 홍보와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밭담길, 저수지를 품다’
(대상) 성인
(활동1) 곰솔을 시작으로 저수지 둘레를 걸어봅시다.
(활동2) 귀여운 밭담 캐릭터 ‘머들이네’ 가족을 찾아 물메 밭담길을 걸어봅시다.
(활동3) 나만의 머들이네 캐릭터를 만들어봅시다.
(활동4) 대원정사의 제주 4.3 피해 내용을 읽고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신상화
-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항파두리 항몽유적은 국가사적 제396호로, 13세기 말, 몽골 침입 시 조국을 지키고자 궐기한 삼별초(三別抄, 신의군, 좌별초, 우별초로 구성된 국가 특수부대)가 최후까지 항전한 유서 깊은 곳입니다.
유적지에는 삼별초의 역사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전시관, 삼별초의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한 항몽순의비, 토성이 남아 있으며 주변에는 삼별초 대장 김통정 장군이 뛰어내린 발자국에서 솟아나는 물이라는 장수물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귀족계급이 마셨다는 옹성물과 성 밖 서민과 병사들이 마셨다는 구시물, 화살 연습 시 표적으로 사용했다는 살 맞은 돌, 건물의 주춧돌로 사용된 돌쩌귀 등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끝까지 버텨낸 삼별초의 영혼
(대상) 청소년(고등)
(활동1) 항몽 유적지에 대한 퀴즈를 풀어봅시다.
(활동2) 나만의 요새를 만들어봅시다.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추현미
-
산지천
산지천은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의 북사면에서 아라동, 이도동, 일도동을 거쳐 건입동의 제주항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병문천 및 한천과 더불어 제주시의 3대 하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 제주 성안 사람들의 생명원이었던 산지천 샘터로는 급고천(汲古泉), 감액천(甘液泉), 산저천(山低泉)이 있었습니다.
이 중 산저천은 언제나 지하에서 맑고 풍부한 물이 솟아 나와 가뭄이 들어도 마르는 일이 없어 제주시 상수도 시설 이전에 제주 성안 사람들은 이 물에 의존해 살았다고 합니다.
여름철에는 빨래터, 어린이 목욕터로 널리 이용되기도 했고, 깨끗한 물에 사는 은어도 많이 서식했습니다.
1970년대에 들어와 산지천 샘터 주변에 상업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산지천의 옛 모습은 사라졌지만, ‘김만덕 기념관’, ‘아라리오뮤지엄’, ‘산지천갤러리’ 등 전시공간과 산지천 축제 등 관광자원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이 찾는 제주의 명소가 되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제주 성안 사람들의 생명원 '산지천'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
(활동1) 옛 산지천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활동2) 산지천의 생태계, 어디까지 알아봤니?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이혜령
-
국립제주박물관
제주항이 내려다보이는 사라봉 공원 남쪽에 자리한 국립제주박물관은 제주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다양한 자료와 유물을 수집·보존하고 전시와 학술조사·연구를 목적으로 2001년 문을 연 고고역사박물관이예요.
이곳에선 제주의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역사적 문물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대별 각 제주 섬 의 생활상을 옅 볼 수 있는 유적과 유물이 갖는 역사ㆍ문화적인 의의를 전시물들을 만날 수 있고 제주의 산, 들, 바다를 주제로 한 어린이 박물관도 만날 수 있어요.
특히, 박물관의 건물은 제주의 섬 전체적인 모양, 오름, 돌담 등에서 느낄 수 있는 제주도의 지형적인 특성을 형상화했답니다.
[주요 활동내용]
해녀의 삶을 담은 태왁
(대상) 아동(초등 고학년),청소년(중등)
(활동1) 박물관을 돌면서 신비한 제주 섬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활동2) 제주 섬에서 만날 수 있는 해녀의 태왁은 다양한 용도를 가졌어요. 태왁의 기능과 특성을 살려 주변의 재료로 나만의 태왁을 만들어 꾸며 보아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활동가 에정원
-
너븐숭이 4·3기념관
제주 4·3 사건의 상징인 조천읍 북촌리에는 너븐숭이 4·3 기념관이 있습니다.
4·3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공간이자 후세의 산 교육장인 이곳은 1949년 1월 17일 북촌리 주민 대학살 관련 자료와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위령탑, 북촌리 사건을 배경으로 쓰인 현기영의 소설 ‘순이삼촌’ 문학비, 당시 희생된 어린아이들의 묘 등이 남아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4·3 그때 북촌에서는…
(대상) 청소년(중∙고등)
(활동1) 제주 4·3 사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활동2) 그날의 기억, 연극으로 표현해보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문미영
-
돌하르방미술관
북촌돌하르방미술관은 제주도를 대표하는 유물이자 상징물인 돌하르방을 주제로 조성한 미술관으로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에 위치하고 있어요.
제주도 토박이 예술가 김남흥 원장이 자연과 예술이 공존하는 작품들을 모아 예술공원을 만들었고, 전국에 흩어져 있던 48기 돌하르방(제주도 민속자료 제2호)의 원형을 그대로 재현해 전시하고 있어요.
공원 곳곳에서 현대적인 감각의 돌하르방 등 약 250여 가지의 조형물들을 함께 관람할 수 있답니다.
[주요 활동내용]
돌하르방, 안녕하세요?
(대상) 아동(초등 저학년)
(활동1) 돌하르방에 대해 알아보기
(활동2) 돌하르방 얼굴 그리기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김지혜
-
산지천갤러리 제주 원도심 산지천에 위치한 산지천갤러리는 녹수장과 금성장 여관을 리모델링하여 2017년 12월 재탄생한 문화공간입니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노후 건물들의 철거가 진행되었으나, 산지천갤러리가 들어선 건물은 기존 원도심 풍경을 담고 있는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 건축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전문전시공간으로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산지천갤러리에서는 2022년 3월까지 제주 태생으로 한국과 아시아 오지의 굿과 민속문화를 촬영한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수남의 작품을 상설로 전시하고, 다양한 도민참여프로그램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주요 활동내용]
기억의 소리를 찾아서
(대상) 전 연령
(활동1) <사진박수 김수남, 사람과 삶의 기록을 남기다> 전시 관람하기
(활동2) 30년 전 제주의 소리를 찾아보세요.
※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오영숙
-
화북동 역사자원제주 화북동은 제주시 동북부 지역의 중심 마을로서 화북에는 사라봉과 별도봉, 모충사, 윤동지영감당, 곤을동마을터, 화북 비석거리, 별도 연대, 해신사, 삼사석, 화북진성 등 역사문화자원이 많이 있어요. 화북의 역사문화자원의 분포를 지도로 알아보고 보드게임을 만들어 놀아볼까요?[주요 활동내용] 걸어서 화북역사 속으로! GOGO!(화북역사 보드게임)(대상) 아동(초등 고학년)(활동1) 화북의 역사문화자원 분포를 보고 정답을 맞혀보세요.(활동2) 화북의 역사문화자원으로 보드게임을 만들어보자.※ '2020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서 산출된 지역 문화예술 자원조사 및 자원 활동안내서를 재가공
분류
교안∙교재
발행연도
2022
저작권자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자 최은선
-
본 저작물은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강화사업으로 진행된 50+ 생애전환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싱싱프로젝트' 결과자료집이다.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강화사업은 지역의 다양한 문황기반 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사의 실무경험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진행되는 사업으로
자료집은 문화예술교육사가 부평구의 50세 이상의 중장년을 대상으로 기획한 싱싱프로젝트에 대한 소개와 교육 내용 및 참여 후기 등이 기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강화사업 '싱싱 프로젝트' 결과자료집 '로, 해당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www.b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평구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2021년 인천 부평구에서 영유아부터 중장년 및 어르신까지 생애주기에 맞춰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운영사업을 담고 있는 '삶을 예술로' 결과자료집이다.
2021년 부평구문화재단은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를 목표로 지역문화예술교육 특성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시민 문화예술교육 확대,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으로 전략을 세워 사업을 운영하였다.
결과자료집은 2021년 운영사업의 전략별 대상과 운영사업과 교육 내용 등이 기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부평구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삶을 예술로' 결과자료집'로, 해당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www.b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평구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언택트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을 찾고 부평문화사랑방 소공연장을 무재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는 실습 과정을 담은 자료집으로.
선택적 대면/비대면/언택트 시대를 거치면서 문화예술을 매개하는 우리의 가능성과 임무를 이야기하고, 문화예술교육에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는 디지털기술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자료집은 과정 소개, 세부 커리큘럼 및 강의자료, 결과기획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과 1기부터 4기까지 결과기획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문화예술교육사 실습처 운영지원사업 문화콘택터 과정 결과자료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www.b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평구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2021년 4월 17일(토)부터 9월 4일(토)까지 진행한 '김홍도의 그림사랑방'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전통예술과 놀이를 통해 자신을 들여다고보고 표현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풍요롭게 하는 시간 부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다.
자료집은 김홍도의 그림사랑방 1기부터 4기기 프로그램과 그림에서 찾아낸 교육아이템, 정성으로 이뤄내는 성장과 가능성, 덧붙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 교육 '김홍도의 그림사랑방' 결과자료집'으로, 해당 저작물은 부평구문화재단(www.b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평구문화재단
-
본 자료는 꿈의 오케스트라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으로 진행된 '악(樂)동들의 음악창작소' 결과기록집이다.
'악(樂)동들의 음악창작소'는 악기 연습과 더불어 예술적 상상력을 더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참여 단원의 도전의식 및 다양한 범주의 음악적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자료집은 단원들이 체험한 그래픽 악보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본인이 만들고 싶은 짧은 곡 만들어 보기 등의 활동, 프로그램 참여 소감 등을 담고 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통영국제음악재단
-
본 자료는 성북문화재단에서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으로 진행한 2021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의 주요 활동이 담긴 결과기록집이다.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은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6년 운영 후 자립한 거점기관들을 대상으로 지속적 발전이 가능하도록 운영을 지원하는 자립기관의 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사업을 통해 참여자의 도전의식 및 음악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기록집은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의 소개와 주요 활동 및 프로젝트 4기 진작에 대해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인터뷰, 창작 활동 등의 모습을 담고 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성북문화재단
-
본 자료는 부안아리울오케스트라에서 진행한 꿈꾸는 베토벤 프로그램의 결과자료집이다.
'꿈꾸는 베토벤' 프로그램은 아동, 청소년들의 상상력을 이끌어 즐거운 놀이 및 창작활동으로 미적 체험의 경험을 부여하고 각자가 갖고 있던 창의력 이용해 각자만의 특별한 음악을만들어 멋진 작곡가 및 연주가로 성장시켜주기 위해 진행되었다.
자료집은 기획의도, 회의록과 수업, 사전 워크숍, 성과발표회의 내용 및 사진 자료가 기록된 기록일지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안아리울오케스트라
-
본 자료는 꿈의 오케스트라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으로 진행된 '안동문화 꿈나무-안동의 문화예술을 배우다' 프로그램의 결과기록집이다.
안동꿈의오케스트라는 음악교육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건강하고 다면적인 성장 유도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단원의 성장과 지역 사회와의 공유를 가족 및 지역사회의 변화와 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록집은 안동꿈의오케스트라 소개와 발자취, 교육활동, 결과물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안동문화예술의전당
-
본 자료는 안양문화예술재단에서 진행한 '2021 꿈의 오케스트라 자립 거점기관 기획사업-한 걸음, 한 걸음, Barvo! 작곡가'의 결과자료집이다.
'한 걸음, 한 걸음, 한 걸음, Barvo! 작곡가' 프로그램은 작곡을 기반으로 미술과 음악 레크레이션을 활용하는 문화예술 교육으로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직접 작곡한 곡으로 연주하는 등 공동체 속에서 스스로 역할을 돌아보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함으로 소속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자료집은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운영진의 프로그램에 대한 감상과 소회를 및 프로그램의 운영 기록과 결과물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안양문화예술재단
-
본 자료는 오산문화재단에서 2021 꿈의오케스트라 자립거점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슬기로운 꿈오 탐구생활'의 결과기록집이다.
기록집은 단원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에피소드, 느낀점 등을 디지털 에니메이션으로 제작해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 보는 계기를 갖기 위해 제작하였으며 슬기로운 꿈오 탐구생활 기획 및 내용과 연주회 및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관계자와 참여학생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오산문화재단
-
팬데믹 기간 동안 유엔을 비롯한 전 세계가 창의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이에 따라 영국 창의산업 정책연구센터(The Creative Industry Policy and Evidence Centre)는 공중보건, 기후위기를 포함한 앞으로의 위기 극복에 있어 나아가야할 지점을 교육, 지역공동체, 디지털 산업 등 문화적 가치, 예술적 표현에 기초한 창의력을 요하는 분야를 대상으로 11개의 액션포인트(action point)를 규정함.
발행기관
영국 창의산업 정책연구센터 (The Creative Industry Policy and Evidence Centre, PEC)
등록일
2022-01-03
조회수
32
-
2020년 초 영국예술위(Arts Council England)는 2010-2020년의 10개년 비전 '모두를 위한 위대한 예술과 문화(Great Art and Culture for Everyone)'에 이어 새로운 2020-2030년도 10개년 비전, '렛츠 크리에잇(Let's Create)'과 3가지 목표, 4가지 지원원칙을 설립함.
발행기관
영국 예술위원회 (Arts Council England)
등록일
2022-01-03
조회수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