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708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본 저작물은 2020년 진행한 '전환사회 청소년 창의예술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창의예술교육센터에서는 전환 시대를 살아갈 청소년과 전 지구적 위기를 주체적으로 학습하고 대안을 수립해 새로운 방식을 실험하고 공동체 기반의 앎과 함을 일치시킨 창의예술교육 실현을 운영의 목적으로 한다.
가이드북은 창의예술교육센터의 비전, 목표와 실천, 행동과 방법, 배경과 고민, 사람과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1 영등포 창의예술교육센터 가이드북'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https://www.yd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영등포문화재단
-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이 예술인들이 주도적으로 운영에 참여하는 연결·연대·확장의 예술공유 플랫폼 ‘예술청’(종로구 동숭길 122) 공간을 오픈, 다양한 사업 실험·운영 예정(‘21.10.27.)
발행기관
서울 문화재단
등록일
2021-11-15
조회수
45
-
본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의 결과자료집이다.
<죽은 ''의 비밀>은 미래자원을 앞당겨 쓰는 인간이 자연과 공존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강사, 12명의 참가자가 모여 전환을 꾀하는 생활 속 방법을 모색하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참여자가 자신의 환경을 관찰하며 다른 관점으로 세상을 보고 자신의 시선을 통해 생각을 정리하고 소리 내는 활동을 통해 참여자의 내적 동기 유발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 <죽은 ''의 비밀>'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https://www.yd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영등포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전환사회 청소년 창의예술교육 연구'의 보고서이다.
보고서는 2020년 영등포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영등포 창의예술교육센터의 조성과 운영 을 위한 비전 수립의 일환으로 연구 및 작성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리 모두가 직면한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삶의 문제를 ‘전환사회’의 의미와 개념을 통해 맥락화하고 교육의 대상을 ‘너머 스스로’ 자기 삶의 현재와 미래를 만들어가는 주체로서 청소년들이 머물고 자유롭게 함께 도모하는 공공의 장으로서 영등포 창의예술교육센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전환사회 청소년 창의예술교육 연구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영등포문화재단(https://www.ydp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기초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영등포문화재단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미래를 살아갈 힘을 키우는 학교, 변화하는 교실’을 주제로 시민참여단과 함께 서울교육 정책토론회 실시(‘21.10.27.)
발행기관
서울특별시교육청
등록일
2021-11-15
조회수
94
-
꿈타래 엮기 사업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마포지역 초·중·고등학교 26개교 교사, 청소년, 예술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해당 사업은 학교에서 어린이·청소년 예술을 예술답게 만나게 하는데 중점을 둔다.
결과자료집은 비대면 창의예술 콘텐츠, 공간예술 파트, 미술+타 장르 융합 파트, 시간예술 파트, 다 장르 복합 꿈타래 예술 프로젝트 소개와 꿈다태 예술 프로젝트 함께 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마포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마포 문화예술교육 '꿈타래 엮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마포문화재단(https://www.mapoartcenter.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온라인프로그램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마포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19 자치구 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액터닥터 개념 및 활용방안 연구 결과보고서'이다.
액터닥터 개념 및 활용방안 연구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중증환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극인의 고용 창출을 통한 생활 안전화를 위해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하고 양성할 수 있는 기반 구축 형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액터닥터 활동을 위한 전문연극인 및 연극 관련 단체 활동 현황 파악 및 지원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 파악과 액터닥터 수요와 공급을 위한 사업 주체와 대상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액터닥터 사업의 공동체 구성 등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자치구 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액터닥터 개념 및 활용방안 연구 결과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https://www.j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기초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종로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진행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몸으로 말해봐'의 결과자료집이며 <몸으로 말해봐>는 영·유아 기관 (만 3~5세) 대상의 놀이연극을 기반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해당 사업은 예술 감수성이 급성장하는 연령대의 유아들에게 예술체험과 향유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미적 감각 및 능동적인 예술감상 태도 함양과 어린이 전문 공공 예술기관으로서 우수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어린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선도적인 역할 수행을 목표로 한다.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몸으로 말해봐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https://www.j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종로문화재단,
사다리 연극놀이 연구소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지역문화특성 활용 예술교육 사업 확장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이다.
해당 연구는 대한민국 공연계의 중심 지역인 종로구의 문화특수성을 활용해 문화예술과 교육 분야의 연계를 통해 '예술교육' 사업 활성화를 위해 진행했으며 연극계의 자발적 액터닥터 활동 참여 및 확산을 통한 새로운 문화예술의 사회 참여적 일자리 창출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는 연구개요, 現 액터닥터 운영 성과 측정, 액터닥터 사회적 적용 확장 기반조사, 액터닥터 사회적 적용 확장 방안, 결론, 별첨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지역문화특성 활용 예술교육 사업 확장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https://www.j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종로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2020년 종로문화재단에서 추진한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내용을 엮어 제작한 '2020 창신 예술 프로젝트-창신패션위크' 자료집이다.
창신패션위크를 통해 봉제의 메카 창신동에서 옷을 만들어온 봉제 장인과 지역 주민들이 함께 의상 패턴에 따른 옷감과 재단 마무리까지 연결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옷을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갖는다.
자료집은 참여자 소개와 작업 과정, 제작한 옷을 입은 모습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2020 창신 예술 프로젝트-창신패션위크'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https://www.j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종로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2020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내용을 엮어 제작한 '2020 창신 예술 프로젝트'의 자료집이다.
자료집은 창신동의 풍경을 그린 <마음동네 그림전>, 마을을 탐방하고 필요한 것을 제작하는 <어쩌다 작가살롱>, 봉제 장인과 주민들이 의상 패턴에 따른 옷감 재단과 마무리까지 연결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옷을 만드는 <창신패션위크> 프로그램의 소개와 작품 사진, 과정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2020 창신 예술 프로젝트'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https://www.j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종로문화재단
-
본 저작물은 2020년 종로문화재단에서 추진한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내용을 엮어 제작한 '2020 창신 예술 프로젝트 - 마음동네 그림전' 결과자료집이다.
마음동네 그림전은 다른 동네와 닮은 듯 닮지 않은 창신동의 모습을 돌아보고 누구나 한 번쯤 만나보았을 창신동의 모습을 그림으로 담아내는 활동이다.
자료에는 작가들이 창신동에서 영감을 받아 그린 그림과 작품에 대한 소개가 기재되어 있다. 마음동네 그림전은 (강사)김민수, (참여작가)김양희, 김영자, 박은주, 이진영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2020 창신 예술 프로젝트 - 마음동네 그림전'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종로문화재단(https://www.j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종로문화재단
-
본 자료는 수성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19 수성문화재단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결과보고서이다.
<통통(通!通!) 가방의 신나는 여행>은 유아기 어린이들이 예술적 경험을 통해 인성, 공감, 감겅, 협업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연극놀이, 미술놀이, 음악놀이과 같은 다양한 예술체험으로 구성되었다.
<예술로 통통통(通!通!通!)>은 현장중심·활동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유아연극 지도 방법과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을 키울 수 있는 노하우를 전달했다.
결과보고서는 유아기 어린이들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통통(通!通!) 가방의 신나는 여행>과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예술로 통통통(通!通!通!)> 프로그램의 쇅와 참여기관명, 세부교육 구성 내용, 회기별 지도안, 프로그램 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수성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수성문화재단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수성문화재단(https://s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수성문화재단
-
아이들이 현대 과학 문명의 발전으로 인해 학교나 집 근처의 자연을 접할 기회가 없으며 주변 자연환경의 변화와 그 안의 생명을 마주할 여유 역시 없어짐에 따라 아이들에게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형성이 힘들고 나아가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보고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행 연구 검토, 연구 계획, 학교 숲자원을 활용한 예술중심 교육 프로그램, 학교급별 프로그램 적용,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확산을 위한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한명희, (연구원) 류은수, 한승모, (외부자문)이용희, 최기영, 김담, 한승태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학교 숲 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www.gw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콘텐츠개발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 발행한 '국내외 산림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 현황과 실태조사' 보고서이다.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국민의 여가시간 및 소득수준 향상, 삶의 질에 대한 관심증 대로 산림문화 및 휴양, 교육, 치유 등 산림의 복지적 측면을 활용하려는 국민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와 함께 국민의 창의성 제고를 위한 문화자원의 활용이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산림자원과 문화예술교육을 연계하여 강원도의 특색을 지닌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강원도민을 위한 산림문화예술을 확산·보급하여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진행되었다.
보고서는 과업 개요, 산림교육 및 자원의 이해, 국내외 산림교육, 국내 산림체험 프로그램, 강원도 지역현황, 산림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국내외 산림자원을 활용한 산림체험 프로그램의 현황과 실태 조사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http://gwcf.or.kr/k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 발행한 '산림 문화예술에 대한 강원도민의 인식 실태조사' 보고서이다.
해당 연구는 강원도민을 대상으로 산림 체험활동과 연관된 설문 문항을 통해 산림 문화예술교육에 의한 실태조사 시행과 강원도민의 산림 체험활동 경혐, 이용 패턴, 만족도 등에 대한 현황 파악 등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는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연구결과, 제언, 참고문헌, 부록(설문지)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 문화예술에 대한 강원도민의 의식 실태조사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재단(http://gwcf.or.kr/k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
본 자료는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행한 '2020 강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집'이다.
2020 강원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강원도 내 유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실현과 지역별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지원전략 마련으로 지역 중심 유아 문화예술 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중장기 발전 토대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집은 강원권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성과 및 한지개발원, 치악산고판화박물관, 강릉문화원, 아라리인형의집 기관의 소개와 프로그램 소개, 참여 소감이 기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강원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moon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결과자료집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 동안 추지한 사업 결과를 기록한 보고서이다.
2020년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프로젝트는 단순한 교육을 넘어 문화예술 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역민의 일상에 뿌리내려 문화예술활동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결과자료집에는 다양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강원의 프로그램들과 설명, 사진들이 첨부되어 있으며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사업, 기반조성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사업,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육사 인턴십 지원사업, 강원 문화예술 아카데미, 강원문화예술교육 웝진 '잇다', 만족도 조사 결과업까지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moon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아시아-유럽재단 Culture360은 지난 9월 “다음 10년을 정의하며(Defining the Next Decade)”라는 제목으로 열린 ResArtis(글로벌 예술 레지던시 네트워크)의 2021년 정기 컨퍼런스 기간 마지막 날인 9월 17일, 워크숍 “지속가능한 예술 레지던시(Sustainable Arts Residencies)”를 주관하고 이를 정리하는 기사 <가상 레지던시: 팬데믹을 뛰어넘는 새로운 교류 모델(Virtual Residencies: A New Model of Exchange beyond the Pandemic)>을 게재함.
발행기관
아시아-유럽 재단 (Asia-Europe Foundation, ASEF)
등록일
2021-11-05
조회수
57
-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행한 '2020 손_기억과 미래를 더듬다 : 만인의 손 프로젝트'인터뷰 자료집이다. 스물아홉명의 각기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사전 섭외하고 인터뷰이가 일하는 일터 혹은 거주지에서 '손'과 관계한 감각과 노동, 기억과 미래에 대한 질물들을 기반으로 진행한다. 본 프로젝트는 손 자체가 가진 미학적인 측면을 시각화하는 것에 중심을 둔 작업이기보다 손을 통해 들여다본 한 사람의 세계-끊임없이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오르내리며 언어화 되는 고유한 삶의 서사, 그것들을 응축하고 있는 주제와 주체화된 몸짓을 포착하는 것에 주목한다.
* 본 자료는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1년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2020 손_기억과 미래를 더듬다 : 만인의 손 프로젝트 인터뷰북'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김현주, 조광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