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로딩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708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2020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결과자료집'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대구문화재단에서 주관한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결과자료집이다.    인생나눔교실은 멘토링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맺기를 이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자료에는 사업소개와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들의 현장 이야기, 각 프로그램 소개, 현장 사진 등이 수록되어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이란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 함양 및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관련 인식 제고와 문화기반시설 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생활권 내 문화예술교육 확대를 위한 사업이다.   '2020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결과자료집'에서는 사업 소개와 사업개요, 2020년도 선정 기관 및 문화예술교육사 현황, 프로그램의 개요와 세부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으로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영·유아 교육기관의 만 3-5세 유아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화시설 및 자원을 활용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하며 체험형·방문형 혼합 구성 교육프로그램 운영되는 사업이다.                                                 (사)경북섬유산업연합회 섬유박물관과 (재)수성문화재단 수성아트피아에서 진행한 다원예술과 연극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항 '2020 문화파출소 달서 운영사업 결과자료집' 결과자료집이다.   문화파출소 운영사업은 비어있는 치안센터 공간에 문화예술에 기반한 공동체 생활안전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안전인식을 높이고 문화안전망 구출 및 문화예술 나눔의 공간으로 운영하는 사업이다.    본자료에는 문화파출소 달서 운영사업의 개요와 운영내용, 운영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단체가 기재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문화파출소 달서 운영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기반구축사업 결과자료집'으로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대구시 소재 초·중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악예술단 동동, 대구무용교육원, 삶의 질 연구센터SAM, 예술로, 투컴퍼니 총 5개의 단체가 각각 전통, 다원, 연극, 시각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프로그램별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과정, 연구내용, 연구결과 활용계획, 제언, 참고문헌에 대해 작성하였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기반구축사업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대구문화재단에서 발행한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교육개발 연구지원 결과자료집'으로 대구문화예술교육 기반구축사업인 천진낭만예술학교, 1318예술학교, 교육개발 연구지원,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전문인력 연수지원, 문화예술교육 좌담회, 문화예술교육 대학생기자단의 사업 내용이 담긴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기반구축사업 결과자료집'이다.  사업별 사업 개요와 사업 유형, 각 사업이 진행했던 프로그램별 대상과 교육기간, 프로그램 내용 및 참여자 후기에 대한 내용이 실려있다.     *본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에서 2020년 작성한 '2020 대구문화예술교육 교육개발 연구지원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재단(www.dg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콘텐츠개발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대구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인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정 10년을 맞아 10년 사업의 기록을 정리하고 그간의 흐름과 연계성을 살펴볼 수 있도록 10년 사업 결과자료집을 제작하였다. 결과자료집은 센터 소개 및 현황과 10년 연표를 통해 10년 개요를 볼 수 있고, 지역문화예술교육 사업,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 지원,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연구 4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담았다. 그리고 지난 10년을 바탕으로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하여 전문가들과 함께 진행한 좌담회 기록도 함께 담았다.   *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0년의 기록(2010~2019)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www.ifac.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계획은 세종시의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과 진단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종합계획과 세종시가 설정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전략 및 과제를 포함한 5개년 세종시 문화예술교육계획을 수립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민경선, (공동연구)한상헌, 안지언, (연구보조)손예령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세종특별자치시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4유형으로 개방한 '세종시 문화예술교육계획(2018~2022)'이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특별자치시(https://www.sejong.go.kr/index.jsp)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8 저작권자 세종특별자치시
  • 제주창의예술교육랩은 생태-인문을 아우르는 지역문화자원과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과학기술'을 문화예술교육에 기반해 융·복합하고, 미래 지향적 창의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고자 시작되었다.   융·복합, 지역문화자원 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개발 및 지역민 대상 프로그램 운영, 지역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을 이끌어갈 젊은 예술가와 예술교육자 양성기회 마련, 제주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창의적 자원 발굴과 선순환 구조 조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연구원들과 함께 과정의 실행 방향성을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는 R&D랩, 교육전문가와 청년연구원이 협업하여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는 D&I랩으로 구성하여, 실험 과정의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한다.   본 결과자료집은 지난해에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의예술교육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시킬 기반 마련(연수, 보급 프로그램 운영, 웹플랫폼 구축) 내용을 담았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0 제주 창의예술교육랩 결과보고서 '변화 확산 실행 공유''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2019 제추창의예술교육랩은 생태-인문을 아우르는 지역문화자원과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과학기술'을 문화예술교육에 기반해 융·복합하고, 미래 지향적 창의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고자 시작되었다.   융·복합, 지역문화자원 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개발 및 지역민 대상 프로그램 운영, 지역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을 이끌어갈 젊은 예술가와 예술교육자 양성기회 마련, 제주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창의적 자원 발굴과 선순환 구조 조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연구원들과 함께 과정의 실행 방향성을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는 R&D랩, 교육전문가와 청년연구원이 협업하여 프로그램을 연구·개발·실행하는 D&I랩으로 구성하여, 실험 과정의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한다.   본 결과자료집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창의’, ‘예술’, ‘교육’이라는 3가지 핵심 키워드와 ‘제주’라는 지역 주요 자원인 자연 문화유산(생태), 생활문화(인문)을 연결하여 연구하고 결합한 프로그램 개발 내용을 담았다.   연구에는 R&D랩 (책임연구원)백령, (전문연구원)박동욱, 박동필, (보조연구원)이정미와 D&I랩 허대찬, 강술생, 박동필, 박진희, 김희영, 백운철, 이현태, 정념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19 제주 창의예술교육랩 지원사업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콘텐츠개발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2020년 1년동안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정리하여 제작된 결과자료집이다. 2020년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주요사업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연구 및 조성사업,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확산 사업이 추진되었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20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2014년 1년 동안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정리하여 제작된 결과 자료집이다. 자료집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소개와 2014년 추진한 사업별로 성과들이 정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14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4 저작권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 2021년 5월 2주 ~ 3주 주간동향
    발행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록일 2021-05-18 조회수 199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과 네이버(주)(책임 리더 김효)는 학교 맞춤형 에듀테크 환경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21.4.30.)
    발행기관 서울시 교육청 등록일 2021-05-18 조회수 97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에 발맞추는 유치원 공간 혁신으로 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사업 <유치원 꿈을 담은 놀이 교실> 완공 발표(‘21.4.27.)
    발행기관 서울시 교육청 등록일 2021-05-18 조회수 123
  •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 2021년 4월 5주 ~ 5월 1주 주간동향
    발행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록일 2021-04-29 조회수 14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한국전파진흥협회(회장 황현식)는 제작 인프라(장비·시설, 소프트웨어)와 전문교육, 멘토링 등을 제공하고 창작자의 초기 활동 및 성장을 지원하는 1인 미디어 창작그룹 육성사업 추진을 발표함(‘21.4.14.)
    발행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록일 2021-04-29 조회수 60
  • 2020년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수행한 사업 결과를 정리하여 제작한 '2020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경기문화재단
  • 본 연구는 예술교욱의 중심에 예술교육 전문가와 더불어 학교에서 아이들의 돌봄과 배움을 담당하는 일선 교사들로부터 교육연극을 통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 김지연, (공동연구원) 고봄이, 오동진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20 경기 교과연계 교육연극 기획지원사업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경기문화재단
  •  본 연구는 경기도 문화다양성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문화다양성 및 소수자 관련 연구와 문화 다양성 정책 사례에(경기도, 국내, 해외)에 대해 연구하고 경기도 문화다양성 인식과 소수자 관련 분야별 면접 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 정책 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경기도 문화다양성 정책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