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708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2019년 7월~12월동안 진행한 경기도 문화다양성 매개자 연수와 2019년 소외계층 문화나눔 공모지원사업을 정리하여 제작한 결과자료집이다.
결과자료집은 각 사업별 개요와 연수 프로그램, 선정된 공모사업 단체별 프로그램이 정리되어 있으며, 문화다양성의 정책 발전방향과 참여자 만족도 조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4유형으로 개방한 '2019 경기문화재단 소외계층 문화나눔사업&문화다양성 매개자 연수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ggarte.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경기문화재단
-
본 간행물은 서교예술실험센터 공동운영단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교예술실험센터의 발전적 운영방향 모색을 위해 서울문화재단과 거버넌스 당사자가 공동연구로 진행한 결과물이다.
본 연구는 서교 공동운영단의 미래를 구성하고 지난 운영 시스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향후 전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CCL 라이선스에 따라 개방한 '서교예술실험센터 운영모델 개발 연구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https://www.sfac.or.kr/archive/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서울문화재단
-
본 자료집은 2010년부터 2020년의 10년간 진행한 치유기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서울문화재 예술치유사업은 2010년 개관한 서울예술치유허브 창작공간과 함께 성장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지역중심의 예술치료 센터로 자리 잡았다.
자료집은 사업개요와 주제별 정리한 프로그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CCL 라이선스에 따라 개방한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치유사업 2010-2020년의 치유기 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문화재단 아카이브(https://www.sfac.or.kr/archive/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서울문화재단
-
2020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수행한 사업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작한 '202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1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부산문화재단
-
2020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과정을 엮어 제작한 결과자료집이다.
유아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은 생애초기 유아단계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및 지원을 통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확대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2020년 사업에는 영화의 전당과 디오티미술관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집은 각 단체별 운영 프로그램을 회차별로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부산문화재단
-
2019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수행한 사업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작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부산문화재단
-
이 컨설팅 운영의 목적을 ① 2020 부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의 운영실태 파악, ② 개별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컨설팅 제공, ③ 컨설팅과 모니터링 개선방안 도출에 두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이순욱, 남영희, (공동연구원)정민경, (연구보조원)정세아, 이은주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20 부산 지역기반 문화예술교육 컨설팅 결과보고서'이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플랫폼(http://bsarte.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2020년 7월 10일부터 7월 24일까지 문아리공간 5.3에서 진행된 《2020 시민문화툴킷 0.02-요즘 어때》 워크북이다.
시민문화툴킷 0.02 '요즘어때?'는 원주 시민들에게 놀이를 할 수 있는 0.02평의 툴킷을 배부하고 각자의 공간에서 제작된 툴킷 결과물을 다시 수집해 약 2.0평의 공간에 전시하는 시민문화예술활동 프로젝트이고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멀어진 마음의 거리를 좁히고 일상에 지쳐 색다른 놀이가 필요한 시민들에게 마음의 안부를 나누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2020 시민문화툴킷 0.02 '요즘 어때'' 워크북이며, 해당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https://wjccity.wonju.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
본 자료는 2020년 10월 06일부터 10월 25일까지 구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에서 진행된 「문아리공간 5.3-우리는 늘 놀고싶다」 전시도록 자료이다.
전시는 한국그림책 작가11명(강혜숙 외)로 이뤄진 바캉스 프로젝트 그룹전, '별 일 없지? 곧 맑아질거야' 콘텐츠 기획전, 학성정원 프로젝트 놀이-터 등 총 7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지난 5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모든 그림책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한국그림책연감도서관, 문화놀이마당 소보름, 이담의 외출 등 다채로운 문화 콘텐츠가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2020 문아리공간 5.3 '우리는 늘 놀고싶다'' 전시도록이며, 해당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https://wjccity.wonju.go.kr/index.php?gid=sptcente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
본 자료는 《SDGs 북클럽 in 원주 선정도서》 홍보 리플릿이다. 제 70차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의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eopment Goals)'가 채택되었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17가지 목표는 크게 인류의 보편적 문제, 지구환경문제, 경제사회문제로 구성된다.
리플렛에는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에서 17개 목표에 맞는 85권의 그림책과 간략한 설명을 담고 있다.
*본 저작물은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2020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SDGs 북클럽 in 원주 선정도서 리플릿'이며, 해당 저작물에 대한 영상은 원주시립중천철학도서관 유튜브 '중천학당'(https://www.youtube.com/channel/UCrMsgiOVUPCibLUcdiyLzPQ)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20
저작권자
원주시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공감에서 시작되는 문화예술교육;탐구생활' 자료집은 경북지역 중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예천, 상주, 구미에 시민 예술가를 비롯한 노인과 예술가들이 실행 공동체를 구성해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하기 이전에 지역의 노인실태와 문화예술향유 정도 등을 9차례의 COP 연구 모임을 통해 도출해고 있다.
연구모임 결과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단절된 이웃 노인 간의 갈등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연구하고 COP를 통해 어르신들의 주체적인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공동체마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본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등록한 2014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노인분야 시범사업 '공감에서 시작되는 문화예술교육 탐구생활' 자료집 이며, 해당 저작물은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gbarte.or.kr/coding/main.asp)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4
저작권자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 2021년 4월 3주 ~ 4주 주간동향
발행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록일
2021-04-19
조회수
113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강대중)은 ‘2021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심사 결과, 평생학습도시(6개)를 신규로 선정하고, 평생학습도시 특성화(15개 평생학습도시, 4개 시도)를 지원 결과를 발표함(‘21.4.1.)
발행기관
교육부
등록일
2021-04-19
조회수
139
-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 2021년 4월 1주 ~ 2주 주간동향
발행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록일
2021-04-02
조회수
135
-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서혜란)은 첨단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실감서재>를 개관함(‘21.3.22.)
발행기관
문화체육관광부
등록일
2021-04-02
조회수
70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20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1일 ~ 12월 13일 약 5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668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의 협조로 각 단위학교로 공문을 발송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보고서는 전국 및 17개 지역별로 통계집이 제작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구자희, 김혜경, 옥경인, (연구보조원)김다현이 참여하였다.
분류
평가통계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21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