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2013년 10월 13일(금)-10월 15일(일)동안 무안 남악중앙공원 일대에서 진행된 '2017 전남생활 문화예술 페스티벌' 홍보 리플릿이다. 행사는 다양한 공연과 문화예술교육체험, 아트마켓가 운영되었다. 페스티벌 개요와 운영일정 시간표, 페스티벌 참여단체 현황, 행사장 지도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전라남도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전남 생활 문화예술 페스티벌 리플릿'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전라남도문화재단(http://jn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전라남도문화재단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13
  • 2017.11.14.에 대구예술발전소 수창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개최한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 정책토론회 2차 토론회-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의 자료집이다. 새정부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지역과 현장의 의견수렴을 위해 개최하였다. 김병주가 문화예술교육 질적 제고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발제를 했으며 이욱상, 호중훈, 함형식, 김상원이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토론 주제로는 부산에서 보내는 몇 가지 제언, 학교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시작하는 질적 성장을 위한 질문, 성장을 위한 여러 가지 생각들,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사례 검토 등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윙커뮤니케이션 만든이(개인) 김병주 지역 대구 다운로드 수 89
  • 2017.11.07.에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콘퍼런스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개최한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 정책토론회 2차 토론회-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의 자료집이다. 새정부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지역과 현장의 의견수렴을 위해 개최하였다. 박영정이 문화예술교육의 지역분권 실현을 위한 방향, 손동혁이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를 발제하였다. 박형주, 박화선, 김종휘, 김가희가 토론을 하였고, 토론 주제로는 지역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지역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지역 문화예술교육, 이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지역 문화예술교육 3년을 돌아보며... 등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윙커뮤니케이션 만든이(개인) 박영정 , 손동혁 지역 광주 다운로드 수 63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한 2017년 기관 연차보고서로 2017년 기관소개 및 사업소개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19
  •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2017 충남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BOOK'은 도민들이 문화예술을 일상 속에서 온전히 즐길 수 있도록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과 문화예술교육 운영단체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안내책자와 지도이다. 이를 통해 충남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현재를 조명하고 적극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제작되었다. 충남문화예술 시설 및 공간과 운영단체들을 충청남도 시별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충남문화재단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17
  • 2017년 12월 20일 10:00-17:30 동안 속초 강원진로교육원에서 진행된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컨퍼런스 '예술과 교육의 연결고리' 의 결과자료집이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질적 성장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질문하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행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 발제 및 토론, 라운드테이블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체험 워크숍, 공연으로 진행되었으며 며 프로그램별 추진결과 및 성과에 대해서 정리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컨퍼런스 '예술과 교육의 연결고리'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moon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노리소리강원두레, (주)팡타스틱, (주)상상놀이터 만든이(개인) 김주연 , 이상걸 , 김가희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30
  • 2017.05.24.-2017.05.27.동안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와 한남동 블루스퀘어, 성수동 언더스탠드에비뉴 등에서 진행된 '2017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중에서 2017.05.24.에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알림2관에서 개최된 '2017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의 포스터로 일시, 장소, 주최와 주관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1부 발제에서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에 참여했던 베트남 소수민족 청소년 '부아 아잉 응웻'이 맡아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자아실현과 성장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콜롬비아 현대무용의 선구자인 몸의학교 설립자 ‘알바로 레스트레포’와 세계권위의 현대미술관 영국 테이트미술관그룹 교육 총괄 ‘안나 커틀러’ 등이 연사로 나서 무용, 미술, 음악 등 예술교육을 통해 교육자와 참여자가 함께 성장하는 창의적인 학습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메시지를 전한다. 
    주제 기타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프럼에이 다운로드 수 17
  • 2017.5.26.에 서울, 블루스퀘어 일대에서 진행한 《2017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문화예술교육 워크숍》의 프로그램북이다. 2017 문화예술교육 워크숍은 템플대학교 음악교육학과 교수인 '베스 볼튼' 초청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과 「노잣돈 갚기 프로젝트」김진희 作, 문학동네(2015년) 이야기 구조의 흐름을 따라 장면연기를 통해 인공의 극적상황 체험 및 연극놀이와 연극적 기법을 통한 사유·표현 방식을 탐구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곳간 채우기 프로젝트'와 <맥베스>의 주인공이 되어 움직임(동작), 소리 등으로 인물을 표현하고 코러스 앙상블을 만들어보는 '몸과 마음으로 느끼며 세익스피어의 멕베스 만나기'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워크숍이 진행된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프럼에이 다운로드 수 42
  •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2017 문화예술교육 키움·이음 결과 자료집'으로 자료집은 프로그램 별 정리된 운영결과 내용과 참여자 후기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예술교육 키움은 2017년 7월-12월 동안 진행된 2017년도 신규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지역에서 새롭게 활동할 문화예술교육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아카데미 프로그램이다.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하여 이론교육과 현상사례 탐방과 그룹별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한다. 2017년 10월-12월동안 진행된 문화예술교육 이음은 문화예술교육 키움을 통해 기획한 참신한 프로그램을 실제 운영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모든 과정을 직접 수행하면서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키움 프로그램 교육 강사로는 손혜리, 전지영, 임학순, 이헌미, 백령, 박석신이 참여하였으며 이음 프로그램에는 (교육강사)김미현, 송수영, 강혜림, 김찬혁, 권형우, 이상순, (컨설턴트)임학순, 오정학, 이헌미가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강혜림, 김미현, 송수영, 고민지, 손성은, 신민재, 정은정, 김미희, 김푸르리, 박순용, 이지헌, 최고운, 전용언이다.   * 본 저작물은 대전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문화예술교육 키움·이음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저작물은 대전문화재단(https://www.d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대전문화재단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전문화재단 지역 대전 다운로드 수 29
  •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사업, 단체, 프로그램을 지도형태로 제공하는 '2017 부산 문화예술교육 디렉토리 맵'이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소개 및 사업 안내와 각 장르 별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부산 지역 단체들을 소개하고 있다. 소개 장르는 미술, 연극, 무용, 인문학, 전통, 통합, 음악, 미디어, 영화, 영상이다.   *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부산문화재단'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http://www.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13
  •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7년 1년간 수행한 사업을 정리한 '2017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자체기획사업, 공모사업이 추진되었다.   * 본 저작물은 대전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저작물은 대전문화재단(https://www.d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7 저작권 대전문화재단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전문화재단 지역 대전 다운로드 수 41
  • 2017년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사업-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일환으로 수행된 '자유학기제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결과보고서이다. 연구는 2017년 6월 16일(금) - 12월 8일(금)동안 연극놀이 연구소 As if에서 추진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 연계 문화예술프로그램으로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접하기 힘든 융합 예술체험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 확장과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탐색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교안을 개발하고 연극, 무용 중심의 융합 예술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안하고 있다.   해당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이미연, (참여연구자)조영미, 김경준, 이정임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자유학기제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결과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http://www.bs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연극놀이 연구소 As if 만든이(개인) 이미연 , 조영미 , 김경준 , 이정임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145
  •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7년 1년동안 추진한 사업을 정리하여 제작한 '2017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기획사업, 네트워크 교류 사업, 정보화 사업이 추진되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충남문화재단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26
  • 2013년 10월 13일(금)-10월 15일(일)동안 무안 남악중앙공원 일대에서 진행된 '2017 전남생활 문화예술 페스티벌' 홍보 포스터이다. 행사는 다양한 공연과 문화예술교육체험, 아트마켓가 운영되었으며 일정에 따른 프로그램 제목 및 참여단체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남 다운로드 수 7
  •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1년동안 추진한 사업을 정리하여 발간한 '2017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다. 주요 추진 사업으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특성화 지원사업이 있으며 추진 과정 및 성과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moon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47
  • 2017년 12월 20일(수) 10:00-17:00동안 속초 강원진로교육원에서 진행되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컨퍼런스 '예술과 교육의 연결고리' 의 사전자료집이다.  컨퍼런스를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질적 성장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질문하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사전자료집은 6개의 토론발표 발제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제에는 김주연, 김재경, 박찬수, 목선혜, 김가희, 이상걸이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7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컨퍼런스 '예술과 교육의 연결고리' 사전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www.moongwarte.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노리소리강원두레, (주)팡타스틱, (주)상상놀이터 만든이(개인) 김주연 , 이상걸 , 김가희 지역 강원 다운로드 수 53
  •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2017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이다. 지역특성화 사업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지원하여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 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2017년 1월-12월동안 충남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으며 기획공모 4개 단체와 일반공모 34개 단체가 선정되어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충청남도 시별로 운영하는 단체를 분류하여 지도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획공모와 일반공모로 나누어 운영단체별 프로그램 정보 및 현장촬영 사진을 수록하고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충남문화재단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충남 다운로드 수 64
  • 2017년 캐나다 예술교육 네트워크(CNAL) 컨퍼런스 참석을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로 출장 개요, 주요 일정, 주요 활동결과, 초청레터, 캐나다 예술교육네트워크 정보, 발표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컨퍼런스 참석 및 캐나다 예술교육 동향 파악, 신규 네트워크 발굴을 위해 추진되었다. 주요 활동결과로는 CNAL 컨퍼런스 참석 및 발제토론, 어워드 갈라 참석,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장 미팅, 아츠코트 오타와 예술위원회, 캐나다 어린이 박물관, 캐나다 내셔널 갤러리, 국립예술센터, 오타와 공공도서관-어린이도서관 방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48
  • 2017년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참가 등을 위한 일본 국외출장 결과보고서로 출장 개요, 주요 일정,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개요 및 주요내용, 포럼 진행경과, 연도별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개최실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회 한중일 문화장관회의에 따른 <상하이 액션플랜(2012-2014)>의 '문화예술교육 교류협력 강화' 이행을 매년 순회 개최되고 있으며 이번 일본에서 주최하는 포럼에 참가하여 공동개최국으로서 진행사항을 확인하고 국가별 관계자 간 향후 실행방향 논의를 위해 추진되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0
  • 2017년 평창문화올림픽 <아트트림캠프> 말라위 현지교육 실행 및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 등을 위한 말라위 국외출장 결과보고서로 출장 개요, 주요 일정, 주요 활동, 시사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말라위 문화예술교육 워크숍 현장 운영, 관계자 및 워크숍 사전 회의, 워크숍 평가 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