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로딩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정보와 지역 관련 문화예술교육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708건의 문화예술교육 자료가 있습니다.
  •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는 생애전환기를 맞은 만 50~64세 신중년 세대가 문화예술을 통해 ‘나’에게 집중하고 ‘제 2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시범사업으로 작년부터 시작했으며, 주최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은 세종시문화재단이다. 본 프로그램은 문화적 자치분권을 주도하고 세종시의 변화하는 미래문화를 준비하고 세종시민과 함께 성장함을 목표로 둔다. 본 자료는 2018년부터 운영된 ‘청춘문화VJ’를 시작으로 2019년 ‘청춘사진관’까지 2개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신중년 참여자들의 참여 일지와 작품들을 담아내었다.   * 본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결과자료집:5064청춘다이어리'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시문화재단(https://www.sj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세종시문화재단 세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자료는 「충북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 제언」 최종 보고서 자료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단체, 기관, 학교, 사회시설 등 충북도내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충북의 문화예술교육을 이해하고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조사 목적 명확화, 조사 대상 선정, 조사 설계 및 실행, 결과분석 및 정책 제언의 순으로 추진되는 과정으로, 표가 정리되어 있으며 예술강사용 현황조사와 추북도민용 현황조사, 응답지가 첨부되어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박동수, 이다희, (공동연구원)신동호, 안태호, 이정현, 김아영, 이은화, 박진경, 전유라, 최가현, (연구보조원)채예은, 이건희, 차유진, 김수라, 김설희가 참여하였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충북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 제언 최종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정책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웹진 'ㅊ·ㅂ'(Chap) 이란 충북의 ㅊ과 ㅂ의 초성을 이용하여 가운데 · 을 추가하여 문맥을 이어 형상화했으며 'ㅊ·ㅂ':Chap book이란 손바닥 소책자 등 주머니 안의 책이라는 뜻이다. 휴대가 가능하고 누구나에게 확산할 수 있으며 충북의 문화예술교육을 널리 공유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료는 위와 같이 ㅊ·ㅂ웹진의 정의와, 편집인단 소개, 문화예술교육 웹진이 4개의 항목으로 기술되어 있다. 특집 4편, 현장 1편, 인터뷰 1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웹진은 1호 '사심있는 기획' 에 관하여, 2호 '골목' 에 관하여, 3호 '기록', 4호 '공간' 에 관하여 담아내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웹진:ㅊ·ㅂ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헬로우 아트 랩'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창의,융합적 접근과 전문가 퍼실리테이팅 및 네트워크 지원을 통해 현장과 학교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주체들에게 자발적 연구와 학습, 협력의 과정과 동기를 지원하는 연구 및 지역형 프로그램이다. 본 사업은 지역형 문화예술교육 R&D(Research&Development 의 약어로 새로운 프로젝트/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조사, 인터뷰, 토론, 파일럿 테스트 등의 연구 개발 과정을 일컬음)와 프로젝트 실행을 일체화하여 통합 지원한다.   자료 안에는 사업 소개, 사업 운영과정, 운영단체 사업소개(랩별 단체,랩별 프로그램 소개),성과공유 프로그램(성과교육 캠프 낙락캠프, 성과공유 콜로키움 충북다운), 전문가 의견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사업 '헬로우아트랩''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콘텐츠개발연구 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문화예술교육거점지원사업은 지역의 다양하고 새로운 수요를 반영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는 거점을 구축하고 거점 형식의 특화 모델 사례 발굴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충북 문화예술교육거점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충청북도가 주최하였으며 (재)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관하였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협력하여 추진되었다. 더불어 문화예술교육거점지원사업 운영기관에서 운영을 담당하였다. 사업의 지원내용으로는 지역 환경을 읽어낼 수 있는 리서치 기반의 거점형 프로그램 운영 및 인건비를 지원하고, 지역연구 및 분석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거점으로서의 창의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다각적 네트워크 사업운영 지원, 거점운영단체 간 협력사업 공동기획 및 역량강화 지원 등이 있다. 자료에는 위와 같은 문화예술교육거점지원사업 소개와, 2019 문화예술교육거점지원사업 운영 현황, 문화예술교육거점지원사업 운영 단체 사업 소개가 기술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충북문화예술교육 거점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본 사업은 2019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25개 단체와 27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충북지역 청/장년, 노인 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생활권 내에서 지역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이다. 자료에는 사업 추진 일정표가 정리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구성 표, 사진과 강사진과 참여자들의 활동 후기 등이 담겨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충북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꿈다락은 '나의 비밀스러운 꿈의 아지트'라는 뜻으로 예술이 펼치는 상상, 놀이가 주는 즐거움이 가득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토요일마다 열리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충북의 주최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충청북도, 주관에는 (재)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협력에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사업에 참여하였다.   본 사업은 전국 초,중,고등학교 '주 5일 수업제'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또래, 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를 조성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에는 사업의 소개, 사업운영현황(설명회, 심의 및 워크숍, 현장 및 상호 모니터링), 운영단체 사업소개(지역별 운영기관 및 단체, 단체별 프로그램 소개)와 참여자 후기가 기술되어 있으며, 25개의 단체가 함께한 충북 꿈다락 프로그램에는 영상, 사진, 미디어, 통합 장르 등 다양한 장르들로 청소년들의 문화예술적 소양을 함양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충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충북문화재단(http://www.cb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충북문화재단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2019년 광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 사업 운영 결과 기록을 모아 제작하였다. 2019년 주요사업으로는 유아문화예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 광명문화예술교육 자원 발굴 사업이 추진되었다. 유아 문화예술교육에서는 음악을 매개로 하는 사업이 운영되었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에는 광명남초등학교, 광명북초등학교, 광문초등학교, 철산초등학교에서 학생과 교사, 담당자가 함께 진행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광명문화예술교육 자원 발굴에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주체를 발굴하고 지역 사회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업이 진행되었다.    * 본 저작물은 광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광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광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s://www.gmc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광명문화재단 광명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충북문화재단은 2018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결과로 충북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 및 활성화 운영 결과를 담은 결과자료집을 발간하였다.
    발행기관 충북문화재단 등록일 2019-03-28 조회수 14
  • 경기문화재단은 격한 고령화를 맞고 있는 현실에서 경기도의 노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경기도 노년층 문화예술교육 조사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보고서를 발행하였다.
    발행기관 경기문화재단 등록일 2019-03-22 조회수 56
  • 서울문화재단은 올해 7월 말까지 (구)동숭아트센터의 비어있는 공간을 예술인들에게 개방하고, 예술인·시민·재단이 함께 미래 ‘예술청’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오는 3월 20일(수)부터 7월 24일(수)까지 격주 수요일 오후 3시마다 (구)동숭아트센터에서 개방형 라운드테이블 <동숭예술살롱_가치와 문화가 공존하는 법>을 진행한다. <동숭예술살롱>은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섭외해 2020년 완공되는 ‘예술청’의 가치와 운영모델 제안을 위한 발제 및 토론 등을 나누는 자리로, 회당 40여 명씩 총 10회 운영된다.
    발행기관 서울특별시 등록일 2019-03-19 조회수 38
  •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8년 1년간 추진한 사업을 정리하여 발간한 '2018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집'이다.    * 본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아르떼라이브러리에 직접 등록한 '2018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http://artrea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전국 주 5일 수업제로 시작된 예술이 펼치는 상상, 놀이가 주는 즐거움이 가득한 주말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이다. 예술가들과 함게 보고 듣고 느끼면서 아이들의 문화예술 소양을 쌓고, 나를 발견하고, 가족과 소통하며, 학교 밖 지역문화를 알아가는 주말프로그램이다. 본 결과 자료집에는 연극, 음악, 문학 등 다양한 장르가 융합된 교육을 통해 개개인의 예술적 사고력을 키우는 통합과정으로 아이들이 동요를 부르며, 놀이하며, 연극하는 프로그램 내용을 담고 있다.    * 본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프로그램 「노래와 연극놀이로 체험하는 무대 속 이야기」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https://www.iscf.or.k)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8 저작권자 인천서구문화재단
  • 인천서구문화재단과 전문예술단체인 루체뮤직소사이어티가 함께 준비한 <모여라! 클래식캠프>는 클래식을 소재로 한 하우스 콘서트 감상, 공연장 백스테이지 투어 및 악기체험 등 생동감 넘치는 예술감상교육을 통해 아이들의 미래 문화인으로의 성장과 함께 창의· 감성지수를 향상토록 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결과자료집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담고 있다. 본 교육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예술가들과 함께 보고 듣고 느끼면서 문화예술 소양을 쌓고, 나를 발견하고, 가족과 소통하며, 학교 밖 지역 문화를 알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프로그램 「모여라! 클래식 캠프」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https://www.is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8 저작권자 인천서구문화재단
  • 찻아가는 예술학교사업은 인천 서구의 아동·청소년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및 문화권리 확보를 위해 찾아가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청소년의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자 추진되었다. 2018년 서구 관내 30개 지역아동센터 중 17개 지역아동센터가 참여하였고, 인천 서구 청소년 수련관 또한 참여하여 많은 수의 아동에게 우수한 문 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우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문화예술단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공모를 실시했습니다. 공모를 통해 우수 교육프로그램을 선정하였고, 지역아동센터와의 매칭을 통해 센터 아동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였고, 활동내용은 본 결과 자료집에 담겨있다.     *본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에서 2018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8 아동특화문화예술교육사업 「찾아가는 예술학교」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https://www.is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류 교육프로그램북 발행연도 2018 저작권자 인천서구문화재단
  • 2019년 2월 7일 광주문화재단에서 개최된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정책포럼 <새로운 시대 새로운 문화정책> 자료집을 발간하였습니다.
    발행기관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등록일 2019-03-14 조회수 80
  •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진행한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바탕으로 광역 문화예술교육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보고서 입니다.
    발행기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등록일 2019-03-13 조회수 85
  • 핀란드 울라 마리아 코블라(Ulla Maaria Koivula), 장 얄까넨(Janne Jalkanen)이 디지털 도구‘ThingLink’로 UNESCO의 정보통신활용 교육 혁신 상(2018 UNESCO King Hamad Bin Isa-AI Khalifa Prize for the use of ICT in Education)을 수상함
    발행기관 유네스코 등록일 2019-03-08 조회수 26
  • '2019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공모전 포트폴리오 북'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현장에서의 자생력 및 경쟁력 강화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포트폴리오 북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현장에서 장기적으로 개발, 확대, 성장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프로그램 개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닻별'은 '세종에서 잇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도서관 연계 사업으로 오랜 기간 전 세대에게 사랑 받은 책「어린왕자」를 모티프로 하여 새로운 별을 찾아 여행하는 어린왕자을 따라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세종으로 이주한 지 3년 이내의 초등학교 1-3학년 자녀의 가족 12가구 30명을 대상으로 총 10회 진행되었다.프로그램 콘텐츠는 엄지수, 박시현, 양지호가 개발하였다.   포트폴리오 북은 사업소개, 프로그램 개요, 콘텐츠 기획 및 추진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2019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공모전 포트폴리오 북'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현장에서의 자생력 및 경쟁력 강화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포트폴리오 북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현장에서 장기적으로 개발, 확대, 성장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프로그램 개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과 놀자 유(遊) !'는 반복되는 아이들의 실내 일상을 탈피하여 자연이 가까운 전곡 선사박물관에서 계절을 느끼고 자연의 소리를 들어보며 각자의 상상력으로 나온 악기 도안을 그려보고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4학년 10명을 대상으로 총 10회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콘텐츠는 진솔이, 김민서, 고정아가 개발하였다.   포트폴리오 북은 사업소개, 프로그램 개요, 콘텐츠 기획 및 추진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9 저작권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