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이 변화·발전해 온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지역에 기반을 둔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또한 지역 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적자료를 확보하고, 질적인 성장의 단계를 가늠함으로써 향후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전략의 근거를 확보하고자 한다.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책임자)추미경, (공동연구자)권순석, 백령, 이승욱, 정민룡, 조아영 (연구원)김소영, 곽혜영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다섯 가지 영역으로 크게 1장 서장, 2장 지역 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위한 조사설계, 3장 지역 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내,용 4장 지역 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종합 및 주요 이슈, 5장 결론 및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단법인 문화다움 만든이(개인) 추미경 , 권순석 , 백 령 , 이승욱 , 정민룡 , 조아영 , 김소영 , 곽혜영 다운로드 수 120
  • 2015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제36차 청소년과 소통하는 예술교육;이야기 표현 탐색 그리고 공유라는 초청 워크숍의 자료이다. 제 36차 워크숍에서는 노르웨이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예술기반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발견 교수법 워크숍을 서울과 광주에서 노르웨이의 마리트 울번드(Marit Ulvund), 벤테 아힘(Bente Aasheim)을 강사로 초청하였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마리트울번드, 벤테아힘 만든이(개인) Marit Ulvund , Bente Aasheim 다운로드 수 63
  • 연구 목적은 기 개발된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현장의 의견 및 발전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유아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발전과제를 도출하여 단‧중장기별로 제시 하고자 함이다. 연구 내용은 유아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검토, 해외 유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례 분석, 국내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석,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발전 과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 조사- 수혜기관 교원 및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유아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향 및 단‧중장기 발전과제 제시한다.   본 연구는 (연구책임자)문무경, (공동연구자)이윤진, 강은진, 정진원, 박은덕, (연구보조원)김승진, 김미진, 최윤경, (자문위원)고영미, 김양근, 김인성, 김형숙, 노주희, 박은경, 박일호, 양혜원, 임학순, 전혜선, 최기호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육아정책연구소 만든이(개인) 문무경 , 이윤진 , 강은진 , 정진원 , 박은덕 , 김승진 , 김미진 , 최윤경 다운로드 수 108
  • 본 홍보물은 2015.11.30.-2015.12.01.동안 서울 세종문화회관과, 2015.12.03.-2015.12.04.동안 부산문화재단 감만창의문화촌에서 개최된 '2015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37차'에 대한 내용으로 일시, 장소, 초청단체 및 초청강사 소개, 프로그램, 참가신청안내, 유의사항, 문의사항 등이 기재되어 있다. 37차 워크숍은 영국 소리창작프로젝트(SoundsCreative Project)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목소리와 신체, 악기 등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교육 워크숍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초청강사로는 타라 프랭크스(Tara Franks), 프리타 나라야난(Preetha Narayanan)이 참여하였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다운로드 수 20
  • 2015 2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교부 신청 안내 2분기 리플릿이다. 리플릿에는 자격 교부 일정, 교부 신청 자격, 첨부서류 준비, 온라인 신청과 온라인 첨부서류, 우편제출 서류 안내, 수수료 안내, 참고사항과 문의처가 나와 있으며 2015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등 교부 연간 일정(연4회)의 일정이 표로 나와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5
  • 본 자료는 「《2015 문화예술교육 포럼-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재와 미래》 에 관한 발표 내용을 담고 있다. 해당 포럼은 2015.05.29.에 부산시립미술관 강당에서 진행되었다.   전체적인 구성은 발제문과 토론문으로 되어있으며, 발제 1. 지역문화정택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으로 임학순(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발제 2. 지역 문화예술 교육 실행을 위한 구체적 검토의 내용으로 이춘아(한밭문화마당 대표), 발제 3. 지역 문화에술교육 사례 공유의 내용으로 이욱상(오픈스페이스 배 에듀케이터), 발제 4. 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협력체계로의 전환은 정민룡(북구 문화의집 관장)이 발제하였다.   토론문은 종합토론으로 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그리다라는 주제 아래 각각 4가지의 토론 주제와 그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토론자는 임창웅, 강승진, 김수연, 노준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스테이지원 만든이(개인) 임학순 , 이춘아 , 이욱상 , 정민룡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49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진행되어온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사회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와 수요를 진단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중장기 정책방향과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위한 사업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기 추진되어온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의 전개과정과 성과, 한계의 개괄적 파악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 및 관계자 수요 분석 셋째, 사회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주요 쟁점 파악 넷째, 사회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정책비전, 목표, 추진전략, 중점과제 도출 다섯째,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위사업별 개선방안 및 로드맵 제시이다. 해당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양혜원, (공동연구자)김세훈, 박영정, 임학순, (연구보조원)권순일, 이사민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재)한국문화관광연구원 만든이(개인) 양혜원 , 김세훈 , 박영정 , 임학순 , 권순일 , 이사민 다운로드 수 88
  • 이 연구는 한국전통형 엘시스테마의 정의, 개념, 범위를 정립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업의 타당성과 기대 효과를 연구하는 것과 기존 사업과 연계가 가능한 한국전통형 엘시스테마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면서 한국인의 문화적 · 정서적 · 사회적 요구에 적합한 독창적인 한국전통형 엘시스테마의 구축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전통형 엘시스테마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강사 선발과 연수 등 사업운영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연구는 (연구책임자)김승근, (공동연구자)김희선, 장윤희, (연구보조원)장이윤, (보조원)권성민, (자문위원)강혜인, 노주희, 이태호, 채은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승근 , 김희선 , 장윤희 , 장이윤 , 권성민 다운로드 수 40
  • 본 자료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꼬마작곡가의 참여 아동들의 작품집이다. 꼬마작곡가는 만 10-13세 아이들을 위한 음악창작 프로젝트이다. 참여 아동들은 오케스트라 악기를 경험하고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며 내재된 창의성을 키운다. 프로젝트는 군포, 김해, 당진, 대구남구 아산, 안산, 영등포, 통영, 하남에서 진행되었다. 지역별 작품 소개와 결과발표회의 내용과 사진의 내용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피콕비주얼엔터테인먼트 다운로드 수 61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JB아르떼 에듀터 기자단이 제작하여 2015년 9월 발행한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예술교육 삶의 가치를 지원하다 웹진' 메인 이미지이다.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사업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잇으며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9월, 10월 주요 일정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4
  • 본 자료는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의 '왁자지껄 도서관; 문학놀이를 품다'의 초등부 저학년, 고학년 심화형의 강사용 수업안이다. 본 프로그램은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하는 문학 수업으로 다양한 생각도구를 활용하여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융합문화예술 프로그램이다. 구성은 초등부 저학년 12주차 수업안과 초등부 고학년 12주차 수업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아시아문화네트워크 다운로드 수 65
  •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교육제도, 교육내용에 부응하는 사진분야의 교육 콘텐츠를 연구·개발함으로써 사진교육의 내용을 튼튼히 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교육의 교육과정과 내용, 교수법에 대한 분석, 연구 둘째,국내외 사진교육 관련 프로그램 조사와 분석을 통한 사진교육의 스펙트럼 확장 셋째,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내용 연구와 협력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넷째, 학교 예술강사의 전문적 교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로서 교수-학습지도안 수집, 개발, 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책임자)현혜연, (공동연구자)유기상, 김인규, 김진형, 박정랑, 박지은, 최승희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문화예술교육원 만든이(개인) 현혜연 , 유기상 , 김인규 , 김진형 , 박정랑 , 박지은 , 최승희 다운로드 수 245
  •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섯가지이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사 분류 체계의 검토를 통해 국가공인자격증 제도로서의 타당성 검토이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분야와 현장 연계 관련 진단 필요성과 셋째, 시대 변화에 따른 융⋅복합 예술 분야 장르 및 장르 분화에 대한 대비 필요이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사의 배치 관련 수요 분야와의 매칭 분석 필요 다섯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새로운 분류체계 연구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는 문헌분석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정책 분석 및 이론적 근거 도출하고 문화예술교육 현장 수요 분석-관련 문화예술기관의 프로그램 분석하며 신규 분야 제안 통합 방안 연구- 수요조사와 의견 수렴, 현장수요의 결과를 반영하여 우선순 3개 신규분야를 제시하고, 이를 분류체계로 제시한다. 해당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이희수, 백미현, (공동연구자)송현정, 김현수, (연구보조원)고혜리, 정혜원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이희수 , 백미현 , 송현정 , 김현수 , 고혜리 , 정혜원 다운로드 수 83
  •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2016-2020의 중장기 사업전략을 수립함으로써 향후 5년간의 사업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논의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을 우선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주 대상자인 학생이 일상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이번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장현선, (공동연구자)김병주, 김지연, 박소연, 윤혜란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장현선 , 김병주 , 김지연 , 박소연 , 윤혜란 다운로드 수 125
  • 연구의 목적은 엘 시스테마에서 비롯되어 '소외 아동청소년오케스트라 교육'으로 자리매김한 '꿈의 오케스트라'의 정체성과 향후 방향성에 대한 전략적 검토와 교육진흥원이 현 정책기조에 맞추어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을 추구함과 동시에 교육진흥원의 주요 역할인 '진흥'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기반모델의 구축 및 확산 전략을 검토·수립하였다. 교육진흥원의 실질적 필요를 반영하여 국내 유사 엘 시스테마 형 오케스트라 교육운동과 의 연계.차별화 방안 마련 및 향후 3~5년 안에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한 개선 전략 제시하였고 거점단위 실행의 질적 관리의 자체적 검토와 보완, 지속가능성에 대한 노력을 체계화하고 중앙단위에서의 거버넌스 실현과 전문서비스 체계 구축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전수환, (공동연구자)조은아, 서지혜, 신소영, (연구보조원)박수진, 박아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전수환 , 조은아 , 서지혜 , 신소영 , 박수진 , 박아현 다운로드 수 124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JB아르떼 에듀터 기자단이 제작한 '2015.11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예술교육 삶의 가치를 지원하다 웹진'의 메인 이미지이다. 2015 즐거운학교 행복한 아이 지원사업-비빔의 '지역과 학교가 만나 즐거운 학교, 행복한 아이를 만듭니다'가 주요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6
  • 울산·광주·부산·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주관으로 2015.10.19.-2015.12.10.동안 서울, 울산, 광주, 부산, 전남 여수 등에서 개최된 '2015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의 안내 리플릿이다. 해외초청워크숍은 예술교육을 통한 전국민의 문화향유능력 확대 및 문화보존을 도모하는 예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의 해외사례를 공유하고 기존의 주입식 기술교육 및 지식·정보암기식 교육에서 탈피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방법론 공유를 통한 국내 시사점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2015년에 35~38차 총 4차로 진행되었다.   각 차수별 주제와 초청 강사는 다음과 같다.   제 35차 워크숍은 지역사회 이야기를 예술로 담다-문화예술과 사회변화에 대한 주제로 호주의 빅하트(Big hART)가 초청 단체로 참여하였다. 제 36차 워크숍은 청소년과 소통하는 예술교육-이야기 표현, 탐색, 그리고 공유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의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가 초청단체로 참여하였다. 제 37차 창의적 음악활동을 통한 소통·협력적 창작 환경 만들기는 영국의 소리창작프로젝트(SoundsCreative Project)가 참여하였으며 제 38차 가족워크숍-다양한 세대가 함께 하는 워크숍 이끌기에서는 미국의 뉴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이 초청단체로 참여하였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다운로드 수 33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된 이후 지난 10년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방향과 전향을 실행하면서 기관의 위상을 세우고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시간이였다. 10년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해왔던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지원 사업의 흐름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의 성과를 되짚어보았다.   (구성·편집)유한회사 별일사무소, (디자인)한보람, (기획)홍유진, 박수아, 소지영, (감수)박창준, 정연희, 노준석, 김세린, 기영준, 김소연, 김재경, 김하원, 박명선, 임선영, 장희경, 최지윤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홍유진 , 박수아 , 소지영 다운로드 수 297
  • 《2015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제37차 창의적 음악활동을 통한 소통・협력적 창작 환경 만들기》의 자료집이다. 이번 37차 워크숍에서는 영국 소리창작프로젝트(SoundCreative Project)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목소리와 신체, 악기 등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교육 워크숍이다. 서울에서는 2015.11.30.-12.01.에 세종문화회관에서 부산에서는 2015.12.03.-12.04.에 감만창의문화촌 대연수실에서 영국의 타라 프랭크스(Tara Franks), 프리타 나라야난(Preetha Narayanan)을 강사로 초청하였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티라 프랭크스, 프리타 나라야난 만든이(개인) Tara Franks , Preetha Narayanan 다운로드 수 46
  • 우리사회는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며 문화예술 전반과 특히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최근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해를 거듭할수록 사업규모와 대상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있는 추세를 보였으나, 그동안 사업에 대한 분석이 주로 세부 프로그램 단위와 평가 대상 집단 단위로 이루어져, 사회문화예술교육 전체를 포괄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금까지 추진되어 온 사회문화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 실태를 파악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사회문화예술교육이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생산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내용으로는 사회문화예술교육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하여 주체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운영 실태 조사를 하고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 관련 시사점을 제시한다.   해당 연구는 (연구책임자)김세준, (공동연구자)김세훈, 민정아, 전민정, 김명준, (연구보조원)장두용, 송안나, 최윤희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글로벌리서치,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세준 , 김세훈 , 민정아 , 전민정 , 김명준 , 장두용 , 송안나 , 최윤희 다운로드 수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