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서는 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에 대한 것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결과로서 도달할 운영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그 동안 이루어 온 긍정적 효과에 힘입어 중, 고등학교로 확장되고, 지원 학교 수도 확대되었다. 따라서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유형을 검토하고, 그 간의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현황, 성과, 지향해온 방향을 확인하고, 한국형 지속가능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전형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표준적 모델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결과로서 도달할 학교운영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 검토와 국내·외 동향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 검토,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의 컨설팅 보고서 및 현장의 논의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의 담당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예술꽃 씨앗학교 정의 및 특성 재확인, 사업관리 모델과 운영지침 두 가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종합적인 사업관리 관점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관련 주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수행되는 과업의 편성과 관계의 체계라 할 수 있는 ‘사업 관리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개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차원에서 사업의 목표와 취지를 근거로 적용해야 하는 ‘학교운영지침 모델’이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문성, (공동연구자)석문주, 김혁진, 전영은, 박새롬, 이바름, 한혜선, (자문진)오지향, 이욱상, 정재은, 최미영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문성
,
석문주
,
김혁진
,
전영은
,
박새롬
,
이바름
,
한혜선
다운로드 수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