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2013년부터 현재까지 독일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에 대해 조사한 내용으로 독일 정부/산하기관, 주요 문화기반시설, 관련 네트워크 연합체 등의 주요기관의 동향이 수록되어 있으며 기관명과 조사이슈, 관련 자료 목록에 해당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다. 또한 주요 이슈 별로 발표일과 기관, 시행배경과 목적, 수혜대상 등이 포함된 주요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독일-폴란드 청소년 사무소 German-Polish Youth Office (GPYO), 바이에른 주(州) 교육, 문화, 과학, 예술부(Bayern Stat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Science and Art), 연방문화재단(The Board of the German Federal Cultural Foundation), 베를린(Berlin) 주정부, 독일연방교육연구부(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등이 있다. 주요 조사이슈로는 독일-폴란드- 독일, '참여의 예술' 심포지엄 개최(2015.8.26), 연방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강화 위해 1,340만 유로 지원(2015.6.23), 베를린 주정부 주최 "보너스 프로그램"(„Bonus-Programm“), 정부 주최 문화가 강하게 만든다. 교육을 위한 동맹 („Kultur macht stark. Bündnisse für Bildung“) 등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이은정 만든이(개인) 이은정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109
  •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 국제 실행 매뉴얼 연계 시범사업을 위한 인도네시아 현지답사를 추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한국-인도네시아 문화예술교육가 간 교류 워크숍 운영 및 현지 학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출장개요, 일정, 활동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동내용에는 케롤라 재단 관계자 미팅, 현지 예술교육가 인터뷰, 수리아대학 관계자 미팅, SMAN7 Tangsel 학교 방문, 인도네시아 국립미술관 전시회 참석, 주 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 미팅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15
  • 2015년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실행 점검을 위한 국외출장의 결과보고서이다. 출장 개요, 일정, 주요 관계자 회의, 모니터링, 참여자 간담회, 주요 회의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0
  • 2015년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베트남 현장 점검을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출장개요, 주요일정, 관계자 간담회 내용, 파견단 방문 및 박하 전시회 준비, 개막식 행사 및 전시회 운영 최종 점검, 발표회 및 개막행사, 참여자 간담회, 주요 회의록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2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초.중.고등학교 토론.협력 학습에 대한 체계적 실태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급별로 학교 단위 교육과정의 운영 및 교실 수업에서의 토론.협력 학습 교수.학습 방안 및 실천적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학생과 교원의 토론.협력 학습 실천 역량을 제고하고 나아가 국가수준의 수업 개선 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 박주현, (공동연구자) 서영진, 이동엽, 강대현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15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창의적 수업을 위한 토론・협력 학습 활성화 방안(작성자: 박주현)'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www.kice.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만든이(개인) 박주현 , 서영진 , 이동엽 , 강대현 다운로드 수 24
  • 2014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 실행 매뉴얼 연계 시범사업의 인도네시아 현지운영 모니터링을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로 출장 개요, 일정, 주요활동, 시사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인도네시아 예술교육가 간 교육 워크숍 운영 및 현지 학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1
  • 2015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참가를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예술교육의 현안을 공유하고 현지 취재를 통해 기관 웹진 구독자 및 국내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를 위한 기사 콘텐츠 제공하고 2016년 한국 개최를 위한 사전준비 및 향후 국제협력 가능을 논의하였다. 보고서는 출장개요, 주요일정, 한중일 포럼 참가 및 발, 제, 현지 무형문화유산 및 유관기관 방문, 관계자 회의, 포럼 토론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5
  • 2015년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조사를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로 출장개요, 주요방문 기관 및 프로그램, 주요일정, 주요 세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외 및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예술교ㅕ육 우수 사례 학습을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주요방문 기관은 홍콩예술발전위원회, 홍콩아트센터, 홍콩 장애인과 함께하는 예술협회, 싱가포르 연극교육협회,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이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43
  • 2015년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라오까이 교육청 관계자 참여 최종 평가회의 참석 및 기자재 전달과 코이카 라오까이 행복프로그램 사무소 회의참석, 사파교육처 및 라오까이 사범대학교 관계자 의견수렴 및 수요확인, 베트남 여성박물관 및 Solart 간담회 참석을 위해 추진된 국외 출장 결과보고서이다. 결과보고서는 출장개요, 주요일정, 주요 회의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4
  • 본 발표자료는 2015.12.18.에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개최된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결과공유회에서 호주팀2이 발표 자료로 발표자 소개, 일정과 방문지 소개, 포럼에 참여한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탐방조사팀의 참가자는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이며 2015.11.24.-2015.11.27.동안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2015 예술교육포럼 (Arts Learning Forum 2015)》에 참여하였다. 본 포럼은 '문화예술로 풍요로워지는 일상의 배움' 이라는 주제로 예술 교육 분야 전문가, 유관 기관 관계자, 예술가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및 해석, 장르, 교육 대상의 연령 및 배경을 아우르는 예술교육 실행의 전략적 비전과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교수법, 방법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포럼에서는 예술 교육과 관련된 최근 국제 동향 및 주요 이슈를 논의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7
  • 2015년 문화예술로 풍요로워지는 일상의 배움(키워드:예술교육)을 주제로 개최된 '예술교육포럼'에 참석하기 위한 국외출장의 결과보고서로 출장개요, 주요일정, 포럼 주요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워크숍 'Let'go get digital' , 국제예술교육 사례발표, 원주민과의 예술교육 사례, 유네스코 호주 예술교육 총괄센터 의장 수잔라이트 인터뷰, 관계자 네트워크 미팅, 문화시설 방문 내용이 작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2
  • 2015년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실행 점검을 위한 국외출장의 결과보고서로 출장 개요, 일정, 주요 관계자 회의, 모니터링, 참여자 간담회, 주요 회의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15
  • 2015년 국제 심포지엄 및 유네스코 아태지역 옵저버토리 지역회의 참석을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출장개요, 주요일정, 관계자 면담 및 발제 방향 협의 내용, 심포지엄 참석 및 발제 내용, 공식일정 참석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17
  • 2015년 우리 원 업무 관련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조사를 위한 제 78회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 컨퍼런스 참석 국외출장 결과보고서로 출장개요, 주요일정, 컨퍼런스 주요내용, 기관방문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질의 예술기회를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 관계자들의 교류의 장으로 개최되었으며 연수, 파트너쉽,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회정의, 혁신, 예술강사 교육 등에 관한 강연 및 토론, 예술교육 전시, 네트워킹 미팅으로 구성되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1
  • 2015년 해외 예술교육 컨퍼런스 참석 및 유관기관 방문을 위한 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이다.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관련, 노르웨이 유관기관 관계자와 인터뷰를 통해 현지 사례 조사 및 제도 개선 방안 모색,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예술프로그램 페스티벌(show box),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예술교육에 대한 연구 컨퍼런스(KUNSTEN A DELE 2015)에 참석하여 예술교육 지원-설계-현장실행 지원에 대한 해외 사례를 파악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출장개요, 주요일정, 관계기관 미팅, 프로그램 참여, 현장방문, 유사사업, 시사점, 사례조사, 현장사진, 인터뷰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45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의 건강한 성장과 음악적 표현과 소통 능력 계발이라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교육과정의 큰 틀 안에서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을 구상하고 거점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에서 교육수준을 크게 초급, 중급, 고급의 3단계로 구분하여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한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프로그램 개발에는 각각의 수준에 맞는 교육목표, 내용, 교수학습법, 수업예시 및 자료, 수업시수 등의 내용을 포함함. 또한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서의 차별화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해당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은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 기관 뿐 아니라 국내 초․중등 수준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위한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으로 즉시 활용 가능함, 거점에서 활용 가능한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통해 오케스트라 활동에 앞서서 아동이 갖추어야 할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과 지식, 오케스트라 활동에 요 구되는 규율과 질서, 체계 등을 학습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혜윤, (공동연구자)김성혜, 노주희, 최나영, (연구보조원)손서희, 박은영, (보조원)장남희, 황주원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혜윤 , 김성혜 , 노주희 , 최나영 , 손서희 , 박은영 , 장남희 , 황주원 다운로드 수 79
  • 본 자료집은 2015.11.16.에 대전역 한국철도공사 본사에서 열린 《2015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세미나》에 대한 내용이다. 추진 배경은 문화예술교육 지원 등 사업을 수행하여 국민의 문화향수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나, 문화예술교육전문인력의 자격요건이 명문화 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 대두. 이에 문화예술교육 자격을 명확히 하여 문화예술교육 지원 효율성 제고 및 질적 성장여건 마련 필요함이다.   강의자는 김선아(한양대 응용미술교육과 교수), 권덕원(경인교대 음악교육과 교수), 현혜연(중부대 사진영상학과 교수), 이재영(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교수)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63
  • 해당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아동의 사회성, 정서,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기전을 다양한 방법(임상적 측정, 뇌과학적 측정, 신경심리학적 측정, 예술적 측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뇌 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융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소아청소년기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심리학적, 생물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미치는 개인적 요인 및 집단적 요인을 밝히고, 이들 요인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여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효과성이 특히 탁월한 영역을 발견하고 더욱 신뢰성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한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인지 및 학습영역의 효과성에 대한 진일보된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경쟁적 학업 위주의 교육시스템 속에 문화예술교육을 폭넓게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붕년, (공동연구자)박수빈, 홍순범, 신민섭, 김기현, 백령,김인향, (연구보조원)김아란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만든이(개인) 김붕년 , 박수빈 , 홍순범 , 신민섭 , 김기현 , 백령 , 김인향 , 김아란 다운로드 수 71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JB아르떼 에듀터 기자단이 제작하고 2015년 7월에 발행한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예술교육 삶의 가치를 지원하다 웹진'메인 이미지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2
  • 본 연구서는 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에 대한 것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결과로서 도달할 운영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그 동안 이루어 온 긍정적 효과에 힘입어 중, 고등학교로 확장되고, 지원 학교 수도 확대되었다. 따라서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유형을 검토하고, 그 간의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현황, 성과, 지향해온 방향을 확인하고, 한국형 지속가능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전형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표준적 모델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결과로서 도달할 학교운영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 검토와 국내·외 동향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 검토,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의 컨설팅 보고서 및 현장의 논의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의 담당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예술꽃 씨앗학교 정의 및 특성 재확인, 사업관리 모델과 운영지침 두 가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종합적인 사업관리 관점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관련 주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수행되는 과업의 편성과 관계의 체계라 할 수 있는 ‘사업 관리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개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차원에서 사업의 목표와 취지를 근거로 적용해야 하는 ‘학교운영지침 모델’이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문성, (공동연구자)석문주, 김혁진, 전영은, 박새롬, 이바름, 한혜선, (자문진)오지향, 이욱상, 정재은, 최미영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문성 , 석문주 , 김혁진 , 전영은 , 박새롬 , 이바름 , 한혜선 다운로드 수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