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2015 2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교부 신청 안내 3분기 리플릿이다. 리플릿에는 자격 교부 일정, 교부 신청 자격, 첨부서류 준비, 온라인 신청과 온라인 첨부서류, 우편체출 서류 안내, 수수료 안내, 참고사항과 문의처가 나와 있으며 2015년 문화예술교욱사 자격등 교부 연간 일정(연4회)의 일정이 표로 나와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5
  • 본 자료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꼬마작곡가의 참여 가족들의 작품집이다. 꼬마작곡가는 만 10-13세 아이들을 위한 음악창작 프로젝트이다. 참여 아동들은 오케스트라 악기를 경험하고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며 내재된 창의성을 키운다. 이번에는 아동 뿐만 아니라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군포, 대구 남구, 아산 안산, 통영, 하남에서 진행됐다. 지역별 작품 소개와 결과발표회의 내용과 사진의 내용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피콕비주얼엔터테인먼트 다운로드 수 76
  •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효과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효과모델 발굴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발견한 변화의 노력과 가능성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각 유형별 개념과 특징, 나아가 초점을 두어야 하는 효과 등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해 향후 보다 많은 학교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학교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 보고서의 구성은 1장 서 론, 2장 이론적 배경, 3장/4장은 학교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5장은 결론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책임연구원)박소연, (공동연구원)박용호, 임채홍, 곽명신,  장혜윤, 문지영, 유선윤, 최현주, (연구보조원)정기용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박소연 , 박용호 , 임채홍 , 곽명신 , 장혜윤 , 문지영 , 유선윤 , 최현주 , 정기용 다운로드 수 89
  •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목표는 국민의 문화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문화융성이라는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들의 문화역량 강화가 더욱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들에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회 제공 차원을 넘어서, 각 분야에서 문화융성이라는 과제가 실현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기 위해 문화역량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개발된 문화역량지표를 활용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의 현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문화정책과 문화예술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개발된 문화역량 지표를 측정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발굴을 목적으로 기획, 추진되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상범, (공동연구자)임수열, 박남희, (연구보조원)황경하, 조민준, 문병일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월드리서치 만든이(개인) 김상범 , 임수열 , 박남희 , 황경하 , 조민준 , 문병일 다운로드 수 58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4 연차보고서로서 기관소개와 사업소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관소개는 기관장 인사말과 2014 기관운영성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기관예산서,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에 관한 내용이다. 사업소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내용이 담겨져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08
  • 본 보고서는 2015 자유학기제 연계 예술강사 지원 방안 연구에 대한 결과보고서로 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자유학기제 운형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예술강사 지원 사업의 거시적인 방향 설정, 기존 자유학기제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예술강사 지원 사업 체계 검토 및 기반 마련, 학교의 필요와 요구, 환경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중심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기초마련을 하기 위해 실시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자유학기제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활동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자유학기제 안에서 예술강사 지원 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예술강사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예술강사 지원 체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실태 조사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유형화 및 정책 방향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선아, (공동연구자)박만용, 김연, 이효광, (연구보조원)박진희, 이현정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선아 , 박만용 , 김연 , 이효광 , 박진희 , 이현정 다운로드 수 36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2015년에 발간한 기관 연차보고서로 기관소개, 사업소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47
  • 《2015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제35차 지역사회 이야기를 예술로 담다; 문화예술과 사회변화》」에 대한 자료집이다. 제 35차 워크숍에서는 호주 빅하트(Big hART)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한 커뮤니티 기반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및 기획실습 워크숍이 2015.10.19.-10.20. 에 서울 종로 마이크임팩트 스퀘어와 2015.10.22-10.23.에 울산 래이컨벤션에서 진행되었다. 워크숍에 강사로는 스콧 란킨(Scott Rankin), 세실리 하디(Cecily Hardy)이 초청되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만든이(개인) Scott Rankin , Cecily Hardy 다운로드 수 59
  • 본 자료는 2015년 10월 21일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야외광장에서 진행된 2015 청춘제- 두근두근 늦바람의 프로그램북이다. ‘청춘제’는 전국 노인 복지시설에서 진행되어 온 문화예술교육(연극ㆍ무용ㆍ음악ㆍ미술ㆍ사진 교육)에 참여한 어르신들의 공연과 전시를 한 자리에서 교류하고 즐기는 축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북은 행사안내와 일정 안내, 청춘제에 참여한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과 참여자 소개, 작품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99
  • 본 자료는 2014년 7월~2015년 2월동안 전국에서 진행된 2014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이야기의 사례집이다. '움직이는 예술정거장'은 농산어촌 등 평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접하기 힘든 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 및 어르신들을 위해 직접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사례집은 예술정거장의 세부프로그램 안내와 다녀온 지역 안내, 참여한 참가자들의 현장 모습과 작품 사진, 움직이는 예술정거장에서 진행되었던 프로그램 200회 목차로 구성되어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플레이온컴퍼니 다운로드 수 160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 등과 함께 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의 워크북이다. 본 프로그램은 예술가와 함께 4주간 여행을 준비하고 떠나보는 프로그램으로 예술가와 함께 하는 여행은 즐겁고 새로운 경험이며,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넓히고 새로운 나를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소개된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놀이설계자의 골목여행, 나에게로 떠나는 스케치 여행, 내 멋대로 아트북 만들기, 무브무브 드로잉 댄스, 무브먼트 프린지, 안녕? 나는 걱정인형이야, 진짜 가짜 괴짜, 소소한 버스킹 투어, 아프리카 리듬여행 등이 있다.   프로그램 참여 아티스트로는 초선영, 구수현, 김정민, 김석중, 한석경, 양반김 등이 있으며 보조 아티스트로 윤나리, 김채린, 이가연, 윤예지, 박성율, 고경표 등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피콕비주얼엔터테인먼트 다운로드 수 79
  • 본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하며 (사)아시아문화네트워크 운영으로 진행되는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왁자지껄 도서관 문학놀이를 품다'의 강사용 수업안이다. 중등부 심화형으로 각 12주차 수업안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 수업안에는 제목, 학습주제, 학습목표, 소요시간, 준비물, 학습단계, 수업 진행 예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수업 주제로는 걱정 제로, 신들의 나라, 학교 혁명, 제 2의 지구 정착기, 세상을 이롭게 하는 발명품, 또 다른 나, 나만의 비밀문자, 모든 것의 처음, 왁자지껄 꿈다락 여행기 등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사)아시아문화네트워크 다운로드 수 61
  • 2015.05.27.에 부산시립미술관에서 문화예술교육 지역성의 재발견 아시아·전통·삶이란 주제로 진행된 심포지엄에 관한 자료집으로 이번 심포지엄은 아시아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국가별 주요이슈 발표로 진행되었다. 주요 발표 내용으로는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역사,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인도네시아 예술과 문화의 활력 증진, 말레이시아의 현대사회와 '막용'의 연광성 유지, 필리핀 국민의 삶에 중요한 예술, 인도의 아시아 예술교육 :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이 있다. 또한 두 번째 순서로 아시아권역 내 교류·협력기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방안-현재의 도전과제 및 실행가능계획에 대한 발제자 간 토론 및 자유토론이 진행되었다.   주요 참가자로는 김세린, 에바 살바도르(Eva Salvador), 칼얀 쿠마르 차크라바티(Shri Kalyan Kumar Chakravarty), 조셉 곤잘레스(Dr. Joseph Gonzales), 에그버트 위츠(Egbert Wits) 등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제니컨벤션 만든이(개인) Dr. Davidson Hepburn , 김세린 , Egbert Wits , Dr. Joseph Gonzales , Eva Salvador , Shri Kalyan Kumar Chakravarty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57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추진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사업을 정리한 내용으로 구성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in 전북 꿈보따리 vol.6'소식지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7
  • 2015.12.09.-2015.12.10.동안 서울 세종문화회관과, 2015.12.11.-2015.12.12.동안 전남 예울마루에서 개최된 '2015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38차' 포스터로 일시, 장소, 초청강사, 주최, 주관 등이 기재되어 있다. 해외초청워크숍은 예술교육을 통한 전국민의 문화향유능력 확대 및 문화보존을 도모하는 예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의 해외사례를 공유하고 기존의 주입식 기술교육 및 지식·정보암기식 교육에서 탈피한 창의적 문화예술교육방법론 공유를 통한 국내 시사점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번 38차 워크숍은 미국 뉴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교수법 워크숍으로 미국의 린제이 벌러 말리켈(Lindsey Buller Mailikel), 사라 피터셀(Sarah Petersiel)이 초청되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다운로드 수 20
  • 《2015 문화예술교육 포럼》 자료집으로 4개의 발제문과 토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수진, 박건배, 임학순, 김창환이 발제하였으며 박일호, 양혜원, 류해석, 김인설이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와이이피 만든이(개인) 김수진 , 박건배 , 임학순 , 김창환 다운로드 수 24
  • 본 자료는 2015 꿈의 오케스트라 기적을 만드는 아이들 리플릿으로 본 리플릿은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높아진 자기 효능감,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로드맵,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7원칙, 참여자 인터뷰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9
  • 2014년 11월 27일(목)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의원 유은혜, 국회의원 배재정, 문화연대,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공동 주최하였다. 본 자료집에는 국회의원 유은혜, 국회의원 배재정의 인사말과 발제1, 발제2의 내용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4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개인) 이원재 , 장재환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1
  • 20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천 지역 프로그램으로는 2012년과 마찬가지로 아우름(장르융합) 프로그램과 차오름(주제특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결과자료집에는 사업 추진 개요, 아우름 프로그램과 차오름 프로그램의 교육 운영 사례, 차오름 프로그램 컨설팅 후기, 기획 프로그램 교육 운영 사례 등이 담겨 있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천이야기 결과자료집'이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4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1
  • 본 자료는 인천문화재단이 지역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중점적으로 시작한 2010년부터 만 4년간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펼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내용과 제안이 정리되어 있는 인천문화예술교육 아카이빙북이다. '문화예술교육 사유하다', '예술교육자를 만나다', '문화예술교육, 학교를 채우다', '지역 문화예술교육을 살피다', '마을예술학교를 꿈꾸다'의 다섯 가지 주제로 나뉘어 정리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에서 2014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인천문화예술교육 아카이빙북 :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문화재단(https://ifa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4 저작권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