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2015년 1년 간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수행한 사업을 정리한 '2015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학교예술교육 지원사업, 자체기획사업이 추진되었다.   * 본 저작물은 대전문화재단에서 2015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5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저작물은 대전문화재단(https://www.dcaf.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대전문화재단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대전문화재단 지역 대전 다운로드 수 19
  • 본 보고서는 개정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에 따라 변화된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요목 개발에 대한 연구 보고서이다. 2014년 개정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은 그동안 제기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교육과정을 축소, 통폐합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적정화를 추구하였고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변화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목에 대한 구체화된 교수요목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에 따른 신규 교수요목 개발을 통한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사 배출의 기반을 마련한다. 그리고 각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목 별 참고자료 목록을 제공한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선아, (공동연구자)최은식, 김미남, 이효광, (연구보조원)홍지영, 이수진, 이수진, 김지아, 임가영, 유지영, 변경수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선아 , 최은식 , 김미남 , 이효광 , 홍지영 , 이수진 , 이수진 , 김지아 , 임가영 , 유지영 , 변경수 다운로드 수 85
  • 본 조사의 목적은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 설계는 전국 초․중․고등학교 11,791개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전자공문을 통한 온라인 설문방법을 활용하였고, 2015년 9월 7일 ~ 10월 20일에 조사가 이루어졌고 응답 현황은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11,791개교 중 9,471개 학교가 조사에 참여하여 80.3%의 응답율을 보였다. 학교 급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는 82.5%, 중학교 79.4%, 고등학교 75.9%의 응답율로 집계되었다. 본 보고서의 구성은 크게 1장 서론, 2장 조사 방향 및 설계, 3장 조사 결과 _ 초등학교편, 4장 조사 결과 _ 중학교편, 5장 조사 결과 - 고등학교편 6장 조사 결과 – 학교유형 분석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연구책임자)윤혜란, (공동연구자)장현선, 김태은, (연구보조원)김보람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만든이(개인) 윤혜란 , 장현선 , 김태은 , 김보람 다운로드 수 48
  • 본 자료는 《2015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제38차 가족워크숍;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워크숍 이끌기》 에 대한 내용이다.   서울에서는 2015.12.9-12.10에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전남 여수에서는 2015.12.11-12.12에 예울마루 다목적실에서 진행되었으며, 강의자는 린제이 벌러 말리켈(Lindsey Buller Maliekel), 사라 피터셀(Sarah Petersiel)이다. 이번 38차 워크숍에서는 미국 뉴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교수법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본 자료의 구성은 크게 1장 워크숍 주요내용 2장 강의 자료 3장 더 읽을거리로 나누었고 1장에는 워크숍 개요, 프로그램 내용 2장에는 기관 운영 개요, 뉴 빅토리 극장 지하로비:발견, 놀라움, 탐색을 위한 공간 3장에는 뉴 빅토리 소개 발표 자료, 가족워크숍 성공 지표, 가족 예술 표준 (가족 및 육아 신탁), 수업 기획안 양식 4장에는 에세이 : 케슬린 알파노 (아동발달 및 놀이 전문가)로 구성 되어있다.  
    주제 국제교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비타민컴 만든이(개인) Lindsey Buller Maliekel , Sarah Petersiel 다운로드 수 47
  • 본 사업은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감성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우수한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학교 교사·강사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공모하고, 두 차례의 엄정한 심사를 거친다. 이를 통해 기획성, 실험성, 전문성이 돋보이는 총 21건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으며, 전문가 컨설팅을 거친 21개의 당선작을 수록한 결과물이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274
  •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5년 1년간 추진한 사업을 정리한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네트워크 구축,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 문화예술교육 정보센터 운영, 세계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운영, 인센티브 사업, 부울경 자율연계모임 협력기획 사업이 추진되었다.   *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15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https://www.bsc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차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29
  • 2015년 1월-12월 동안 진행된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에 관한 결과자료집이다. 아동·청소년 대상 양질의 토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34개의 단체를 선별하여 지원하였다.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단체가 학교-가정-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 구축 및 하별화된 체험을 통해 다양한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육 향유와 삶의 질적 향상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수혜자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자문위원회 개최, 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수행단체 그룹 컨설팅 및 네트워크 워크숍, 수행단체 그룹 간담회가 추진되었고 그 외 수행 단체와 수혜자들이 함께 만날 수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교육 축제도 개최되었다. 자료집에는 각 운영 단체 별로 진행한 프로그램 소개 및 참여후기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본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에서 2015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문화재단(https://www.bsarte.bscfc.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만든이(단체) 부산문화재단 지역 부산 다운로드 수 57
  • 문화예술교육사 예술전문성 교과목 참고자료로써 총 16개의 예술전문성 영역 교과목이 있다. 교과목명은 아동미술표현발달단계 이해, 공예의 역사와 이론, 공예실습제작기법, 공예교육 평가의 이해와 실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벤치마킹 기법 및 사례, 예술치료의 이해, 전시기획, 전시관람, 기초조형, 금속공예, 도자공예, 목공예, 섬유공예, 염색공예, 유리칠보공예가 있다. 각 교과목명 아래로 교육개요, 학습목표, 학습형태, 학습방법, 학습모듈로 구성으로 기재되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사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19
  • 본 홍보물은 2015.08.10.-2015.08.15.에 전북 완주군 고산면 창포마을 일대에서 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주관, 창포마을 후원으로 진행한《2015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시즌10 피노키오는 서커스에 가지 않았다》의 워크북이다. '아티스트와 놀다'를 핵심 컨셉으로, 예술가와 함께 놀며, 작업하는 경험을 통해 예술을 즐기고, 삶의 의미와 새로운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아동, 청소년 대상 캠프이다. 워크북에는 프로그램 일정표와 7개의 아티스크 워크숍에 관한 설명과 안전수칙이 실려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위드플래닝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50
  • 본 연구에서는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이 꿈의 오케스트라의 당초 목표대로 음악활동을 통한 전인적인 교육을 위한 첫 걸음이자 기반 확립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고 보고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의 목표를 1) 음악활동에 필요한 기초역량 개발, 2) 음악적 창의성 및 동기 배양, 3) 인성 및 사회성 배양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 개발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첫째, 오케스트라 연주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량과 기술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음악활동에 참여하는 의미와 가치를 발견, 음악을 통한 표현과 소통 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 악기 연주 뿐 아니라 다양한 음악활동에 필요한 기초적인 소양과 음악문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셋째,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음악적 수준 차이 등을 고려하여 초급, 중급,고급의 3단계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강사들이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입문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입문단계 교육프로그램 수준/단계 구분의 기준은 현재 거점에서 학습자의 수준을 구분하는 기준과 크게 다르지 않게 설정하였다. 넷째, 오케스트라에서 자신이 담당하는 악기 뿐 아니라 가창, 리듬악기 합주, 신체, 주변사물 등을 활용하여 음악감수성, 상상력, 개방성과 음악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활동으로 구성한다. 다섯째, 기존 입문교육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한 사전교육의 성격이 강했던 것을 탈피하여 오케스트라 활동의 전 과정과 연계되도록 주제와 내용을 구성하고 오케스트라 교육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한다. 개개의 활동들은 독립된 목표를 갖는 동시에 상호 보완적이고 연계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강사들이 기존의 실기교육과 병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좀 더 열어 놓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가능한 학생들이 연주하는 레퍼토리를 활용하여 음악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 창작과 표현,협업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여섯째, 모든 프로그램은 협업과 인성 요소를 고려하여 소통과 협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과 방법을 제안한다. 일곱째, 거점의 교육여건과 교육일정, 강사들의 교수방법 등을 다면적으로 검토하여 음악감상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제안하지 않고 인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내용으로 감상을 포함한다. 주어진 레퍼토리에 의한 감동이나 관심을 토대로 음악의 구성요소들이 만들어내는 물리적 음향의 총체 그리고 정서적 효과를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 개별 프로그램의 모든 활동은 음악 감상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정혜윤, (공동연구자)김성혜, 노주희, 최나영, (연구보조원)손서희, 박은영, (보조원)장남희, 황주원 (자문위원)강현모, 기경환, 김경수, 김수진, 김연주, 김종웅, 라성욱, 문진탁, 박준법, 서미영, 서홍준, 손성진, 신지혜, 심인보, 윤용운, 이경진, 이명희, 이현관, 장은영, 장재호, 장준, 정경영, 정재은, 채은석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정혜윤 , 김성혜 , 노주희 , 최나영 , 손서희 , 박은영 , 장남희 , 황주원 다운로드 수 105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년 12월에 발간하고 JB아르떼 기자단이 제작한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예술교육 삶의 가치를 지원하다 웹진' 메인 이미지로 '모모의 작업실 그리고 모모의 워크샵'이 주요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전북 다운로드 수 2
  • 본 발표자료는 2015.12.18.에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개최된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결과공유회에서 미국2팀이 발표한 내용이다. 탐방조사팀의 참가자는 변미섭, 전인혁, 정혜영이며 2015.11.10.-2015.11.16.동안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제78회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 컨퍼런스(78th Annual Conference for Community Arts Education)》에 참여하였다.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  컨퍼런스는 예술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 촉진 의 주제로 전미 문화예술교육 단체 리더와 예술강사들이 참여하는 교류의 장이다. 탐방조사팀은 미국 컨퍼런스의 참관을 통해 운영시스템을 이해와 컨퍼런스 내 기관 관계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예술교육을 통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던 경험을 공유하였으며 발표자료에는 탐방조사 일정과 필라델피아 예술교육 파트너십 기관 소개, 컨퍼런스 참여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변미섭 외 2인 만든이(개인) 변미섭 , 정혜영 , 전인혁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3
  • 본 보고서는 2013년부터 현재까지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에 대해 조사한 내용으로 조사이슈별 발표일과 기관, 시행목표 등이 포함된 주요내용과 관련자료 목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사이슈, 관련 자료 목록에 해당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다.   주요 조사이슈로는 런던시장, 국제적인 유명 안무가와 런던 학교에 댄스 교육 과정을 만든다고 발표(2015.2.1), 영국예술위원회, 4개 새로운 지원 프로그램 발표 (2015.5.28), 영국 예술위원회, Great Art & Culture for Everyone (2013.10.3), 영국예술위원회 지원계획 (Arts Council England(ACE) Investment Plans), 미래사회 인재양성을 위한 영국 교과 개정, 영국 문화예술교육계획(Arts and cultural educationprogramme), 웨일즈, 문화∙예술을 이용한 빈곤퇴치 프로그램(Fusion: Tackling Poverty through Culture) 실시 (2015.5.21), [북아일랜드] 2015-2018 장애인을 위한 추진계획 발표 (2015.2.9) 등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김윤경 만든이(개인) 김윤경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118
  • 2013년부터 현재까지 미국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에 대해 조사한 내용으로 미국 정부/산하기관, 주요 문화기반시설, 관련 네트워크 연합체 등의 주요기관의 동향이 수록되어 있으며 기관명과 조사이슈, 관련 자료 목록에 해당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다. 또한 주요 이슈 별로 발표일과 기관, 시행배경과 목적, 수혜대상 등이 포함된 주요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미국국립예술기금, 아메리칸 포 디 아츠(American for the Arts, AFTA), 예술교육표준전미연합(National Coalition for Core Arts Standards, NCCAS),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단체 국립조합(National Guild of Community Schools of the Arts), 뉴욕 교육청 산하 예술 및 특별 프로젝트 부서(The NYC Department of Education's Office of Arts and Special Projects, OASP), 크리에잇 캘리포니아, 왈라스재단(The Wallace Foundation) 등이 있다. 주요 조사이슈로는 미국국립예술기금, 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 참여에 대한 새로운 조사 발표 (2015.7.1), 아메리칸 포 디 아츠(AFTA)2014.9~2017.9 주단위 정책 시범사업(Americas for the Arts' State Policy Pilot Program) 실행, 2014 예술교육국가표준 개정 National Core Arts Standard conceptual Framework for Arts Learning, 2015.3 예술교육파트너십 2020 Action Agenda 발표, 2015 Regional Arts Day, K-8까지 참여하는 무료 예술교육 프로그램 등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강주희 만든이(개인) 강주희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126
  • 2013년부터 현재까지 호주 및 국제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에 대해 조사한 내용으로 본 보고서에는 주요 이슈 별로 시행기간, 발표일자, 시행기관과 목적, 시행목적 등이 포함된 주요내용도 기재되어 있으며 기관명과 조사이슈, 관련 자료 목록에 해당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다. 주요 조사이슈로는 호주_예술위원회 4년 계획(Corporate Plan 2015~2019), <건강한 예술> 보고서 발표, 뉴사우스웨일즈 주정부(NSW Government) 2014 학교예술교육 프레임워크(Arts Education Framework), 호주 빅토리아 ARTISTS IN SCHOOLS, 호주 커뮤니티 파트너쉽, 《호주 예술위원회 아트러닝포럼》 등이 있다. 또한 국제 정책동향 이슈로는 국제문화진흥기금(IFPC), 9개 창의예술 프로젝트 지원 결정 (UNESCO, 2015.2.25), EDUCULT Access to Culture 등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김윤경 만든이(개인) 김윤경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80
  • 본 자료는 2014.09.29.-2015.01.31.에 문화컨설팅 바라가 수행한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사례 연구에 대한 결고보고서이다. 연구의 목적은 다른 나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맥락 분석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 사례 발굴이다. 연구의 범위는 생애주기별 관점에서 요구되는 일상의 문화예술교육정책 영역, 우리나라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주요 영역이며 대상 범위는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호주, 일본, 한국 등 7개국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국외 정책 및 사례 분석을 위한 다각적 접근, 자문회의와 분석회의를 통해 연구되었고, 기대효과는 국내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진단, 국외 우수 정책 및 사례의 시사점 확보, 다양한 국가 간의 비교를 통해 국내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발전적 논점 확보이다. 자료의 내용은 연구개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전개,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비교,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논점,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비교의 시사점과 함의, 참고문헌,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권순석, 최혜자, (공동연구자)김인설, 목수정, 백유진, 안나경, 우지연, 이원재, 이은희, 정진애, 함덕문, (자문위원)김규원, 박지선, 박형주, 임정희, 추미경, 최보연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컨설팅 바라 만든이(개인) 권순석 , 최혜자 , 김인설 , 목수정 , 백유진 , 안나경 , 우지연 , 이원재 , 이은희 , 정진애 , 함덕문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07
  • 《2015 문화예술교육 매재자 해외탐방조사 결과공유회》에 대한 결과자료집으로 1장 개요, 2장 일정, 3장 주요활동 내용, 4장 시사점 · 주요 성과, 5장 활용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료의 목적은 첫째, 참여한 각 기관에 대한 정보와 그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및 운영 방안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현재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방향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둘째, 뉴욕 필라델피아 현지 기관 방문을 하여 지역사회와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설계되어지며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사례를 조사한다. 셋째, 국제사회에 대한 문화적 인식 향상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창의적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발표자는 각 팀의 대표로 이보늬, 변미섭, 김진형, 구본정, 박은수 예술강사가 참여하였고, 토론에서는 팀대표 예술강사 5인을 비롯한여 이상민(가톨릭대학교 교수), 최보연(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이보늬 , 변미섭 , 김진형 , 구본정 , 박은수 , 이상민 , 최보연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50
  • 본 자료집은 해외 6개국 "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 호주, 일본" 과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맥락에 따라 조사, 정리한 정책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관한 내용이다. 실제 사례와 현황을 살펴보고 각 국가들이 다른 환경과 조건 속에서 어떻게 각각의 현실에 맞게 정책을 도출하고 현실화시키는가를 알아봄으로써 국내에 반영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다. 우리나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 기반 프로그램’, ‘생애주기가 반영된 취미와 여가 프로그램’, ‘소외계층 및 소수자 참여 프로그램’과 각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 등 5개 영역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를 다시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실행형태에 따라 ‘문화기반시설’, ‘소외계층’, ‘지역 공동체’라는 3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자)권순석, 최혜자, (공동연구자)김인설, 목수정, 백유진, 안나경, 우지연, 이원재, 이은희, 정진애, 함덕문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컨설팅 바라 만든이(개인) 권순석 , 최혜자 , 김인설 , 목수정 , 백유진 , 안나경 , 우지연 , 이원재 , 이은희 , 정진애 , 함덕문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342
  • 2013년부터 현재까지 프랑스 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에 대해 조사한 내용으로 프랑스 정부/산하기관, 주요 문화기반시설, 관련 네트워크 연합체 등의 주요기관의 동향이 수록되어 있으며 기관명과 조사이슈, 관련 자료 목록에 해당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다. 또한 주요 이슈 별로 발표일과 기관, 시행목표와 수혜대상 등이 포함된 주요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프랑스 문화부, 프랑스 교육부, 문화예술교육 문화통신부-교육부 포털, 프랑스 체육청소년부, 국립문화사업기관장협회연합 등이 있다. 주요 조사이슈로는 문화예술 및미디어교육 발전 위한 이니셔티브-팰를랭 장관 주도 지방문화사업부 정기회의 개최, '문화시민' 프로그램 시행, 프랑스 교육부 문화예술교육과정을 위한 실무자 가이드, 3차 문화사업기관장 국가총회, 국가 주최 심포지엄 등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황다나 만든이(개인) 황다나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217
  • 본 보고서는 2013년부터 현재까지 일본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에 대해 조사한 내용으로 일본 정부/산하기관, 주요 문화기반시설, 관련 네트워크 연합체 등의 주요기관의 동향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주요이슈 별로 발표일과 기관, 시행목적과 수혜대상 등이 포함된 주요내용도 기재되어 있으며 기관명과 조사이슈, 관련 자료 목록에 해당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일본 문화청, 국립청소년교육진흥기구, 어린이꿈기금, 아트카운실 도쿄, 요코하마시 예술문화교육 플랫폼, 인정특정비영리활동법인 예술자원개발기구 ARDA, 후쿠타케 재단, 문화예술에 의한 부흥 콘소시엄 등이 있다. 주요 조사이슈로는 문화청, 2020 도쿄 올림픽 위한 문화 프로그램 기본 구상 발표 (문화청, 2015.7.17), 문화예술에 의한 어린이 육성사업-순회공연사업 (문화청, 2015.4.1.), 문화예술의 진흥에 관한 기본적인 방침 (2015.5.22), 예술문화에 의한 사회지원 조성 (아트카운실 도쿄), 문화와 예술에 의한 지역 진흥의 조성(공익재단법인 후쿠타케 재단) 등이 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이민하 만든이(개인) 이민하 지역 국외 다운로드 수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