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문서 자료
  • 전체

전체

연구, 현장, 행사, 연수, 국제교류 등 문서 자료를 제공합니다.

총 4,640건
  • 본 결과자료집은 지역의 아동 및 청소년에게 문화예술 참여기회를 제공 및 확대하고자 3개의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꿈꾸는 예술놀이터]를 기획 및 운영관련 내용을 담고 있다. 2019 문화예술교육사 지원사업은 문화에술교육의 사회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국 문화시설을 위한 전문가 배치 및 프로그램 기획개발을 위한 지원정책 필요성과 문화에술교육사에게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현장 경험을 제공하여 전문인력으로 경력 개발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진되었다. 인천서구문화재단은 본 사업을 통해 '연극' 장르 기반의 청년 문화예술교육사를 채용해 다채로운 역량강화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했다.      *본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문화예술교육사 지원사업 「꿈꾸는 예술놀이터」 결과 자료집'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서구문화재단(https://www.is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인천서구문화재단 만든이(단체) 인천서구문화재단 지역 인천 다운로드 수 244
  • 자료에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22개지역에서 진행되었던 46개의 생활문화플랫폼의 소개와 2019년 생활문화플랫폼 현장 들여다보기, 사업 소개, 운영 단체 현황, 프로그램에 참여한 운영단체 예술가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겪었던 현장 모습이야기와 사진들이 수록되어있다. 자료집 제작에는 (총괄)서정문, (책임)임은옥, (진행)조은정, 오승호, (지원)노윤지, (사업컨설팅단)민병은, 김혜미, (컨설턴트)민병은,심한기, 임재춘, 김월식, 안태호, (자료집 기획 총괄)민병은, (사진,영상)구일칠(917)스튜디오, (이미지)디자인 달, (디자인)장정은(리피)이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개방한 '2019 경기생활문화플랫폼 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문화재단(www.ggcf.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경기문화재단 만든이(단체) 경기문화재단 지역 경기 다운로드 수 58
  • 본 자료는 2019년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작은 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무용과회가 추진한 연구결과보고서이다. 이번 '작은 연구' 지원사업은 유관학회와 연계한 연구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연구의 질적 다양성 제고 및 지속발전 가능한 학문적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되었다. 신정부는 '혁신적 포용 국가'를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어젠다: 예술교육발전목표' 선언 10주년이 되는 2020년을 맞이해 문화예술교육 정책 개발과 역할 정립 추진에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서울어젠다에서 제시한 3대 목표인 보편적 접근성,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성, 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성 관점에서 방향성과 지향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목표 2.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성'을 중심으로 3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박재홍, 조남규, 홍애령, (공동연구자)이지선, 임수진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무용과회 만든이(개인) 박재홍 , 조남규 , 홍애령 , 이지선 , 임수진 다운로드 수 74
  • 본 자료는 2019년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작은 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가 추진한 연구결과보고서이다. 이번 '작은 연구' 지원사업은 유관학회와 연계한 연구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연구의 질적 다양성 제고 및 지속발전 가능한 학문적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되었다. 신정부는 '혁신적 포용 국가'를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어젠다: 예술교육발전목표' 선언 10주년이 되는 2020년을 맞이해 문화예술교육 정책 개발과 역할 정립 추진에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서울어젠다에서 제시한 3대 목표인 보편적 접근성,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성, 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성 관점에서 방향성과 지향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어젠다의 3대 목표 중 하나인 『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에서의 ‘포용과 배제’에 대한 문제정립과 포용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구도 정립의 주요 연구의 방향으로 제시하고 3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류승완, (공동연구자)장웅조, 이민하, 백령, 민정아, 서영덕, (연구보조원)김수환, 석혜미, 유가애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만든이(개인) 류승완 , 장웅조 , 이민하 , 백령 , 민정아 , 서영덕 , 김수환 , 석혜미 , 유가애 다운로드 수 130
  • 《2019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예술을 통해 일과 삶의 균형 속에서 문화적 삶을 향유하고 개인과 삶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시각예술, 무용, 독립출판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함께하는 직장인 특화형 프로그램이다.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일과 여가의 균형, 문화예술 활동 기회의 증가 등의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직장인의 저녁과 여가의 가치 재발견 필요하다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번 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6개의 ‘기획 프로그램’ 과 민간 영역의 취향 공유 플랫폼인 ‘남의집 프로젝트’와 협업을 통해 진행하는 프로그램 8개를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는 공혜진, 남머루, 홍용훈, 신유안, 배인숙, 박종현, MxM(이미정, 추미림), 고성배, 서효승, 유희경, 임상빈, 김주빈, 이정섭이 참여하였다. 자료집은 각 프로그램 내용과 만족도 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고려아카데미컨설팅 다운로드 수 1073
  • 본 자료는 2019년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작은 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한국문화교육학회가 추진한 연구결과보고서이다. 이번 '작은 연구' 지원사업은 유관학회와 연계한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연구의 질적 다양성 제고 및 지속발전 가능한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신정부는 '혁신적 포용 국가'를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어젠다: 예술교육발전목표' 선언 10주년이 되는 2020년을 맞이해 문화예술교육 정책 개발과 역할 정립 추진에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서울어젠다에서 제시한 3대 목표인 보편적 접근성,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성, 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성 관점에서 방향성과 지향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목표 3. 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성'을 중심으로 7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이병준, 현은정, 신혜선, 황지영, 배영주, 이화식, 박진희, (공동연구)김영순, 김향미, 조상미, 윤현경, 홍해지, (연구자문)서지혜, 신혜은, 홍기원이 각각 7가지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한국예술경영학회, 한국문화교육학회 만든이(개인) 이병준 , 현은정 , 신혜선 , 황지영 , 배영주 , 이화식 , 박진희 , 김영순 , 김향미 , 조상미 , 윤현경 , 홍해지 다운로드 수 117
  • 본 자료는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던 의 결과보고서이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초.중.고등학생 및 학부모의 문화향유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예술 기능교육 중심이 아닌 연극, 국악, 뮤지컬 등 공연 및 전시 작품과 연계한 감상교육 중심 프로그램이다. 보고서에는 2019년도 각 지역 및 단체에서 진행되었던 꿈다락토요문화학교의 프로그램들이 소개되어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2019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결과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www.kocaca.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다운로드 수 165
  • 본 연구는 역량강화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능력 향상과 미래과학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인식하고 미래기술을 적용한 과학교육의 변화에 선제적 대응으로 교육 선진국 입지 강화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Real Data IoT 기반 과학탐구 실험을 위한 과학수업 플랫폼 구축 및 시범 운영을 연구 목적으로 하며, 과학교육에서 지능정보기술 활용을 위한 지원환경과 과학,수학,정보,융합 교육을 미래형 학습환경 구축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팀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과업들이 많으므로 학교와 교사, 재단, 교육청, 교육부 등 각 주체들과 협업하였다. 특히 IoT 플랫폼 시범 운영을 위해서는 과학중점학교 창의융합형 과학실 등 유관 정책과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정책 지원단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임완철, (참여연구원)정대홍, 손미현, 강필원, 박선규가 참여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2019년에 작성하여 개방한 'IoT  활용 과학수업 플랫폼 구축 설계 및 시범 운영 완료 보고서'의 이용허락을 받아 작성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과학창의재단(https://www.kofac.re.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과학창의재단 만든이(단체)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임완철 , 정대홍 , 손미현 , 강필원 , 박선규 다운로드 수 44
  • 2019년 아르떼 아카데미에서 진행한 연수 프로그램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북에는 대상별 연수과정과 연수 내용, 과정 등이 작성되어 있다.
    주제 연수자료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30
  • 전 국민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체계적인 수요에 기반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나, 현재까지는 수요조사 부재로 현장과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 실효성 제고의 필요성 제기되었다.  이에 본 조사는 문화예술교육 대상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속성(성·연령·지역·학력·소득·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여건, 요구사항 등 수요현황을 파악하고, 비교통계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발굴과 수립에 다각적으로 활용하고자 추진되었다.   조사대상은 전국 만 15세 이상 남녀 국민 및 만5세~13세(부모대리 응답) 포함 총 6,000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지역별/성별/연령별 인구비례 표본추출을 통해 구성하였다.조사기간은 2019년 10월 8일 ~ 2019년 10월 31일동안 진행되었으며 온라인 조사 및 개별 면접조사 병행 실시되었다.해당 수요조사는 국민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및 잠재수요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주요 내용은 수요 관련 인식과 이용실태 관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는 (책임연구원)조재현, (공동연구원)박성만, 서우석, (연구원)김명희, (연구보조원)김복희, 이미애, (자문위원)김창환, 임학순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메이븐스퀘어 만든이(개인) 조재현 , 박성만 , 서우석 , 김명희 , 김복희 , 이미애 다운로드 수 1053
  • '2019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 10주년 아카이브'는 지난 10년(‘09 ~ ’18)간 진행된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을 되돌아보았다. 블로그, 유튜브, 아르떼365 등 다수 플랫폼에 산재되어 있는 명예교사 콘텐츠를 아카이빙하고, 국내 저명 예술인들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옹호 성과 정리 및 홍보하기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그 중 소책자는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10개년 정리 인포그래픽 및 팟캐스트에서 도출된 주요 내용, 기 보유 현장 사진 및 명예교사 인터뷰 등을 활용하여 명예교사 사업의 10년사를 소개한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문화예술 놀다 다운로드 수 200
  •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를 맞이하는 신중년 시기 관계의 재형성에 도움을 주어 행복한 노년기를 맞이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생애전환기 신중년 관계재형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결과를 분석해 필수요소를 도출하고 최종 프로그램을 위한 방향을 제언한다.   해당 연구에서 개발한 '관계의 몸짓'은 무용, 연기 융복합 프로그램이다. 무용의 움직임과 연극의 드라마적 형식을 통해 신중년 삶의 경험을 언어화하고, 몸으로 표현함으로써 일상을 비일상적이게 하는 예술적 경험으로 배움과 성장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한정섭, (공동연구자)민경훈, 민경은, 김태연, (연구보조원)김민하, 김도희가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만든이(개인) 한정섭 , 민경훈 , 민경은 , 김태연 , 김민하 , 김도희 다운로드 수 522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대내외 가치 제고와 2019년에 2년차로 진행된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의 안정적인 지역화를 위해 행사 준비과정 및 현장을 기록하여 사례집을 발간하였다. 사례집은 교별 사례 분석을 통해 콘텐츠를 기획·구성하였으며, 학교별로 기획단계에서부터 행사(공연)까지 성과공유회의 전 과정이 담긴 현장을 취재하였다. 그리고 담당교사 및 씨앗가꿈이, 학생 축제 기획단 등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이팝(책읽는 다락방) 다운로드 수 219
  • 4년차 예술꽃 씨앗학교들이 그동안 쌓아온 다양한 문화예술 관련 활동을 학교, 지역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는 예술꽃씨앗학교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가 각 지역에서 열렸다. 예술꽃씨앗학교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 '예술이 꽃피는 마을' 리플릿은 전국 13개교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의 전체 일정과 주요 내용 확인하고 교별 상호 교류 활성화와 홍보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94
  • 본 연구는 2016~2018년에 수행된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연구 체계를 유지 발전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참여 아동 변화에 대한 종단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고 사업 발전방안 및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2016년부터 진행된 아동변화연구는 2018년 3개년 연구를 마무리하고 연장선으로 2019년부터 3개년 연구를 다시 진행하고 있으며, 총 3개년연구로 2021년까지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동단원들의 음악적 성장, 개인발달, 사회적 변화 등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효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임영식, (공동연구자)김인설, 신혜선, 임승희, 정경은, (연구보조원)김미연, 박은주, 조강원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임영식 , 김인설 , 신혜선 , 임승희 , 정경은 , 김미연 , 박은주 , 조강원 다운로드 수 198
  • 본 연구는 서울어젠다 목표 실천 관련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를 활용하여 국내외 이행 실적을 점검하고, 향후 2020년 서울어젠다 10주년을 대비하여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의 종합지수(3개 핵심지수, 13개 세부지수 및 30개 측정지표)와 정성지표 체크리스트(39개 문항)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연구책임자)김인설, (공동연구자)서리나, 신혜선, 차지민, (연구보조원)김미연, 서민정이 참여하였다.
    주제 연구보고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든이(개인) 김인설 , 서리나 , 신혜선 , 차지민 , 김미연 , 서민정 다운로드 수 179
  •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은 지역에 포진해 있는 문화예술교육 인적ㆍ물적 자원을 발굴하고, 보다 새로운 영역과의 융합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을 풍성하게 만들어간다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가 연구·개발될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해 17개 광역 시·도 중 공모를 통해 부산, 대구, 대전, 강원, 제주 5개 대상지를 선발했다. 이를 통해 선정된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체가 되어 1차년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예술분야 외에 타 분야와의 광범위한 연계를 통해 용·복합 문화예술교육을 개발하였다. 지역 내 기반 시설, 개인, 단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조사개발-실행-확산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들어 지역 내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첫 걸음을 뗐다.   사례집은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의 정책목표와 지역별 추진과정을 토대로 창의랩의 의미있는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 연구 환경 조성에 관심있는 관계자 대상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단체) (주)간텍스트 다운로드 수 328
  • 문화파출소 운영 가이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시도했던 전국 9개 문화파출소의 실행과 이와 병행된 연구 컨설팅을 토대로 제작되었다. 기존 운영 및 신규 사업 도입을 준비하는 지방경찰청과 지방자치단체, 문화재단, 민간예술단체와 매개자들에게 그간의 경험지식을 전달하고 지역의 문화파출소 구현을 위한 고려와 논의에 시작점을 제공해 드리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가이드 제작에는 (필자)서지혜, (자문)이영범, (편집)프로젝트 궁리, (디자인)디자인Bee가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158
  • 문화체육관광부와 경찰청은 기초 생활권 주민 접근성이 높은 치안센터를 주민 친화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하고, 2016년부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함께 ‘문화파출소’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6년 6월, 서울시 수유동에 개소한 문화파출소 강북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에 9개소 문화파출소를 운영하고 있다. ‘문화파출소’는 지역주민 누구나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간으로, 치안센터의 특징인 ‘안전함’을 바탕으로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과 치유 활동을 전개해 나가며 건강한 지역공동체에 기여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본 사례집에는 강북, 군포, 춘천, 달서, 울산남부, 여수, 청원, 제주서부, 덕진의 사례를 소개한다. 사례집 제작에는 (필자)이영범, 이초영, 최엄윤, 장혜진, 안진나, 이언옥, 오혜자, 김연주, 천윤희, (사진)박영균, 문찬미, 박진우, 남은정, 한용환, 정나라, (편집)프로젝트 궁리, (디자인)디자인Bee이 참여하였다.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운로드 수 352
  • 본 자료는 2019년 12월 17일(화) 14:00~18:00동안 서울시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진행된 2019년 문화예술교육 포럼 '서울어젠다 10년,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말하다'의 자료집이다. 2019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2019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 연구'와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작은 연구' 8건의 결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연구 결과와 더불어 미래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및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 사회적 가치의 확산을 위한 과제 등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포럼 발제는 총 9인( 김인설, 장웅조, 서영덕, 권선영, 이지선, 이병준, 황지영, 배영주, 박진희)과 토론에는 총 5인(이은적, 김인설, 류승완, 박재홍, 양지연)이 참여하였다. 자료집은 포럼 일정과 발제자료, 종합토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제 행사자료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든이(개인) 김인설 , 장웅조 , 서영덕 , 권선영 , 이지선 , 이병준 , 황지영 , 배영주 , 박진희 다운로드 수 316